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25 : 조선어력사어음론』
- 지은이 : 최정후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 303p
□ 해제
삼국시대부터 20세기까지 음성학의 역사를 다루었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역사음성학을 연구하는 것은 말소리 발전의 합법칙적 과정, 어휘의 역사, 문법구조 역사를 연구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주장한다. 시기별 언어의 발전과 특성에 대해 정리했다.
□ 키워드
북한국어, 음성학, 역사어음론, 어음론, 조선어,
□ 목차
머리말 6
제1장. B.C. 3세기~A.D. 10세기 초(삼국시기와 발해, 후신라시기) 조선어 말소리의 발전과 그 특성 10
제1절. 봉건 국가들의 형성과 언어발전, 삼국 시기 인민들의 언어생활, 이시기의 말소리 연구자료 11
1. 봉건국가들의 형성과 언어발전 11
2. 삼국시기 인민들의 언어생활 17
3. 삼국시기의 말소리 연구자료 20
제2절. B.C. 3세기~A.D. 10세기 초의 자음체계 24
1. 순한 소리(무성무기음)인 ≪ㅂ≫, ≪ㄷ≫, ≪ㄱ≫, ≪ㅅ≫, ≪ㅈ≫ 와 무성 유기음 ≪ㅎ≫ 24
2. 울림소리 ≪ㅁ, ㄴ, ㄹ≫ 와 ≪ㅇ≫ 30
3. 삼국 시기, 발해와 후기 신라시기 거센소리의 발생 발전 34
제3절. B.C. 3세기~A.D. 10세기 초의 모음체계 39
1. 홑모음 39
2. 겹모음 47
제4절. B.C. 3세기~A.D. 10세기 초의 말소리발전의 몇 가지 특성 53
1. 삼국시기, 발해와 후기신라시기 조선어에서의 청없는 소리와 청있는 소리에 관한 문제 53
2. 닫긴 소리마디(받침)의 발생 발전 56
3. 말소리 결합에서의 특성 62
제2장. 10세기 초~14세기 말(고려 시기) 조선어 말소리의 변화발전 68
제1절. 고려에 의한 국토의 통일과 조선어의 통일적 발전 69
1. 고려에 의한 국토의 통일은 민족어의 통일적 발전을 위한 결정적 담보 69
2. 10세기 초 ~14세기 말(고려 시기) 조선어 말소리 연구자료 73
제2절. 10세기 초~14세기 말(고려 시기) 조선어 자음체계의 발전과 그 특성 77
1. 고려시기의 순한 소리 ≪ㅂ, ㄷ, ㄱ, ㅅ, ㅈ, ㅎ≫ 와 울림소리 ≪ㅁ, ㄴ, ㄹ, ㅇ≫ 와 거센소리 ≪ㅍ, ㅌ, ㅋ, ㅊ≫ 77
2. 고려시기 새로 발생 발전한 말소리 현상 80
3. 겹자음의 발생 발전 86
제3절. 10세기 초~14세기 말(고려 시기) 조선어 모음체계의 변화발전 88
1. 고려시기 홑모음들의 변화발전 88
2. 고려시기 겹모음들의 변화발전 90
제4절. 10세기 초~14세기 말(고려 시기) 조선어 어음체계 발전의 몇 가지 특성 97
1. 받침의 변화발전 97
2. 모음 조화현상 103
제3장. 15~16세기 조선어 말소리의 변화발전과 그 특성 110
제1절. ≪훈민정음≫은 15세기 조선어 말소리를 반영한 자모글자 111
제2절. 15세기 조선어 자음체계와 그 특성 124
1. 15세기 조선어의 자음들과 그 특성 125
2. 15세기 조선어 자음의 분류 141
제3절. 15~16세기 조선어 자음체계의 변화발전 151
1. ≪ᅘ≫음의 소멸 151
2. 입술가벼운소리 ≪ꥴ≫음의 소멸 153
3. ≪ᅀ≫음의 소멸 156
제4절. 15세기 조선어 모음체계와 그 특성 160
1. 15세기 조선어의 모음과 그 특성 160
2. 15세기 조선어 모음의 분류 173
제5절. 15~16세기 조선어 모음이 변화발전, 모음의 조화현상 181
1. 15~16세기 모음의 변화발전 181
2. 15~16세기 조선어의 모음조화현상 185
제6절. 15~16세기 조선어의 어음결합과 어음교체, 말소리의 고저장단과 그 특성 197
1. 어음결합의 류형과 그 특성 197
2. 어음결합에서의 소리 끊음 현상(중간 삽입자음) 207
3. 받침 213
4. 어음교체현상 220
5. 어음의 빠지기와 첨가 222
6. 어음의 고저장단 227
제4장. 17~19세기 조선어 말소리의 변화발전과 그 특성 231
제1절. 17~19세기 조선어 자음체계의 변화발전과 그 특성 233
1. 17~19세기 된소리되기 현상 234
2. 거센소리되기현상 244
3. 17~19세기 조선어에서의 입천장소리되기현상 246
4. 기타 자음의 변화발전 250
제2절. 17~19세기 조선어 모음체계의 변화발전과 그 특성 254
1. 17~19세기 모음 ≪ ᆞ≫의 소멸에 관한 문제 255
2. 17~19세기 겹모음과 그 변화과정 260
3. 모음들의 앞모음 되기 현상 266
4. 모음 조화현상의 파괴 270
5. 모음의 빠지기와 첨가 272
제5장. 20세기 조선어 말소리의 발전과 그 특성 277
제1절. 20세기 우리나라에 조성된 정치정세와 우리 민족어 277
1. 영광스러운 항일혁명투쟁과 민족어의 고수발전 277
2. 조국의 광복과 민족어의 발전 280
제2절. 20세기 조선어 어음체계의 발전 282
1. 자음체계의 발전 282
2. 모음체계의 발전 289
제3절. 20세기 조선어 어음발전에서의 몇 가지 특성 293
1. 어음의 빠지기와 첨가 293
2. 받침에서의 몇 가지 특성 296
3. 어음의 고저장단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