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어학전서35 : 조선지명학』(박명훈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05)

조회수 3174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35 : 조선지명학』
- 지은이 : 박명훈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 247 p

□ 해제

 지명에 대해 언어발전과 결부시켜 다루었다. 지명에 대한 개념과 지명의 역할, 지명에 담겨있는 언어구조를 서술하고 지명의 유형에 대해 예를 들며 이를 뒷받침 한다. 지명 변화에 대해 언어적 관계와 사회적 요인에 대해 분류하고, 시기별 지명의 특성에 대해 서술한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 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 키워드

명명법, 북한국어, 언어학, 조선어, 지명학

□ 목차

머리말 5

제1장. 지명에 대한 일반적 리해 11
 제1절. 지명의 개념 11
 제2절. 지명의 발생 및 공고화 11
 제3절. 지명과 지리적 대상 28

제2장. 지명의 기능과 역할 30
 제1절. 지명의 기능 30
 제2절. 지명의 사회적 역할 36
 제3절. 지명의 사회적 의의 42

제3장. 지명의 언어구조 44
 제1절. 지명의 일반적 구조 44
 제2절. 명명적 단위로서의 표식부 50
 제3절. 구별적 단위로서의 종별부(단위부) 54
  1. 강하천지명의 종별부 56
  2. 산악지명의 종별부 59
  3. 자연부락의 종별부 61
  4. 행정구역지명의 구별적 단위로서의 단위부 61
 제4절. 종별부의 특수한 형태로 쓰이는 명사적 뒤붙이 62

제4장. 지명의 조성 64
 제1절. 명명적 계기 66
  1. 자연지리적 계기 67
  2. 사회력사적 계기 74
 제2절. 명명적 수단 77
  1. 고유어 말부리 수단 78
  2. 고유어 덧붙이 수단 81
  3. 한자말 수단 82
 제3절. 명명수법 84
  1. 직접법 86
  2. 연기법 89
  3. 합성법 94
  4. 파생법 96

제5장. 지명의 류형 99
 제1절. 명명하는 대상의 특성에서 본 지명의 류형 99
  1. 명명하는 자연 지리적 대상의 종류적 측면에서 본 지명의 류형 100
  2. 명명하는 행정구역의 단위측면에서 본 지명의 류형 101
 제2절. 언어갈래의 측면에서 본 지명의 류형 106
  1. 고유어 지명 106
  2. 한자말 지명 107
  3. 외래어 지명 108
 제3절. 변화의 측면에서 본 지명의 류형 109
  1. 전승지명 109
  2. 바뀐지명 110
  3. 전성지명 111
  4. 폐지지명 111
 제4절. 관계의 측면에서 본 지명의 류형 112
  1. 본지명 112
  2. 별칭지명 113
  3. 별호지명 114
  4. 이칭지명 117
 제5절. 사용의 측면에서 본 지명의 류형 118
  1. 공식지명 118
  2. 민간지명 119

제6장. 지명의 력사적 변화 120
 제1절. 언어적 관계에 의한 지명의 변화 120
  1. 말소리 작용에 의한 지명의 변화 121
  2. 표기에 의한 지명의 변화 126
 제2절. 사회적 요인에 의한 지명의 변천 133
  1. 행정구역 변동에 의한 지명의 변화 134
  2. 지명의 각종 전의형상 154
  3. 지명의 뜻 변화 161
 제3절. 력사적 시기에 따른 지명의 특성 169
  1. 고대지명의 특성 169
  2. 삼국 시기 지명의 특성 172
  3. 발해, 후기 신라시기 지명의 특성 176
  4. 고려 시기 지명의 특성 179
  5. 리조 시기 지명의 특성 181
  6. 리조말-일제강점기 시기 지명의 특성 182
  7. 광복 이후 시기 지명의 특성 183

제7장. 조선지명의 주체적 발전 186
 제1절. 조선지명의 주체적 발전을 위한 당의 령도 186
 제2절. 지명에 대한 광범한 조사수집 191
 제3절. 지명자료에 대한 언어지리학적 분석 193
 제4절. 지명정보의 종합과 리용 199
 
제5절. ≪고장 이름사전≫편찬 작업 202

부록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