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김종군 「북한의 고전문학 자료 현황과 연구동향」

조회수 3507 link 복사

□ 서지사항


- 논문명 : 「북한의 고전문학 자료 현황과 연구동향」

               "The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and research trend of North Korea"

- 저자 : 김종군

- 수록지명 : 온지논총 제25집

- 발행일 : 2010.05

- 페이지 : pp.225-259


□ 목차


Ⅰ. 서 론


Ⅱ. 북한의 고전문학 자료 발굴 및 남한의 유동 현황

  1. 북한의 자료 발굴 현황

  2. 남한의 자료 유통 현황


Ⅲ. 북한의 고전문학에 대한 인식과 연구동향

  1. 고전문학의 위상과 역할

  2. 구전설화의 대한 인식과 자료 현황

  3. 고전소설 연구동향


Ⅳ. 결 론


□ 키워드


북한 고전문학 자료 현황, 북한 고전문학 연구동향, 북한 문학사, 남한 내 유통, 고전소설, 주체문예이론



□ 초록


 북한의 고전문학 자료 현황과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작업은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자료가 매우 제한적이라서 어려움이 크다. 그럼에도 통일을 염두에 두었을 때 연구자들이 선행 작업으로 진행해야 할 과제이다.


 북한의 고전문학 자료 중 분단이전에 남북이 공유한 자료는 『조선고전문학선집』 1차분으로 1960년대에 출판이 이루어졌고, 1970년대 이후 새로 발굴한 자료와 기존 자료를 정리・평가하여 『조선고전문학선집』 2차분이 출간되었다. 이 자료들이 국내에 유입되어 유통되었고 또 현재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그 자료는 남한의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의 문학사는 현재까지 총 5건이 남한에 유통되고 있으며, 고전소설사 1건과 고전소설 해제집 1건이 일반에게 유통되고 있다. 이를 토대로 북한 소재 고전소설 작품은 대략 280여 종으로 파악된다. 아울러 북한의 고전문학 연구동향도 연구서를 쉽게 접할 수 없어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는 없으나, 현재 CD본으로 「조선어문」과 「김일성종합대학학보(어문학)」가 남한에 유통되고 있어 이를 통해 그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북한의 문학 연구가 김일성의 교시나 김정일의 지시, 주체문예이론 등의 제약을 강하게 받아 획일화되었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문학 창작의 경향성이 변화하는 것처럼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평가 시각도 달라질 수 있다. 주체사상 이후 문학사에서 판소리가 삭제되었다가 다시 극문학의 일부로 문학사에 등장하고 있으며, 국가 조치에 의해 금지되었던 민속놀이를 민족의 생활문화로 다시 복구하는 변화도 읽을 수 있다. 애정윤리와 도덕성을 강조하면서도 대중의 흥미를 위한 육담을 다수 포함한 소화집이 출판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분단 이후 이질화되었다고 단정해 버린 북한 문학에 대한 평가와 남한의 연구가 만나는 접점이 될 수 있다.


□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