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어학전서5:조선말력사2』(류렬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05)

조회수 3120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5:조선말력사2
- 지은이 : 류렬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556p

□ 해제

조선어학전서의 제5권으로 10세기 초부터 16세기까지 조선말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 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그중 제4-10권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조선말의 사회적 기능과 언어적 구조, 글자의 발전 등의 내용에 관해 서술하였다. 이 책에서 북한은 고구려 중심의 언어발전을 주장하고, 한글의 우수성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

□ 키워드

언어학, 국어사, 민족어, 조선말, 중세 언어,

□ 목차

머리글 3

일러두기 5

제1장. 통일적 봉건국가의 성립, 발전과 조선말의 통일적발전 6
제1절. 고려봉건국가의 성립, 발전과 조선말의 발전 6
제2절. 리조봉건국가에 의한 봉건통치체제의 재편성 및 봉건적 경제, 문화의 발전과 조선말, 조선글의 발전 10

제2장. 10세기초∼14세기(고려시기)의 조선말과 그 주요 특징 13
제1절. 10세기초∼14세기(고려시기) 조선말의 말소리와 그 주요 특징 14
제2절. 10세기초∼14세기(고려시기) 조선말의 어휘와 그 주요 특징 83
제3절. 10세기초∼14세기(고려시기) 조선말의 문법구조와 그 주요 특징 123
제4절. 10세기초∼14세기(고려시기) 조선말의 문체의 발전과 기능문체의 분화 200
제5절. 10세기초∼14세기(고려시기)의 글자 223

제3장. 15∼16세기의 조선말과 그 주요 특징 231
제1절. 15∼16세기 조선말의 말소리와 그 주요 특징 232
제2절. 15∼16세기 조선말의 어휘와 그 주요 특징 333
제3절. 15∼16세기 조선말의 문법구조와 그 주요 특징 375
제4절. 15∼16세기 조선말 문체의 발전과 글말문체 확립 및 새로운 발전 471

제4장. 15∼16세기의 글자 483
제1절. 민족글자《훈민정음》의 창제와 그 우수성 및 력사적의의 483
제2절. 《훈민정음》의 보급과 한자, 한문 및 리두 사용의 강요에 의한 3중적글자생활의 혼란 499

맺는말 505

붙임 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