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31 : 조선어실용문법』
- 지은이 : 김동찬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 391p
□ 해제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한 실용문법의 내용을 다루었다. 문법·표현요구를 구체적인 사용 예를 들어 설명했다. 품사와 문장성분, 어순과 문장의 갈래 등의 이론과 그 쓰임을 서술한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 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 키워드
문법, 북한국어, 실용문법, 언어학, 조선어
□ 목차
머리말 8
제1편. 품사 12
제1장. 조선어의 품사 구성과 그 쓰임 12
제1절. 조선어의 품사 구성 13
1. 8품사 13
2. 품사 가려보기 15
3. 품사 섞갈리는 단어들 22
제2절. 품사와 그 사용 23
1. 품사와 띄여쓰기 23
2. ≪문장론적 단어≫ 26
3. 단어들의 결합관계와 품사 28
4. 같은 한자말도 결합관계에 따라 여러 가지 고유어로 다듬어진다 29
제2장. 체언과 그 쓰임 31
제1절. 명사 31
1. 명사의 갈래 31
2. 고유한 명칭 33
3. ≪후치사적≫ 명사와 불완전명사 35
4. 명사와 언어례절 48
제2절. 수사 51
1. 수사의 갈래 51
2. 수사의 띄여쓰기 53
제3절. 대명사 55
1. 인칭대명사 55
2. 지시대명사 58
3. 미정–의문대명사 59
제3장. 용언과 그 쓰임 61
제1절. 동사 61
1. 자동사와 타동사 61
2. 능동사, 피동사, 사역동사 65
3. 동사의 보조적 쓰임 73
4. 동사의 형용사적 쓰임 81
5. 동사의 격지배 83
제2절. 형용사 86
1. 형용사의 갈래 87
2. 보조형용사 ≪싶다≫ 92
3. 형용사의 동사적 쓰임 96
4. 형용사의 격지배 98
5. 형용사의 꾸밈형과 부사 100
제4장. 수식언과 그 쓰임 103
제1절. 관형사 103
1. 관형사에 대한 리해 103
2. 관형사의 갈래 105
3, 관형사의 쓰임 105
제2절. 부사 108
1. 부사에 대한 리해 108
2. 부사의 쓰임 110
제2편. 토 114
제1장. 토에 대한 일반적 리해 114
제1절. 토와 말줄기 114
1. 형태조성의 교착 접사 114
2. 말줄기의 력사적 소리 바꾸기 119
3. ≪령≫토, ≪령≫형태 128
4. 토의 생략 129
제2절. 토의 갈래 133
1. 범주에 따르는 갈래 133
2. 의미에 다르는 갈래 133
3. 쓰이는 품사에 따르는 갈래 134
4. 문장론적 기능에 따르는 갈래 134
제2장. 례절관계토와 그 쓰임 135
제1절. 존칭토 136
1. 존칭이란 136
2. 존칭토의 쓰임 137
제2절. 말차림토 140
1. 말차림이란 140
2. 말차림의 갈래 141
3. 말차림토의 쓰임 147
제3절. 겸양토 152
1. 겸양이란 152
2. 겸양토의 쓰임 155
제3장. 말법토와 그 쓰임 156
제1절. 직설토 158
1. 직설토의 갈래 158
2. 직설토의 쓰임 163
제2절. 의문토 172
1. 직설토와 의문토의 대응 173
2. 의문토의 쓰임 179
제4장. 격토와 그 쓰임 184
제1절. 주격토 ≪가/이≫ 와 그에 준하는 ≪께서≫ 185
1. ≪가/이≫의 쓰임 185
2. ≪께서≫의 쓰임 187
3. ≪령≫형태에서의 주격의 쓰임 188
제2절. 속격토 ≪의≫ 188
1. ≪대상적 규정어≫의 형태조성 188
2. ≪의≫의 사용조절 189
제3절. 대격토 ≪를/을≫ 192
1. 대격형의 결합적 특성 192
2. 자동사의 ≪타동사적 쓰임≫ 192
3. 대격형의 특수한 기능 194
제4절. 여격토 ≪에≫, ≪에게≫, ≪께≫와 그에 준하는 토 195
1. 여격토의 일반적 특징 195
2. 여격토의 쓰임 196
제5절. 위격토 ≪에서≫, ≪에게서≫와 그에 준하는 토 198
1. 위격토의 일반적 특징 198
2. 위격토의 쓰임 199
제6절. 조격토 ≪로/으로≫ 203
1. 조격토의 일반적 특징 203
2. 조격토의 쓰임 204
제7절. 구격토 ≪와/과≫와 그에 준하는 토 205
1. 구격의 의미 205
2. ≪와/과≫와 ≪하고≫의 차이 205
3. ≪비교되는 대상≫과 ≪비교하는 대상≫ 206
제8절. 호격토 ≪야/아≫, ≪여/이여≫, ≪이시여≫및 비교의 뜻을 나타내는 토 207
1. 호격토의 쓰임 207
2. 비교의 뜻을 나타내는 토 209
제9절. 격토-격토의 어울려 쓰임 210
1. 격토-격토결합의 일반적 정경 210
2. 격토-격토결합의 구체적 형태틀 212
제5장. 도움토, 강조토와 그 쓰임 213
제1절. 도움토 213
1. 도움토의 갈래 214
2, 도움토의 쓰임 215
3. 도움토-도움토의 어울려 쓰임 220
4. 도움토-격토의 어울려 쓰임 221
5. 용언형태 뒤에서의 도움토의 쓰임 224
제2절. 강조토 227
1. 강조토에 대한 리해 227
2. 강조토의 쓰임 227
제6장. 시간토와 그 쓰임 242
제1절. 시간형태의 조성 243
1. 절대적 시간 형태의 조성 243
2. 상대적 시간 형태의 조성 247
제2절. 시간토의 쓰임 249
1. 시간토의 태적 및 양태적 쓰임 249
2. 시간토의 결합적 쓰임 253
3. 상대적 시간토의 쓰임 256
제3편. 문장 259
제1장. 단어결합과 그 쓰임 263
제1절. 단어 결합에 대한 일반적 리해 263
1. 단어결합이란 263
2. 단어결합이 이루어지는 조건 264
제2절. 단어결합의 갈래 268
1. 병렬적 결합과 종속적 결합(결합관계에 따르는 갈래) 268
2. 명사식 결합과 동사식 결합(결합방식에 따르는 갈래) 268
3. 린접결합과 격리결합(결합거리에 따르는 갈래) 272
4. 단순결합과 확대결합(결합구조에 따르는 갈래) 274
제3절. 단어결합의 쓰임 277
1. ≪하기≫와 ≪하는것≫278
2. 단어결합의 립체성 278
3. 주어진 단어결합은 여러 가능성 중의 하나 283
4. 단어 결합과 띄여쓰기 288
제2장. 문장 성분과 그 쓰임 289
제1절. 문장 성분에 대한 일반적 리해 289
1. 문장 성분과 그 단위 289
2. 맞물림 성분과 외딴 성분 292
3. 단순 성분과 확대 성분 293
제2절. 맞물린 성분들의 쓰임 293
1. 맞물림 성분들의 갈래와 쓰임 294
2. 단순성분과 확대성분의 쓰임 319
3. 독특한 쓰임으로서의 ≪겹침≫과 ≪보임≫ 322
제3절. 문장성분의 어울림 331
1. ≪어울림≫에 대한 리해 331
2. 형태적 어울림 332
3. 단어 결합적 어울림 332
4. 양태적 어울림 335
5. 형상적 어울림 338
제3장. 어순과 그 쓰임 342
제1절. 어순과 그 갈래 342
1. 어순에 대한 리해 342
2. 일반적으로 쓰는 보통 어순 343
3. 일반적으로 쓰는 바뀐 어순 349
4. 특별한 어순 352
제2절. 어순의 쓰임 354
1. 어순을 제약하는 요인 354
2. 어순의 쓰임에서 류의 할 문제 358
제4장. 문장의 갈래와 그 쓰임 362
제1절. 서술목적에 따르는 문장의 갈래와 그 쓰임 362
1. 서술문 362
2. 의문문 367
3. 권유문 371
4. 명령문 373
제2절. 짜임새에 따르는 문장의 갈래와 그 쓰임 376
1. 단일문 376
2. 복합문 381
3. 겹침복합문 384
4. 이음복합문 385
5. 얽힘 복합문 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