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제목 : 『조선전사 1』
-지은이 :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출판사 :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출판연도 : 1979
-총 페이지 수 : 360p
□ 해제
주체 사관에 따라 민족사를 집대성했다. 원시사회 역사는 자연의 구속에서 벗어나기 위한 창조적 활동과 투쟁의 역사라는 관점으로, 구석기부터 고조선 이전까지의 역사에 관해 서술하였다. 조선전사의 원시사회 역사서술은 민족의 유구성과 단일성에 주목하였다는 특징을 지닌다.
□ 키워드
민족기원, 원시사, 조선전사, 주체사관, 씨족사회
□ 목차
차 례
머리말 10
제1장 원시 무리 시기 12
제1절 원시 무리 시기의 자연환경 12
검은모루 유적을 통하여 본 하부갱신세의 자연환경 13
중부갱신세의 자연환경 16
제2절 원시 무리 시기의 사람 21
검은모루 유적 시기의 사람 21
≪력포사람≫과 ≪덕천사람≫ 23
제3절 원시 무리 시기의 로동도구 29
구석기시대 전기의 로동도구 29
구석기시대 중기의 로동도구 34
불의 발견 36
제4절 원시 무리의 집단생활 38
원인의 원시 무리 38
고인의 원시 무리 40
제2장 초기 모계씨족 사회 43
제1절 신인의 출현과 모계씨족 제도의 발생 43
≪승리산 사람≫. 신인의 모습 43
씨족사회의 형성과 모계씨족 제도의 발생 47
제2절 생산활동의 확대. 원시 문화의 발생 49
구석기시대 후기의 로동도구와 생산활동 49
원시예술과 원시 신앙의 발생 55
중석기시대. 활과 화살의 발명 57
제3장 모계씨족 사회의 발전 59
제1절 조선 옛 류형 사람의 형성 59
제2절 로동 도구의 개선 64
신석기시대의 시작 64
로동 도구의 용도에 따르는 세분화와 생산 활동의 확대 70
유물 갖춤새의 변천 76
제3절 원시 농업 및 집짐승 기르기 81
괭이농사 81
보습농사의 시작 88
집짐승 기르기 94
제4절 짐승사냥과 물고기잡이 96
짐승사냥 97
물고기잡이 104
제5절 집의 짜임새 113
신석기시대 전기의 집자리와 그것을 통하여 본 집의 짜임새 115
신석기시대 후기의 집자리와 그것을 통하여 본 집의 짜임새 125
제6절 원시수공업 생산과 원시 문화의 발전 140
신석기시대의 원시수공업 생산 140
생활풍습과 조형예술 148
제7절 모계 씨족제도의 발전 158
제4장 부계 씨족사회 164
제1절 부계 씨족사회의 형성 164
청동기시대의 시작. 문화의 계층성 164
부계 씨족사회의 형성 176
부계 씨족사회의 유적들과 그 년대 181
제2절 경제생활 187
야금의 시작과 로동 도구의 개선 187
농업 194
집짐승 기르기 202
짐승사냥 205
물고기잡이 208
교역 216
제3절 생활풍습 219
거주생활 219
식생활 230
실낳이와 옷 234
치레 거리 239
원시예술 242
원시 신앙과 종교 245
제4절 문화 갖춤 새의 여러 류형들 249
우리나라 서북지방 및 료동지방 249
압록강 중상류 및 송화강 류역 261
두만강 류역과 동해 북부 연안지방 274
우리나라 남부지방 288
제5절 원시공동체의 붕괴 297
부 록
조선 사람의 기원과 인종적 특징 307
1. 조선 사람의 인종적 특징 308
조선 사람의 체질인류학적 특징 309
조선 사람 이발의 인종적 특징 321
조선 사람의 지문과 혈형 326
2. 조선 사람의 기원상 특징 332
조선 옛 류형 사람의 형성과 그의 인류학적 구성 333
조선 사람의 인류학적 단일성 346
사진 차례
구석기시대
1. 검은모루 유적 전경(평양시 상원 군)
2. 검은모루 유적의 타제석기들
3. 큰쌍코뿔이의 골격
4. 큰쌍코뿔이의 아래턱뼈 화석(검은모루 유적)
5. 큰쌍코뿔이의 상상도
6. 원숭이의 대가리뼈 화석(검은모루 유적)
7. 짧은 턱 히에나의 아래턱뼈 화석(검은모루 유적)
8. 동굴 히에나의 대가리뼈 화석(승리산 유적)
9. 큰곰의 대가리뼈 화석(승리산 유적)
10. ≪력포사람≫(고인)의 머리뼈 화석
11. ≪덕천사람≫(고인)의 이발 화석
12. 굴포문화 제1 기층의 타제석기들
13. ≪승리산 사람≫(신인)의 아래턱뼈 화석
14. 신인 상상도
15. 신인들의 생활모습 상상도
16. 굴포문화 제2 기층의 타제석기들
신석기시대
17. 새김무늬 그릇 (지탑리 유적)
18. 돌자귀, 돌골, 돌대패날
19. 돌도끼
20. 뿔괭이
21. 곰배괭이
22. 돌삽과 돌괭이
23. 돌보습 날과 복원한 원시 가대기
24. 숯이 된 낟알(지탑리 유적)
25. 갈돌
26. 신석기시대전기의 새김무늬 그릇들
27. 뼈 활촉과 돌활촉들
28. 검정 유리 돌석기들
29. 비수와 창끌
30. 작살과 찔개살들
31. 낚시들
32. 돌그물추들
33. 신석기시대 후기의 각종 무늬 그릇과 민 그릇
34. 치레 거리들
35. 조소품들
청동기시대
36. 오덕형 고인돌(황해남도 은률군 관산리)
37. 별도끼
38. 침촌형 고인돌(황해북도 황주군 침촌리 극성동)
39. 침촌형 고인돌(황해북도 황주군 침촌리 긴동)
40. 장군산 돌무지무덤(려대시 려순구구)
41. 각종 청동기들
42. 각종 석기들
43. 신흥동 류형 질그릇
44. 공귀리 류형 질그릇
45. 오동 류형 질그릇
46. 점뼈
47. 흙돼지
48. 쇠붙이와 슬라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