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심리검사의 이해 2판』
- 지은이 : 최정윤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시그마프레스
- 출판연도 : 2010
- 총페이지 수: 471p
□ 해제
이 책은 임상심리학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심리검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함께, 임상현장에서의 실제적인 적용에 초점을 두고 쓰여졌다. 실제 임상 현장에서 쓰이고 있는 검사 총집(Battery)을 중심으로, 역사 및 이론적 배경, 실시, 해석에 관한 실용적인 자료들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자칫 어려울 수 있는 심리검사 용어나 내용을 구체적 사례와 더불어 잘 풀어서 설명하여 초보자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다.
□ 키워드
검사자와 피검자, Wechsler 지능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HTP 검사, Rorschach 검사
□ 목차
제1장 심리검사에 대한 개관
1. 심리검사란 무엇인가
2. 심리검사는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
3. 심리검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4. 언제 심리검사를 실시하는가
5. 어떤 심리검사를 어떻게 실시해야 하는가
6. 심리검사 결과를 어떻게 통합 해석하는가
1) 심리검사란 무엇인가
2) 반응의 내용과 주제
3) 검사반응에 대한 태도
4) 검사자와 피검자간의 대인관계
제2장 지능 평가: Wechsler 지능검사를 중심으로
1. 개관
2. 검사의 구성 및 실시상의 주의점
3. 해석
1) 양적 분석
2) 질적 분석
3) 통합적인 해석적 가설의 설정
4. 각 소검사들이 측정하는 기능 및 임상적 측면에서의 고려점
1) 언어성 검사
2) 동작성 검사
5. 어떤 심리검사를 어떻게 실시해야 하는가
1) 정신증
2) 불안장애
3) 강박장애
4) 우울증
5) 히스테리성 성격 장애
6) 반사회성 성격 장애
7) 기질적 뇌손상
6. 사례
1) 기분부전 장
2) 연극성 성격장애
3) 기질적 뇌손상
4) 강박장애
5) 정신분열증
6) 만성 정신분열증
제3장 MMPI(다면적 인성검사)
1. 개관
2. 검사의 제작과정
3. 검사의 구성
4. 실시
5. 해석 방법
1) 검사태도에 대한 검토
2) 척도별 점수에 대한 검토
3) 척도간 연관성에 대한 검토
4) 척도간 응집 및 분산에 대한 분석
5) 낮은 임상척도에 대한 검토
6) 형태적 분석
7) 전체 프로파일 형태에 대한 분석
6. 개별 척도에 대한 해석
□ 타당성 척도
1) ? 척도
2) L척도
3) F척도
4) K척도
5) 타당성 척도의 여러 형태
□ 임상 척도
1) 척도 1: 건강염려증
2) 척도 2: 우울증
3) 척도 3: 히스테리
4) 척도 4: 반사회성
5) 척도 5: 남성성-여성성
6) 척도 6: 편집증
7) 척도 7: 강박증
8) 척도 8: 정신분열증
9) 척도 9: 경조증
10) 척도 0: 내향성
7. 2코드 유형에 따른 해석
단독상승1 1-2/2-1, 1-3/3-1, 1-4/4-1, 1-6/6-1, 1-7/7-1, 1-8/8-1, 1-9/9-1
단독상승2 2-3/3-2, 2-4/4-2, 2-6/6-2, 2-7/7-2, 2-8/8-2, 2-9/9-2
단독상승3 3-4/4-3, 3-6/6-3, 3-7/7-3, 3-8/8-3, 3-9/9-3
단독상승4 4-5/5-4, 4-6/6-4, V모양의 척도 4-5-6 형태, 4-7/7-4, 4-8/8-4, 4-9/9-4
단독상승5
단독상승6 6-8/8-6, 6-9/9-6
단독상승7 7-8/8-7
단독상승8 8-9/9-8
단독상승9
단독상승0
8. 3코드 유형에 따른 해석
1-2-3/2-1-3, 1-3-7
1-3-8/8-3-1/3-1-8, 1-3-9
2-4-7/2-7-4/4-7-2, 2-7-8/7-2-8
4-6-8, 4-9-6/9-4-6
6-8-7/8-6-7
제4장 MBTI
1. 개관
2. 실시
3. MBTI의 네 가지 선호지표
1) 외향성-내향성
2) 감각형-직관형
3) 사고형-감정
4) 판단형-인식형
4. 각 유형별 주기능·부기능·3차 기능·열등기승
1) 언어성 검사
2) 동작성 검사
5. 유형별 해석
ISTJ ISTP
ESTP ESTJ
ISFJ ISFP
ESFP ESFJ
INFJ INFP
ENFP ENFJ
INTJ INTP
ENTP ENTJ
6. 기능 및 기질별 특성
1) 네 가지 기능(ST/SF/NF/NT)별 특징
2) 네 가지 기질(ST/SF/NF/NT)별 특징
제5장 BGT
1. 개관
2. 이론적 배경
3. 도구의 구성
4. 실시
1) 준비물
2) 실시상의 유의사항
3) 여러 가지 실시 방법들
5. 평가 항목들과 그에 대한 해석
1) 조직화 방식
2) 크기의 일탈
3) 형태의 일탈
4) 형태의 왜곡
5) 그려나가는 방식
6. BGT에서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징
1) 기질적 뇌손상
2) 정신분열증
3) 신경증(성격장애 제외)
제6장 HTP 검사
1. 개관
2. 실시
1) 그림단계
2) 질문단계
3. 해석
1) 구조적/표현적 요소
2) 내용적 요소 : 집, 나무, 사람
제7장 Rorschach 검사
1. 개관
2. 도구의 구성
3. 실시
1) 준비물
2) 좌석 배치
3) 피검자에게 로르샤흐 검사를 소개하기
4) 지시
5) 피검자의 질문에 응답하기
6) 반응 기록
7) 질문 단계
4. 체점 체계
1) 반응 영역과 발달질
2) 결정인
3) 형태질
4) 반응 내용 및 평번반응
5) 조직화 활동
6) 특수 점수
5. 구조적 요약 및 해석
1) 점수 계열지
2) 구조적 요약-상단부
3) 구조적 요약-하단부
6. 로르샤흐의 내용분석
1) 각 카드들의 고유한 특징
2) 내용 분석의 방법
3) 내용 주제의 의미
제8장 TAT
1. 개관
2. 도구의 구성
3. 실시
4. 도판별 내용과 기본 반응
5. 해석
6. TAT에서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징
1) 정신분열증
2) 우울증
3) 경조증
4) 히스테리성 성격
5) 강박 장애
6) 편집증
7) 불안 장애
제9장 SCT
1. 개관
2. SSCT
1) 검사의 개발 과정
2) 실시
3) 해석과 평점
3. 사례
부록 Ⅰ Rorschach: 각 카드별 반응영역, 평범반응, Z값 및 반응별 형태질
부록 Ⅱ Rorschach: 능동 운동반응 a와 수동 운동반응 p
부록 Ⅲ Rorschach: 각 카드별 조직화 점수 (Z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