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어학전서20 : 조선어의미구조론』(문영호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05)

조회수 3168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20 : 조선어의미구조론』
- 지은이 : 문영호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 271p

□ 해제

 의미구조론에 대해 다루었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현대 의미론의 연구를 기초하여 북한의 언어의미론을 정리했고, 어휘의미 분석뿐만 아니라 문장과 문맥의 의미까지 해석하는 의미구조이론을 체계화했다.

□ 키워드

북한국어, 언어학, 의미구조론, 의미해석, 조선어

□ 목차

머리말 5

제1장. 의미와 의미구조 6
 제1절. 의미 6
  1. 의미의 개념과 본질 6
  2. 의미에 대한 기성리론 개관 10
  3. 의미의 구성내용 15
  4. 의미의 표식 20
  5. 의미의 류형 23
 제2절. 의미성분 30
  1. 의미의 성분화 31
  2. 의미성분의 류형 35
  3. 의미성분화에 의한 의미구조 해석 39
 제3절. 의미소 43
  1. 의미소의 한계성과 표식 44
  2. 의미소의 견고성 46
  3. 의미소의 류형 47
 제4절. 의미마당 51
  1. 의미마당의 개념 51
  2. 의미마당의 류형 54
  3. 의미마당의 계층구조 57
  4. 의미마당의 어휘결합구조 59
  5. 의미마당의 의미공간구조 61

제2장. 어휘의미구조 63
 제1절. 어휘의미의 본질과 표식 63
  1. 어휘의미의 본질적 내용 63
  2. 어휘의미의 표식 70
 제2절. 어휘의미의 구조와 류형 72
  1. 어휘의미의 기저구조 73
  2. 어휘의미의 표층구조 76
  3. 어휘의미구조의 류형 84
 제3절. 어휘의미구조의 분석원리 91
  1. 의미성분화 분석원리 92
  2. 계층구조화 분석원리 93
  3. 기저의미 분석방법 95
  4. 성분대치 분석방법 96
  5. 의미확대 분석방법 97

제3장. 문장의미구조 99
 제1절. 문장의 의미와 기능 100
  1. 문장의 의미 100
  2. 문장의미의 기능 108
 제2절. 문장의미의 성질 116
  1. 문장의미의 다의성 116
  2. 문장의미의 동의성 119
  3. 문장의미의 반의성 120
  4. 문장의미의 동음이의성 121
 제3절. 문장의미의 정보론적 분석 122
  1. 테마와 테마의 분석원리 122
  2. 《제시-풀이》 구조의 류형 125
  3. 《제시-풀이》 구조의 특성 127
  4. 《제시-풀이》 구조의 분석방법 129
 제4절. 문장의미의 성분화 분석 136
  1. 론리적 성분화 분석 136
  2. 층계적 성분화 분석 137
  3. 문법적 성분화 분석 139
 제5절. 문장의미의 류형화 분석 144
  1. 서술문의 의미기능 143
  2. 의문문의 의미기능 147
  3. 명령문의 의미기능 148
  4
. 권유문의 의미기능 148
  5. 특수문의 의미기능 149

제4장. 구술의미해석의 원리와 방법 152
 제1절. 구문의미해석의 일반적 원리 152
  1. 형식문법의 원리 152
  2. 변형규칙의 원리 158
  3. 해석의미론적 분석원리 161
  4. 생성의미론적 분석원리 167
 제2절. 변형생성문법의 구문해석 170
  1. 변형생성문법 개관 170
  2. 심층구조와 표층구조 178
  3. 심층구조의 모형화 184
 제3절. 직접구성성분과 구구조분석 187
  1. 직접구성성분 187
  2. 구구조분석 191
  3. 구구조변형규칙 195
 제4절. 격구조 200
  1. 격문법 200
  2. 내면격과 표면격 204
  3. 격의 류형 209

제5장. 문맥의미구조 216
 제1절. 문맥의미에 대한 일반적 리해 216
  1. 문맥의미의 개념과 특성 216
  2. 문맥의미리론의 발전과정 224
  3. 문맥의미구성의 내용 227
  4. 문맥의미의 실현 232
 제2절. 문맥의미의 구조 237
  1. 진실성과 론리구조 237
  2. 방향성과 정보론적 구조 241
  3. 선택성과 결합구조 244
 제3절. 문맥의미구조의 분석원리 247
  1. 둘레뜻에 의한 의미분석 247
  2. 초점에 의한 의미분석 250
  3. 신정보에 의한 의미분석 253
 제4절. 담화문의 분석 257
  1. 담화문의 언어적 형식 257
  2. 담화문의 구조적 류형 261
  3. 담화문의 정보론적 분석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