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전영선- 북한의 식생활 전통 인식과 보호정책

조회수 727 link 복사

◆ 서지사항


 


- 논문명 : 「북한의 식생활 전통 인식과 보호정책」


(영문 제목)” The evaluation and protection policy of North Korea's dietary culture


- 저자 : 전영선


- 수록지명 : 『통일인문학』 제89집


- 발행일 : 2022.03.


- 페이지 : pp. 199∼231.


 


◆ 목차


1. 서론


2. 북한의 비물질문화유산 보호 정책


3. 북한의 식생활 문화전통 인식과 보호 정책


3.1. 북한의 식생활문화 인식


3.2. 북한의 비물질문화유산으로서 식생활 문화


3.3. 북한의 식생활문화 진흥 정책


4. 식생활 문화와 남북 충돌 예측


4.1. 문화유산 정책의 지향성


4.2. 식생활 문화유산의 정통성 기준


4.3. 민족문화의 주체화와 세계화


5. 결론 : 남북교류 협력 방안과 과제


 


 


◆ 키워드


북한, 식생활문화, 조선요리, 한식, K푸드, 비물질문화유산, 전통문화


 


 


◆ 초록


 


이 연구는 남북의 식생활 문화 전통 인식과 보호 정책을 비교하여 통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예측하고 통합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남북의 식생활 문화는 반만년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감출 수 없는 공통의 문화 자산으로 인식되었다.


북한에서도 민족문화의 전통을 보존하려는 노력은 이어졌다. 김정은 체제가 시작된 2012년 이후 비물질유산을 발굴하였는데, 비물질유산 중에서 식생활 문화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북한이 국가비물질문화유산으로 지정한 음식문화는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전국적인 분포를 가진 일상음식이다. 둘째, 명절과 관련한 절기음식이다. 셋째, 전통주 유산이다. 넷째, 지역 음식이다. 북한은 식생활 문화를 발굴하기 위해 각종 요리경연대회를 개최하여 식생활 문화 진흥을 꾀하고 있다.


남과 북에서 진행하고 있는 전통식생활 문화유산에 대한 가치 평가와 산업화 정책은 상당히 비슷한 점이 있다. 남북의 식생활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적극적인 발굴과 국가 차원의 보호는 정책적인 유사점이 있다.


그러나 남북이 계승하고 보존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대상에서는 차이가 있다. 전통문화 발굴의 목적과 지향, 가치 평가 기준에서는 체제의 차이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생활문화의 충돌을 예견케 한다. 남북 교류 과정에서 식생활문화를 비롯한 생활 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정보 교류, 공동조사, 학술교류와 소통을 위한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conflicts that may occur in the unification process and to present directions for integration by comparing the perception of the dietary culture tradition and protection policies of the two Koreas. The dietary culture of the two Koreas was recognized as an indescribable common cultural asset formed in the history of half a million years.


Efforts to preserve the tradition of national culture continued in North Korea. Since 2012, when the Kim Jong-un regime began, non-material heritages have been discovered, and many of the non-material heritages include dietary culture. There are four main food cultures designated by North Korea as a national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 First, it is a daily food with a nationwide distribution. Second, it is seasonal food related to holidays. Third, it is the heritage of traditional liquor. Fourth, it is local food. North Korea is trying to promote dietary culture by holding various cooking contests to discover dietary culture.


The valuation of traditional dietary cultural heritage in the South and the North and the industrialization policy are quite similar. Positive evaluation of the dietary culture of the two Koreas, active discovery, and protection at the national level have policy similaritie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specific objects that the two Koreas want to inherit and preserve. This is because differences in systems were reflected in the purpose, orientation, and value evaluation criteria of discovering traditional culture. These differences predict conflicts of life culture. In the process of inter-Korean exchan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human and material infrastructure for active information exchange, joint investigation, academic exchange, and communication on living culture, including dietary culture.


 


 


◆ Key words


North Korea, dietary culture, Joseon cuisine, Korean food, K-food,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 traditional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