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33 : 언어생활론』
- 지은이 : 리정용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 311p
□ 해제
언어생활에 대한 이론을 체계화하고 있다. 언어생활의 특성과 구성요소, 실행방식과 효과 등을 연구한다. 언어생활에 제기되는 문제들을 연구하고, 상황별 언어생활을 서술한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 키워드
문법, 북한국어, 언어학, 언어생활, 조선어
□ 목차
머리말 4
제1편
제1장. 언어생활의 본질과 특성 5
제1절. 언어생활연구의 력사적 고찰 5
제2절. 언어생활의 본질과 특성 12
1. 언어생활의 본질 12
2. 언어생활의 특성 19
제2장. 언어생활의 구성요소 27
제1절. 사람은 언어생활의 주인 27
1. 언어생활과 사람들의 사상, 감정, 심리 28
2. 언어생활과 사람들의 지식, 문화 도덕 수준 33
3. 언어생활과 사람들의 계층별 특성 36
4. 언어생활과 사람의 행동 42
제2절. 언어수단과 수법 45
1. 언어생활과 어휘수단 45
2. 언어생활과 문법수단 50
3. 언어생활과 문체론적 수법 57
제3절. 언어환경 64
1. 언어환경의 개념 64
2. 언어환경의 류형 67
제3장. 언어생활의 실현방식 77
제1절. 입말생활과 글말생활 77
1. 입말 생활 77
2. 글말 생활 82
제2절. 입말체와 글말체 87
1. 입말과 입말체, 글말과 글말체 87
2. 입말체와 글말체의 언어학적 특성 91
제4장. 언어생활과 표현적 효과 117
제1절. 표현적 효과에 대한 리해 117
제2절. 언어생활과 일반적인 표현적 효과 123
1. 간결성 123
2. 정확성 125
3. 명료성 127
4. 통속성 130
제3절. 언어생활과 특징적인 표현적 효과 132
1. 공식성 133
2. 보도성과 정론성, 전투성과 호소성 136
3. 생동성과 정서성 142
4. 론리성, 추상성과 일반성 148
제5장. 언어생활과 정보 151
제1절. 언어생활과 수량정보 152
1. 정보의 개념 152
2. 언어생활과 수량정보 156
제2절. 언어생활과 신구정보 161
1. 전제와 초점 162
2. 신구정보와 언어생활 166
제3절. 언어생활과 모호정보 174
1. 언어생활과 언어의 모호성 174
2. 모호 정보와 그 측정 179
제6장. 언어생활의 개선발전 182
제1절. 언어생활에서의 주체확립 182
1. 언어생활에서 주체확립의 본질적 특성 182
2. 언어생활에서 주체를 세우기 위한 기본요구 188
제2절. 언어생활에서의 문화성 193
제3절. 올바른 언어생활 기풍의 수립 198
제4절. 문풍의 본보기와 언어생활 202
제2편
제1장. 집단생활 도덕과 언어생활 209
제1절. 인사말 209
제2절. 부름말 234
제3절. 전화의 말 243
제4절. 학교에서의 언어생활 251
제2장. 공중도덕과 언어생활 259
제1절. 려행길에서의 말 259
제2절. 봉사 망에서의 말 268
제3절. 공중장소에서의 말 279
제3장. 가정 도덕과 언어생활 282
제1절. 가족끼리의 언어생활 283
제2절. 친척 사이의 언어생활 295제3절. 손님과의 언어생활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