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어학전서 36: 조선지명변천에 대한 력사문헌학적연구』(정순기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05)

조회수 1646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 36: 조선지명변천에 대한 력사문헌학적연구』
- 지은이 : 정순기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 304p

□ 해제
  지명의 뜻과 유래에 대해 서술한다. 《삼국사기》,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수경》, 《대동여지도》를 통해 지명의 뜻과 유래에 대해 서술하였다. 지명에 대한 분석과 변천과정, 폐기된 지명에 대해 다루었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 키워드
북한국어, 조선어, 지명변천역사, 지명학, 지리지

□ 목차

머리말 4

제1장. 《삼국사기》지리지에 반영된 고장이름과 변천 6
 제1절. 《삼국사기》지리지에 대한 간단한 개관 6
  1. 《삼국사기》지리지의 편찬경위 6
  2. 《삼국사기》지리지의 편찬체계 7
 제2절. 《삼국사기》지리지에 반영된 지명에 대한 분석 10
  1. 리두식 지명과 한자말식 지명 10
  2. 지방통치체계의 성립과 지명 19
  3. 지명의 뜻과 명명적 계기에 대한 분석 30
 제3절. 미상지분비명에 대한 분석 34
  1. 미상지분지명에 대한 일반적 서술 34
  2. 미상지분지명의 단위부에 대한 분석 37
  3. 일부 미상지분지명의 위치고증 41
 제4절. 《삼국사기》지리지 지명의 변천 48
  1. 757년에 개명된 지명 48
  2. 발해지역의 지명 60

제2장. 《고려사》지리지에 반영된 고장이름과 변천 67
 제1절. 《고려사》지리지에 대한 간단한 개관 67
 제2절.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강화와 령토완정을 위한 투쟁과 지명변천 70
  1.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강화와 지명변천 70
  2. 령토완정을 위한 투쟁과 지명변천 81
 제3절. 단위어들에 대한 분석 89
  1. 새 단위어 90
  2. 《삼국사기》지리지에서부터 써온 단위어 94
 제4절. 《삼국사기》지리지와 《고려사》지리지에 공통적으로 있는 지명에 대한 분석 99
 제5절. 《삼국사기》지리지에 없는 새 지명에 대한 분석103
  1. 나라의 서북부와 동북부개척과 관련한 새 지명 103
  2. 바꾼 새 지명 107
 제6절. 폐기지명 124
 제7절. 자연지명 129

제3장. 《세종실록지리지》에 반영된 고장이름과 변천 134
 제1절. 《세종실록지리지》에 대한 간단한 개관 134
  1. 《세종실록지리지》의 편찬경위 134
  2. 《세종실록지리지》의 편찬체계와 특징 136
 제2절. 지방통치와 국경수비를 강화하기 위한 행정구역의 개편과 지명변천 149
  1. 4군 6진의 설치와 지명 150
  2. 지방행정구역의 개편과 지명변천 156
 제3절. 지명의 승격과 강급 172
 제4절. 새 지명과 2중체계의 심화 181
 제5절. 자연지명 185

제4장.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반영된 고장이름과 변천 196
 제1절.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대한 간단한 개관 196
  1.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편찬경위 196
  2.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편찬체계와 특징 198
 제2절. 행정지명의 변천 205
  1. 군현이름의 변화 205
  2. 속현, 부곡, 향, 소, 처, 장이름의 변화 210
  3. 행정구역지명의 현존유무관계 214
 제3절. 자연지명의 변천 245
  1. 산, 강, 포구, 나루, 령의 이름 245
  2. 섬이름 260
 제4절. 한자말 아닌 지명 264
  1. 한자로 표기된 고유조선말지명 265
  2. 녀진말지명 270

제5장. 《대동수경》과 《대동여지도》의 고장이름과 변천 274
 제1절. 《대동수경》의 고장이름과 변천 275
 제2절. 《대동여지도》의 고장이름과 변천289

맺는말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