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독일고전철학의 인간론연구』
- 지은이 : 김주철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조선로동당출판사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1987
- 총페이지 수 : 235p
□ 해제
이 책은 독일고전철학의 인간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를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필자는 이 책에서 인간에 대한 독일고전철학자들의 견해를 분석평가함에 있어서 주체철학의 방법론에 기초하여 그들이 인간의 본질적특성을 무엇이라고 보았으며 주위세계와의 관계에서 인간의 지위와 역할을 어떻게 보았는가 하는데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음을 밝힌다.
□ 키워드
칸트, 피흐테, 쉘링, 헤겔, 포이에르바하
□ 목차
머리말
1. 독일고전철학의 철학사적위치와 사회계급적근원
1) 독일고전철학의 철학사적위치와 기본흐름
2) 독일고전철학의 사회계급적근원
2. 칸트철학의 인간론
1) 칸트철학에서 인간론이 차지하는 위치
2) 인간은 제한된 인식능력을 가진 존재
<<선험적인식능력>>을 가진 인간
<<이률배반>>에 빠진 인간
3) 인간은 추상적인 륜리도덕적존재
<<도덕성>>을 가진 인간
<<자유의지>>를 가진 인간
4) 인간의 자유와 객관적필연성
인간과 자연필연성
인간과 도덕적필연성
3. 피흐테와 쉘링 철학의 인간론
1) 피흐테철학의 인간론
2) 쉘링철학의 인간론
4. 헤겔철학의 인간론
1) 헤겔철학에서 인간론이 차지하는 위치
2) <<인간은 사유하는 존재>>
사유하는 인간
숙고하는 인간(자기의식)
3) 인간은 <<신적본성>>을 지닌 <<사회력사적존재>>
<<정신적존재>>로서의 인간
도덕, 인륜, 신앙을 가진 인간
4) <<인간은 자유를 가진 존재>>
5) 인간과 세계
인간과 자연
인간과 력사적필연성
5. 포이에르바흐철학의 인간론
1) 포이에르바흐철학에서 인간론이 차지하는 위치
2) 인간은 자연적, 개체적 존재
<<인간의 본질은 자연>>
개체로서의 인간
3) 인간은 류적존재
<<인간의 본질은 인간과 인간의 통일>>
인간의 류적본질
4) 인간은 <<리기주의>>와 <<행복욕>>을 가진 존재
5) 인간과 신, 인간과 자연
인간과 신
인간과 자연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