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 『항일무장투쟁사 2』
- 지은이 : ≪항일무장투쟁사≫ 편찬위원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과학백과사전출판사
- 출판연도 : 2002
- 총 페이지 수 : 400p
□ 해제
주체사관에 따라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경험을 정리한 항일무장투쟁사이다. 김일성이 본격적으로 항일무장투쟁을 개시한 1930년대 전반기의 상황을 소개한다. 북한에서 항일무장투쟁의 시초를 열어놓았다고 평가하는 1931년 명월구 회의 전후부터, 두만강연안 유격구에서 민주주의적 개혁을 했다는 시기까지를 사건 중심으로 서술한다.
□ 키워드
명월구, 유격대, 유격구, 인민혁명정부, 항일무장투쟁
□ 목차
차 례
제2편 항일무장투쟁개시. 1930년대 전반기 항일무장투쟁
제1장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항일대전선포. 겨울 명월구 회의 4
제1절 혁명정세의 급격한 변화. 항일무장투쟁개시의 절호의 기회 조성 4
1) 일제를 반대하는 조선인민의 폭력적 진출 강화 4
2) 일제의 만주침략과 아시아에서 혁명과 반혁명 사이의 대립의 첨예화 20
제2절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겨울 명월구 회의 소집. 력사적인 연설 ≪일제를 반대하는 무장투쟁을 조직 전개할 데 대하여≫에서 천명하신 항일무장투쟁의 전략적 방침 36
1) 력사적인 겨울 명월구 회의 소집 36
2) 항일무장투쟁을 조직 전개할 데 대한 전략적 방침 42
제3절 겨울 명월구 회의의 력사적 의의 59
제2장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반일인민유격대창건 67
제1절 반일인민유격대 창건 준비사업 본격화 67
1) 무장대오 준비 67
2) 무장준비 78
3) 대중적 지반축성 86
제2절 주체형의 상비적 혁명무력 반일인민유격대 창건 94
1) 반일인민유격대창건에서 조성된 난관 극복 94
2) 반일인민유격대창건 선포. 력사적인 5.1절 열병행진 105
3) 반일인민유격대의 성격과 사명 114
제3절 반일인민유격대창건의 력사적 의의 120
제3장 반일인민유격대 주력부대의 남북만 진출. 력사적인 마촌 회의 129
제1절 반일인민유격대 주력부대의 남만 진출 129
제2절 반일인민유격대 주력부대의 북만 진출. 항일무장투쟁에 대한 전략적 지도의 강화 154
제3절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좌경적 편향을 극복하고 주체적 혁명로선을 철저히 관철하기 위한 과업제시. 마촌 회의 183
제4장 두만강연안 유격구창설 190
제1절 두만강연안 유격구창설방침 190
제2절 두만강연안 농촌 지역의 혁명화를 위한 투쟁 200
제3절 유격구 창설을 위한 군사행동. 두만강연안의 넓은 지대에 유격구 창설 210
1) 적들에 대한 군사적 제압 210
2) 유격구역창설의 시범창조, 소사하 유격구역 창설 216
3) 두만강 연안의 넓은 지대에 유격구를 꾸리기 위한 투쟁 221
제4절 두만강연안 유격구창설의 력사적 의의 241
제5장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조국에로 진출. 무장투쟁을 국내로 확대 발전시키기 위한 투쟁 251
제1절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온성지구에로 진출. 무장투쟁을 국내에로 확대 발전시킬 데 대한 전략적 방침제시. 왕재산회의 251
제2절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새별, 종성지구에로 진출. 무장투쟁을 국내에로 확대 발전시키기 위한 투쟁 266
제3절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조국진출과 무장투쟁을 국내에로 확대 발전시키기 위한 투쟁이 가지는 력사적 의의 283
제6장 반유격구창설과 유격활동거점설치 290
제1절 두만강연안 유격구주변에 반유격구창설 290
제2절 적 통치구역에 유격활동거점설치 308
제7장 두만강연안 유격구에 인민혁명정부수립 318
제1절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인민혁명정부로선 제시. 정권건설에서 좌경적 로선의 극복 318
제2절 두만강연안 유격구에 인민혁명정부수립 327
1) 인민혁명정부의 사회정치적 지반 축성 327
2) 인민혁명정부수립 335
제3절 인민혁명정부수립의 력사적 의의 347
제8장 두만강연안 유격구에서 제반 민주주의적 개혁 실시 354
제1절 민주주의적 권리와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정치적 개혁 실시 356
제2절 토지개혁을 비롯한 경제개혁 실시 362
제3절 문화분야에서 민주주의적 개혁과 시책 실시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