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정진아-남북의 농업협동화 경험과 통일농업의 미래 : 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조회수 559 link 복사

서지사항

- 논문명 : 남북의 농업협동화 경험과 통일농업의 미래 : 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영문 제목) “The Experience of Agricultur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Future of Unified Agriculture : Focusing on Cooperative Farms in South Korea and Collective Farms in North Korea”

- 저자 : 정진아

- 수록지명 『통일인문학 89

- 발행처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발행일 : 2022.03

- 페이지 : 145193쪽

 

목차

1. 머리말

2. 남한 협업농장 실험과 운영

  2.1. 관 주도 협업농장의 추진과 실패

  2.2. 민간협업농장의 설립과 운영

3. 북한 협동농장의 건설과 변화

  3.1. 농업협동화의 추진과 완성

  3.2. 주체농법과 식량난 이후의 협동농장

4. 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 비교

  4.1. 농장의 조직과 생산

  4.2. 농장의 생산물 유통

  4.3. 노력일 평가와 분배

  4.4. 농장일 운영

5. 통일 시대의 농업협동화 모델 구상

  5.1. 북한의 식량문제 해결 지원

  5.2. 남북연합의 다양한 농업모델 창출

6. 맺음말

 

국문초록

통일이 어느 한 시점의 사건이 아니라 과정이라면, 지금부터 남북이 가진 농업협동화의 경험을 바탕으로 통일농업의 미래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이때 주목되는 것이 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이다. 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은 분산적이고, 비계획적이며 영세한 농업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농민의 생활 안정을 위해 계획적인 공동생산, 농기계의 공동이 용, 농산물 공동판매, 공동분배 등의 협동적 영농을 통해 대농 경영의 유리성을 추구하고자 한 농업협동화 모델이다. 남북의 농장은 현재 일정한 한계에 봉착했음에도 불구하고 계획적인 생산과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집단적 대응, 노동력의 조직적인 사용과 선도적인 기계화를 통해 생산력 증가를 일궈낸 경험을 가지고 있다.

체제운영의 차이로 인해 계획의 수준과 분배 방식, 농민자율성과 시장대응, 토론문화와 민주적 의사결정구조 등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갖지만, 양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은 생산과 분배운영방식에 있어서 다소의 친연성을 가지고 있다. 남북의 교류협력과 통일이 한쪽의 경험을 부정하고 한쪽의 경험을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상생과 공존의 길을 함께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한다면, 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 경험을 활용한 통일 농업의 미래를 적극적으로 탐색해볼 필요가 있다. 이는 곧 화해협력과 남북연합의 농업모델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될 것이다.

 

주제어

영세농, 대농경영, 협업농장, 협동농장, 농업협동화, 통일농업

 

 

Abstract

If unification is a process rather than an event that occurs at a certain point in time, then from the present onward, the future of unified agriculture should be based on experiences of agricultur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cooperative farms in South Korea and collective farms in North Korea. South Korea's and North Korea's farms both use agricultural cooperation models that have overcome the problems inherent in decentralized, unplanned, small-scale farming. In an effort to stabilize farmers' living conditions, they also sought to pursue the advantages of large-scale farming through cooperative farming, such as planned co-production, the joint use of agricultural machinery, joint sales, and co-distribution.

Despite certain limitations, South Korea's and North Korea's farms have enjoyed increased productivity through planned production, collective responses to problems, the systematic use of labor, and cutting-edge mechanization. Due to opera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there are fundamenta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lanning as well as in the distribution methods employed. Differences also exist in terms of peasant autonomy and market response,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discussion culture. In spite of these differences, the cooperative farms in South Korea and the collective farms in North Korea share some similarities in terms of operation methods related to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unification entail finding a way to co-exist rather than denying the experience of one side and unilaterally imposing the experience of the other, we need to actively explore the future of unified agriculture based on the experiences of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This is what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model for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an agricultural model of South-North union.

 

Keywords

small-scale farming, large-scale farming, cooperative farm, collective farm, agricultural cooperation, unified ag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