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어학전서 47: 조선어규범리론』(김동찬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05)

조회수 3568 link 복사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 47: 조선어규범리론
- 지은이 :
김동찬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 303p

해제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언어규범을 이론화 하고, 언어구조를 정밀화하기 위해 정리되었다. ‘주체언어사상규범이론을 기본으로 주체언어규범이론을 규정하여 북한주민들의 언어생활을 규범에 맞추고자 하였다. 조선어학전서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키워드

북한어, 언어규범, 언어규범이론, 언어이론, 조선어

목차

머리말 5

1. 언어규범의 일반리론 7
 제1. 언어규범의 본질 7
  1. 언어규범은 실현된 언어체계의 총체 8
  2. 규범은 수단에 체현되어있다. 10
  3. 언어규범은 구체적 민족어의 규범으로서 존재한다 12
 제2. 언어규범의 범주 14
  1. 언어규범과 언어규범화 14
  2. 언어사용규범 18
  3. 언어생활규범 25
 제3. 언어규범의 특성 26
  1. 언어규범의 일반적 특성 26
  2. 언어의 류형에 따르는 규범의 특성 33
 제4. 환경과 언어규범 55
  1. 세계 언어들의 일반적 실태 56
  2. 민족적 환경과 언어규범 57
  3. 국가적 환경과 언어규범 64
  4. 지역적 환경과 언어규범 70
 제5. 언어규범의 변화발전 82
  1. 언어의 발전, 언어의 력사83
  2. 언어발전과 언어규범의 변화발전 85
  3. 언어력사와 언어규범 107

2. 조선어규범화의 원칙과 경험 118
 제1. 조선어 규범화의 원칙 118
  1. 주체성, 민족성의 구현 118
  2. 평이성, 대중성 보장 122
  3. 세계적 추향에 대한 고려 125
 제2. 조선어 규범화의 력사적 경험 129
  1. 주체적 규범화 사상리론 130
  2. 국가적 지도 134
  3. 전체 인민의 관심성 143

3. 조선어의 어음론적 규범화 146
 제1. 조선어 음운구성의 특성 147
  1. 풍부성 147
  2. 우아성 148
  3. 조화성 149
  4. 높은 실현능력 150
 제2. 발음규범화의 주요문제 151
  1. 억양과 악센트 및 속도 151
  2. 일부 모음의 발음동요 155
  3. 형태부들의 발음문제 161
 제3. 조선어 외국말적 기법165
  1. 외국말적 기법의 성격 165
  2. 조선어 외국말적 기법의 방법 168

4. 조선어의 어휘-의미론적 규범화 176
 제1. 광복후 어휘규범의 혁신 176
  1. 어휘규범, 어휘사용규범 176
  2. 새 사회제도에서의 새 어휘규범 177
  3. 인민들의 어휘사용규범의 변화 179
 제2. 통일안으로부터의 조선어철자법에로의 어휘규범화의 발전 190
  1. 평양문화어에 기초한 어휘규범화 191
  2. 단어의 어음적 외피의 안정화 194
  3. 자모의 순서와 이름에 대한 새로운 규범화 196
  4. 단어의 의미규범의 새로운 변화 198
 제3. 어휘-의미론적 규범화의 주요문제 200
  1. 어원이 망각된 방언단어문제 200
  2. 표음주의적 적기가 전통화된 단어문제 201
  3. 단어의 의미사용문제 202
  4. 환경이 고려되는 부르는 말 규범 209

5. 조선어의 형태론적 규범화 211
 제1. 형태론적 규범화의 추향과 한계 212
  1. 표음주의로부터 형태주의에로 212
  2. 형태주의 적용의 한계 213
  3. 단어결합관계에서의 정밀성의 한계 215
 제2. 조선어형태론적 규범의 특성 219
  1. 격규범의 치밀성 219
  2. 이음형의 존재 222
  3. 형태체계의 단순성 223
 제3. 형태론적 규범화의 주요문제 226
  1. 동사의 격지배를 받지 않는 형태들에서 226
  2. 동사의 격지배를 받는 형태들에서 234
  3. 서술적 형태들에서 250

6. 조선어의 문장론적 규범화 260
 제1. 조선어문장론적 규범의 특성 260
  1. 문형론적 특성 260
  2. 어순류형론적 특성 261
  3. 성분론적 특성 270
  4. 구문론적 특성 273
 제2. 조선말규범집에서의 문장론적 규범화 278
  1. 문장론적 규범화에로의 발전 278
  2. 띄여쓰기 규범화 279
  3. 문장론적 단어283
  4. 부호법 284
  제3. 문장론적 규범화의 주요 문제 288
  1. 근거리원칙289
  2. 문장의 앞자리를 주어의 자리로 하는 원칙 292
  3. 주격형의 사용을 문장주어의 표현에 집중시키는 원칙 293
  4. 행동, 상태의 주체가 주어로 되게 문장을 짜는 원칙 295
  5. 대상적 수식과 서술적 수식 296
  6. 부정술어문에서의 모호성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