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어학전서4:조선말력사1』 (류렬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05)

조회수 3146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4:조선말력사1
- 지은이 : 류렬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423p

□ 해제

『조선어학전서』의 제4권으로 조선말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 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그중 제4-10권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조선말의 사회적 기능과 언어적 구조, 글자의 발전 등의 내용에 관해 서술하였다. 북한은 B.C. 3천 년 초 고조선이 세워지면서 우리말은 그 이전의 단순한 ‘종족어’에서 ‘민족어’로 발전하였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고조선 시기부터 10세기 초까지 조선말의 역사를 서술하였다.

□ 키워드

언어학, 국어사, 민족어, 조선말, 고대조선

□ 목차

머리말 8

일러두기 10

제1편 고대조선말(B.C. 30세기초 - B.C. 3세기) 12
제1장 조선말의 형성, 발전과 고대조선종족들사이의 언어관계 및 노예소육자국가들의 분립, 발전과 고대조선말의 발전 13
 제1절 고대조선말의 형성, 발전과 고대조선종족들사이의 언어관계 13
 제2절 고조선의 형성, 발전과 고대조선말의 발전 30
제2장 고대조선말과 그 주요특징 33
 제1절 고대조선말의 언어자료와 그에 대한 해독 33
 제2절 고대조선말의 말소리와 그 주요특징 65
 제3절 고대조선말의 어휘와 문법 및 주요특징 90
제3장 고대시기의 글자 100
 제1절 고유글자와 관련한 옛 기록들과 옛 자취들 101
 제2절 한자, 한문과 그것에 의한 리두표기 방식의 모색 110

제2편 중서 전기 조선말 (B.C. 3-A.C. 10세기초) 114
제1장 봉건국가들의 발생 발전과 중세 전기 조선말의 발전 116
 제1절 고구려, 백제, 신라(가야 포함)의 성립 발전과 중세 전기 조선말의 발전 116
 제2절 발해, 후기신라의 성립 발전과 중세 전기 조선말의 발전 125
제2장 중세 전기 조선말과 주요특징 130
 제1절 중세전기 조선말의 말소리와 주요특징 131
 제2절 중세 전기 조선말의 어휘와 주요특징 195
 제3절 중세 전기 조선말의 문법구조와 주요특징 280
 제4절 중세 전기 조선말의 문체의 발전과 기능문체의 분화 399
 
제5절 중세 전기의 글자 405

례증 및 참고자료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