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전사 (중세편)』 3 제2판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지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4)

조회수 3366 link 복사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전사 3 2 (중세편)
- 지은이 :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과학백과사전출판사
- 출판연도 : 1994
- 총 페이지 수 : 443p

해제

 북한 주체사관에 입각하여 서술한 역사서이다. 고구려와 후부여의 역사를 수록했다. 고구려의 역사를 봉건통치제도의 확립과 이에 대한 일반대중의 투쟁, 삼국통일과 외세침략에 반대한 투쟁을 중심으로 서술했다. 고구려가 삼국시대의 선도적, 중심적 역할을 해왔다고 주장했다.

키워드

고구려, 당나라, 봉건제, 부여, 삼국시대

목차

차 례

고 구 려 사

머리말 9

1장 고구려 봉건국가의 성립 10
1절 기원전 4~3세기 혼강류역 및 압록강 중류 일대의 사회경제형편 10
2절 고구려 봉건국가의 성립 15
 고구려 건국전설 15
 동명왕에 의한 고구려 봉건국가의 건국 21
 고구려의 건국년대 23

2장 고구려 봉건국가의 초기발전 32
1절 기원전 3세기의 령역 확장 32
 비류국, 행인국, 북옥저, 선비국 등 주변 소국 정치세력들의 통합 32
 부여 남부지역의 통합, 부여의 복속 34
2절 기원전 2세기 말-기원 1세기 초 외래침략을 반대한 투쟁 37
 한나라(전한)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한 투쟁 37
 국내성에로의 천도 41
 고구려-신 전쟁 45
 기원 1세기 한나라(후한)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한 투쟁, 위나암성 전투 47
 락랑국의 통합과 후한의 간섭을 반대한 투쟁 48
3절 소국통합의 기본적 종결과 봉건적 중앙집권체제의 수립 51
 갈사국, 조나국, 주나국의 통합 51
 전국적 범위에서의 봉건적 중앙집권체제의 수립 52

3장 국력의 강화와 고조선 옛땅의 완전수복을 위한 고구려인민들의 투쟁 55
1절 왕권을 중심으로 하는 집권체제의 강화 55
22-3세기 외래침략을 반대한 고구려 인민들의 투쟁 57
 2세기 초 중엽 후한과의 전쟁 57
 2세기 말엽-3세기 초엽 공손세력과의 전쟁, 환도성에로의 천도 61
 3세기 중엽 고구려-위 전쟁 63
 평양성에로의 림시천도 65
 3세기 말엽 북방정세의 안정을 위한 투쟁 66
34세기 초 진나라 군현의 구축 67
4342년 고구려-전연 전쟁 69
5절 남평양의 건설과 후방의 강화 70
6절 전연침략자들의 잔여세력을 소탕하기 위한 고구려군의 유주진출, 고조선 옛 땅의 완전수복 74

43-4세기 고구려에서의 봉건제도의 공고발전 77
1절 봉건적 토지소유제도의 공고발전과 봉건적 계급 신분관계의 편성 77
 봉건적 토지소유제도의 공고발전 77
 봉건적 계급 신분관계의 편성 80
2절 봉건 통치체제의 정비 86
 중앙 및 지방 통치기구의 정비 86
 군사제도와 법률제도의 정비 91
3절 봉건통치사상의 전파 94
4절 경제발전과 국력의 강화 95

5장 겨레와 강토를 통일하기 위한 고구려 인민들의 투쟁 100
1절 삼국통일정책의 실현을 위한 투쟁의 본격화 100
 남방정세의 변화, 백제의 강화에 대한 대응책의 수립 101
 370-390년대의 남북방 정세, 삼국통일을 위한 투쟁의 본격화 103
24세기 말-5세기 초 남북 두 방면에서 국토통일과 완정을 위한 투쟁 105
 391-395년 고구려의 백제 전역, 비려 정벌 105
 396년 백제의 항복과 398년 식신(숙신)의 복속 107
 400년 고구려군의 동남방 원정과 400-404년 후연과의 전쟁 108
 404년 백제-왜 련합군의 침공을 물리치기 위한 투쟁과 407년의 백제 전역, 410년의 동부여정벌 111
3427년 평양 천도와 수도건설 115
 평양에로의 기본수도 옮김 115
 수도건설 119
4절 새 환도성(북평양) 건설 139
55세기 통일 위업의 적극적 추진 144
 대륙정세의 안정을 위한 대책, 동부여의 통합 144
 국토통일을 위한 남진정책의 적극적 추진 148
66세기 전반기 서남방면에서의 결정적 승리와 국토통일 위업의 새로운 추진 155
 6세기 초 남방정세 155
 529년 오곡벌 전투와 아산만-금강계선 에로의 진출 157

6장 봉건적 중앙집권체제의 가일층의 강화 161
1절 경제의 가일층 발전과 봉건적 수탈체제의 정비강화 161
 농업생산의 발전 161
 수공업 생산의 발전 162
 교통 운수, 상업의 발전 164
 봉건적 수탈체제의 정비강화 166
2절 봉건적 제관계의 심화발전 167
 봉건적 계층제의 분화 167
 중앙 및 지방 관계의 정비강화 172
 새 평양성 건설 178
 성곽방위체계의 완비 187
 6-7세기 백제, 신라, 가야 및 와의 관계 197

7장 수나라 침략자들을 반대한 고구려 인민들의 투쟁 208
16세기 후반기의 대륙정세, 598년 수나라의 제1차 침입을 물리치기 위한 고구려 인민들의 투쟁 209
 6세기 후반기의 대륙정세 209
 598년 수나라 침략자들의 제1차 침입을 물리치기 위한 고구려 인민들의 투쟁 212
2612년 수나라의 제2차 침입을 물리치기 위한 고구려 인민들의 투쟁 214
 수나라 통치배 들의 대규모적인 침공준비 214
 료동성 전투의 빛나는 승리 219
 살수에서의 큰 승리 224
3613-614년 수나라의 제3, 4차 침입을 물리치기 위한 고구려 인민들의 투쟁 234
 613년 수나라 침략자들의 제3차 침입과 그 격퇴 234
 614년 수나라 침략자들의 제4차 침입과 그 격퇴 237
4절 고구려-수 전쟁에서 고구려 인민들의 승리의 요인과 그 력사적 의의 239

8장 당나라 침략자들을 반대한 고구려 인민들의 투쟁 243
17세기 전반기 고구려의 국내외 정세 243
 642년 무장정변과 당나라 통치배들에 대한 강경한 태도 243
 고구려침략을 위한 당나라 통치배들의 전쟁준비책동의 로골화 250
2645-648년 당나라의 침략을 물리친 고구려인민들의 빛나는 승리 254
 6
45년 당나라 침략군의 침입과 료동성 방어전투 254
 안시성전추의 빛나는 승리 258
 647-648년 당나라침략자들을 격퇴한 투쟁 264
3662년 평양성방어전투에서의 고구려군의 승리 268
 료동지역에 침입한 당나라침략군을 물리치기 위한 투쟁 268
 평양성 방어전투에서의 승리 270
4절 고구려 봉건국가의 종말, 당나라강점군을 몰아내기 위한 고구려 유민들의 투쟁 272
 고구려 봉건국가의 종말 272
 당나라강점군을 몰아내기 위한 고구려 유민들의 투쟁 275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굴림; COLOR: #5d8931; LETTER-SPACING: 0pt; mso-font-width: 100%; mso-text-rais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