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어학전서34 : 조선어명칭론연구』(방린봉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05)

조회수 3205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34 : 조선어명칭론연구』
- 지은이 : 방린봉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 295p

□ 해제

 특정대상의 고유한 이름을 짓는 ‘명칭론‘에 대해 연구했다. 명칭의 개념과 특성, 구조와 단위 등 명칭에 대한 이론을 체계화하고 분석·정리하고 있다. 명칭을 만드는 원칙과 사람과 고장의 이름 짓는 방법, 역사적 과정, 명명수법에 대해서도 서술했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 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 키워드

명칭, 명칭론, 북한국어, 언어학, 조선어

□ 목차

차례

머리말 5

제1편. 명칭 14

제1장. 명칭의 개념과 특성 15
 제1절. 명칭의 개념 15
  1. 명칭은 특정한 대상의 고유한 이름 15
  2. 명칭은 명명적인 지시적 단위 17
  3. 명칭은 조건적인 어휘적 단위 19
 제2절. 명칭의 특성 21
  1. 명칭의 어휘적 특성 21
  2. 명칭의 의미적 특성 24
  3. 명칭의 구조적 특성 29

제2장. 명칭의 구조와 단위 32
 제1절. 명칭의 론리적 구조 32
 제2절. 명칭의 구조분석 34
 제3절. 명칭의 구조적단위 37
  1. 분석적 단위 38
  2. 종합적 단위 42

제3장. 명칭의 류형 43
 제1절. 관계 근원의 측면에서 본 명칭의 류형 44
  1. 관계의 측면에서 본 명칭의 류형 45
  2. 근원의 측면에서 본 명칭의 류형 48
 제2절. 내용과 수단의 측면에서 본 명칭의 유형 50
  1. 내용의 측면에서 본 명칭의 류형 51
  2. 수단의 측면에서 본 명칭의 류형 53
 제3절. 사용의 측면에서 존 명칭의 류형 54
  1. 공식명칭 54
  2. 세속명칭 55

제4장. 명칭 만들기 56
 제1절. 명칭 만들기의 원칙과 요구 57
  1. 명칭 만들기의 원칙 57
  2. 명칭 만들기의 요구 62
 제2절. 명칭적 명명 계기 66
  1. 특징적 계기 69
  2. 관련적 계기 70
  3. 념원적 계기 72
  4. 명칭학적 계기 73
  5. 기타 계기 74
 제3절. 명칭의 명명 표식 75
  1. 특성적 표시 78
  2. 유래적 표시 80
  3. 사회적 표시 80
  4. 지시적 표시 81
 제4절. 명칭의 명명 수단 82
  1. 명명어 수단 83
  2
. 대상어 수단 88
 제5절. 명칭의 조성법 91
  1. 명칭의 조성수법 92
  2. 명칭의 조성방법 97

제2편. 사람 이름 101

제1장. 사람 이름의 본질과 의미적 내용 102
 제1절. 사람 이름의 본질과 그 특성 102
 제2절. 사람 이름의 의미적 내용 109

제2장. 사람의 이름과 성에 대한 력사적 고찰 113
 제1절. 사람의 성에 대한 력사적 고찰 113
 제2절. 사람 이름의 발생과 변천 124
 제3절. 지난 시기 사람 이름의 류형 129
  1. 실지의 이름 129
  2. 실지 이름 밖의 이름 134
  3. 특수한 계층의 이름 138
 제4절. 지난 시기 사람 이름에 쓰인 글자와 발음, 이름의 연유 138
  1. 이름에 쓰인 글자와 발음 139
  2. 이름의 연유 140

제3장. 사람 이름 짓기의 제 요소 146
 제1절. 사람 이름 짓기의 계기 147
 제2절. 사람 이름 짓기의 수단 154
  1. 고유어수단 154
  2. 한자말수단 165
 제3절. 사람 이름 짓기의 수법 167
  1. 옮김법 167
  2. 합침법 171
  3. 붙임법 173
  4. 의미합성법 175
  5
. 꾸밈법 176

제4장. 사람 이름 짓기에서 나서는 실천적 문제 176
 제1절. 어휘수단 리용에서 나서는 문제 177
 제2절. 말소리수단 리용에서 나서는 문제 184
 제3절 남자, 녀자, 형제관계를 고려하는 문제 191
  1. 남자, 녀자 이름을 고려하는 문제 191
  2. 형제관계를 고려하는 문제 198

제3편. 고장 이름 201

제1장. 고장 이름의 개념과 특성 202
 제1절. 고장 이름의 개념 203
 제2절. 고장 이름의 의미적 내용 209
 제3절. 고장 이름의 특성 213

제2장. 고장 이름에 대한 력사적 고찰 220
 제1절. 공장이름의 변천의 력사적 과정 221
 제
2절. 고장 이름의 변화발전 231
  1. 자연지명의 변화발전 231
  2. 행정지명의 변화발전 238

제3장. 고장 이름의 구조와 단위 246
 제1절. 고장 이름의 구조 247
  1. 구조분석 247
  2. 종합적 구조 250
  3. 분석적 구조 251
 제2절. 고장 이름의 구조적 단위 253
  1. 표식단위로서의 표식어 253
  2. 종별단위로서의 종별어 255

제4장. 고장 이름 짓기의 제 요소 259
 제1절. 고장 이름의 명명 계기, 표식 259
  1. 명명계기 259
  2. 명명표식 270
 제2절. 고장 이름의 명명 수단 273
  1. 종별어 수단 273
  2. 표식어 수단 282
 제3절. 고장 이름의 명명 수법 288
  1. 집접법 289
  2. 간접법 290
  3. 대치법 292
  4. 합성법 293
  5. 파생법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