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단 소개
남북학술교류
학술행사
대학원·학부
통일인문학도서관
발간도서
학술지
통일교육
연구단 알림
빅데이터를 통해 본 분단적대성
교육사업장소운영일참가대상회차별 주제사람의 통일과 인문학적 상상력건국대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2019.09.27고등학생냉면 로드 : 사회문화적 통일을 위한 민족공통성2019.10.18코리언의 아리랑들 : 따로 또 같이 부르는 노래 2019.11.15한글의
교육명 : 경희여자고등학교 인문융합과정주제: 통일인문학 워크숍- `사람의 통일`과 DMZ 접경지역 탐방일시 : 2018.07.23-25
2018 통일교육 시범학교 교육사업 <평화의 미래, 치유의 공간을 꿈꾸는 DMZ 접경지역 인문체험 탐방>일시 : 2018.10.13장소 : 남양주 가운고등학교
2018 통일교육 시범학교 교육사업 <평화의 미래, 치유의 공간을 꿈꾸는 DMZ 접경지역 인문체험 탐방>일시 : 2018.05.29장소 : 연천 전곡중학교
2018 통일교육 시범학교 교육사업 <평화의 미래, 치유의 공간을 꿈꾸는 DMZ 접경지역 인문체험 탐방>일시 : 2018.05.18장소 : 파주 문산초등학교
3. 청소년들과 함께 하는 영화 속의 통일인문학 본 연구단은 ‘영화 속의 통일인문학’(씽크스마트, 2018)을 발간하여 각종 교육 현장에서 교재로 활용하고 있다. 이번 경기도 오산 매홀고등학교에서 진행된 치유 강좌 역시 이 교재를 적극
2. 문학으로 소통하는 남과 북 본 사업팀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원하는 ‘인문활동가 사업’에 참여하였다. 10여 명의 인문활동가가 각 지역의 지자체와 협력하여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통일인문학 강좌를 진행하였다. 그 가운데 청소년
본 사업팀은 정기적으로 창작형 통일인문학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중학생 대상으로는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방안으로 타인과의 ‘소통’ 및 타인의 아픔에 공감하는 ‘치유’의 과정을 중시하는 옛이야기들을 기반으로 영화를 창작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⑦ 청소년 대상 교육성과 : 정서적 공감을 위한 체험 및 창작형 청소년 교육 통일인문학 교육의 특장은 교육대상의 욕구에 따른 정서적 공감을 추구하는 데에 있다. 기존의 주입식 교육과 다른 방식으로 학습대상이 주도적으로 교육을 이끌어 가는 형태로
⑥ 청소년 대상 교육성과 : 전국의 중학생과 만나는 <통일리더캠프> 매년 통일리더캠프에서 통일인문학 교실을 통해 전국의 중학생들과 만나고 있다. 이번에도 수도권 남부·북부, 충북, 대전·세종·충남, 광주·전남,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