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어학전서12:조선어학설사』(안경상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05)

조회수 3219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12:조선어학설사』
- 지은이 : 안경상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287p

□ 해제

『조선어학전서』의 제12권으로 고대 시기부터 1945년까지 조선어학설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 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이 책에서 북한은 B.C. 3천 년 초 고조선이 세워지면서 우리말은 그 이전의 단순한 ‘종족어’에서 ‘민족어’로 발전하였다고 주장한다. 또 첫 민족글자인 ‘신지 글자’를 갖게 됨으로써 “우리말과 글은 새로운 발전단계에 들어섰다”고 강조한다.

□ 키워드

언어학, 북한국어, 조선어학설, 단군조선, 신지글자

□ 목차

머리말 7

제1편 고대-14세기 조선어학설 12
제1장 단군조선의 언어학적견해 12
제2장 고구려, 고려시기의 조선어학설 20

제2편 15-19세기 중엽의 조선어학설 36
제1장 리조시기 조선어학설의 기본특징 36
제2장 1400-1600년대의 조선어학설 45
제3장 1700년대의 조선어학설 95
제4장 1800년대의 조선어학설 125

제3편 19세기 말 - 20세기 초의 조선어학설
제1장 언어학자들의 활동과 이 시기 학설의 기본특징 153
제2장 이 시기 연구론문들에 반영된 조선어학설 165

제4편 주체15(1926)-주체34(1945)년 시기의 조선어학설 218
제1장 항일혁명투쟁과 조선어학설의 기본특징 218
제2장 이 시기 연구론문들에 반영된 조선어학설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