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박영균 「한반도의 분단체제와 평화구축의 전략」

조회수 1504 link 복사

- 논문명 :「한반도의 분단체제와 평화구축의 전략」

              "Division System and Strategy of Build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 저자 : 박영균

- 수록지명 : 통일인문학 제68집

- 발행일 : 2016.12

- 페이지 : pp.35-62


□ 목차


차례

국문초록

1. 들어가며: 분단체제와 평화학의 결합 필요성

2. 한반도의 분단체제와 분단폭력의 독특성

3. 분단폭력의 세 가지 층위와 상호작용 메커니즘

4. 분단폭력의 삼각형과 평화구축의 기본전략

5. 나가며: 한반도의 근본적인 평화구축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 키워드


통일, 평화, 분단체제, 분단폭력, 통일인문학, 요한 갈퉁


□ 초록


이 논문은 한반도의 분단이 생산하는 냉전을 극복하고 평화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한반도에서의 평화구축은 분단 그 자체를 양국가 내부에서 재생산하는 분단체제에 대한 해체 작업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글은 백낙청의 분단체제론과 요한 갈퉁의 평화학을 접목시키고 있다.

첫째, 이 글은 백낙청의 분단체제론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서 한반도의 분단에서 생산되는 ‘분단폭력’의 핵심이 분단 그 자체가 생산하는 폭력임을 밝히고 있다.

둘째, 이 글은 분단체제에 의해 생산된 폭력이 ‘두 개의 분단국가체제’와 ‘세계체제’에 의해 생산된 폭력과 결합되는 메커니즘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셋째, 이 글은 분단폭력이 요한 갈퉁이 말하는 ‘직접적-구조적-문화적 폭력’이라는 ‘폭력의 삼각형’을 통해서 작동하며 그런 폭력의 사회문화적 배경이 ‘DMA증후군’이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해체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넷째, 이 글은 한반도에서의 평화구축에서 보다 시급한 것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평화구축이지만 보다 근본적인 것은 분단폭력을 대중적으로 재생산하고 있는 분단 트라우마와 아비투스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은 한반도의 평화구축은 남북 두 국가 사이에서의 평화가 아니라 오히려 갈퉁이 말하는 ‘마음의 문화적 평화’, 즉 ‘마음의 분단’을 극복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그 시작은 ‘분단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분단의 아비투스’를 해체함으로써 ‘통일의 사회적 신체’를 만들어가는 작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 cold war produced by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nd moving toward peace. Peace building on the Korea is closely linked to the dismantling of the division system that reproduces the division itself within the two states. Therefore, this article combines Nak-chung Paik‘s division system theory and Johann Galtung’s peace studies.

First, this paper discusses that ‘division violence’ produced by the division of Korea based on reconsideration of Nak-chung Paik‘s division system theory.

Second, This paper discusses the mechanism that combines the violence produced by division system and the violence produced by ‘two divided states’ and ‘world system.’

Third, this paper argues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must begin with the dismantling of division violence, it works through the ‘triangle of violence’ that John Galtong refers to as ‘direct-structural-cultural violence’ and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such violence is ‘DMA Syndrome.’

Fourth, this paper reveals that in the peac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the urgent task is to build peace on the political and military side, but more fundamental is the division traumas and abitus that are massively reproducing the violence.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peace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not begin with peace between the two Koreas, but rather ‘cultural peace of mind’ as John Galtong said, by overcoming ‘division of mind’, and this beginning is the work of making ‘social body of unification’ by healing ‘trauma of division’ and dismantling ‘abitus of di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