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이재승「묘지의 정치,-명예회복과 인정투쟁을 둘러싸고-」

조회수 1601 link 복사

- 논문명 :「묘지의 정치,-명예회복과 인정투쟁을 둘러싸고-」

              "Politics of Graveyard"

- 저자 : 이재승

- 수록지명 : 통일인문학

- 발행일 : 2016.12

- 페이지 : pp.257-296


□ 목차


국문초록

1. 보편적 애도

2. 사대부의 아비튀스

3. 베버의 유교가설

4. 인정투쟁과 정명의 문제

5. 누가 무엇을 어떻게 기억하는가?

참고문헌

Abstract


□ 키워드


국립묘지, 명예, 명예회복, 사대부의 아비튀스, 이덕구, 인정투쟁, 제주4.3평화공원


□ 초록


본 연구는 과거청산 과정에서 묘지와 관련하여 충돌하는 정치적 주장들을 배경으로 한국사회의 인정구조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주4.3사건 희생자중 남로당 주요인물이나 항쟁에 적극적으로 관여한 사람을 희생자의 범위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국가의 방침을 화해와 상생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미국에서는 남북전쟁후 30년의 세월이 지나면서 남군 무명용사비와 남군사령관 로버트 리의 기념관을 알링턴 국립묘지에 설치하였는데, 4.3사건 발생 70주년을 목전에 둔 현재에도 제주4.3평화공원에는 무장대장 이덕구를 위한 애도의 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베버의 종교사회학적 가정을 활용하여 해명해 보았다.

베버는 중국의 사대부에게는 형이상학적 관심이나 내세관이 결여된 나머지 자본주의 정신을 구축할 수 없어 자본주의 탄생의 구조적 여건을 구비했음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가 중국에서 탄생하지 않았다고 평가하였다. 이 주장은 다각도로 비판받고 있지만 유교의 내세관에 대한 베버의 가설은 한국사회에서의 명예회복을 설명하는 데에 유익한 모델이 될 수 있다. 기독교는 종말론과 이원론에 입각하여 종교적 인정을 세속적인 인정보다 높이 평가하기 때문에 세속적 영역에 인정투쟁이 집중되지 않는데 비해 유교적인 일원론에 의하면 사자의 세속적인 명예만이 존재하므로 세속적 영역에서 인정투쟁이 격렬하게 전개된다. 유교문화권에서 고도로 합리화된 세속적 명예는 종교화되며, 사대부의 명예의식과 아비튀스는 세속적 인정을 영구화한다. 사대부는 본디 세속적이고 국가적인 인정을 추구하지만 근대 이전의 한국사회에서 가문중심의 선산이 주요한 묘역으로 기능하였다. 그런데 군국주의적 식민지배, 항일독립투쟁,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국립묘지가 탄생하고 국가주의와 반공주의는 사대부의 아비튀스를 포섭하고 사자의 명예에 대해 강력하고 새로운 위계질서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이데올로기 아래 조성된 묘지나 추도시설은 사자의 진혼에도 실패하고 평화를 향한 열망을 심화시키지도 못한다.


□ Abstract


This essay analyzed the structure of recognition operating in Korean society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onflicting political claims around the national cemeteries and national memorial parks for the victims of the state violence. This essay reviewed critically the validity of the conservative opinion that the central figures of South Korea Labor Party and the active participants in Cheju 4.3 uprising should be excluded from the categories of victims of state violence. This essay tried to explicate the meaning of the recovery of honor for transitional justice or purge of the past in the context of cultural history.

In particular, this essay explained the background consciousness of the physical attacks on the tombs and tombstones of the dead of the left-wing group. Whereas the Arlington House for Robert Lee, Confederate General Commander was set up in Arlington National Cemetery, there is no place for Lee Dukku, the leader of the uprising civilians in Cheju 4.3 uprising, in Cheju 4.3 Peace Park. This essay attempted to explain this cultural differences in light of Weber’s religious sociological assumptions. According to Weber, although China met the structural requirements of birth of capitalism, capitalism did not originate in China because Confucianism could not form the spirit of capitalism. An interesting conclusion seems to be drawn from his premise if Weber’s hypothesis on monotheistic Confucianism and dualistic Christianity is transferred to the social horizon of honor and recognition. Whereas Christianity glorifies religious recognition, Confucianism leaves no room for the religious recognition of the afterlife world. In the Confucian culture, habitus of the literate status perpetuate or religionize the secular horizon of honor and recognition. Therefore, the big social energy for secular recognition will be concentrated in Confucian society.

The Korean national cemeteries did not result directly from the habitus of the literate caste. The National Cemetery was established by the state to commemorate the war deads after the Korea War. The national cemeteries has realized anti-communist graveyards, and assimilated and captured the habitus of the literate status through the conservative politics for recognition. Thus, it is getting difficult to experience the emotion of mourning, spirit of toleration and the aspiration to peace in national graveyards or memorial halls built by the state. The intolerant and hostile politics of recognition is the collaboration of the habitus of the literate status, state-oriented attitude, and anti-communism. This politics of recognition runs counter to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as the spirits of transitional jus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