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동명왕릉에 대한 연구』
- 지은이 : 전제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1994
- 총페이지 수 : 195p
□ 해제
북한은 민족적 전통을 고조선-고구려-고려로 이어져 내려왔다고 본다. 동명왕릉의 개축과 단군릉, 고려 태조릉의 발굴로 한반도 역사의 중심은 평양이라고 주장한다. 이 책은 제1편에서 동명왕릉과 그 일대의 고구려무덤, 동명왕릉의 복원과 개건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2편에서는 동명왕릉을 위해 건설되었던 정릉사의 원상과 편년, 그의 개축을 고찰하였다.
□ 키워드
동명왕릉, 고구려무덤, 정릉사, 고구려시조 동명성왕비
□ 목차
머리말
제1편. 동명왕릉
제1장. 동명왕릉과 그 일대의 고구려무덤
제1절. 동명왕릉 성격에 대한 새로운 해명
제2절. 동명왕릉 장지의 자연지리적 조건과 무덤분포
1. 동명왕릉 장지의 자연지리적조건
2. 동명왕릉과 그 일대 고구려 무덤의 분포
제3절. 동명왕릉의 원상태
1. 동명왕릉의 외부구조
2. 동명왕릉의 내부구조
3. 동명왕릉의 내부장식
제4절. 동명왕릉 일대 고구려 무덤의 류형분류
1. 무덤의 외형에 의한 분류
2. 무덤내부구조에 의한 분류
3. 무덤내부장식에 의한 분류
제5절. 동명왕릉과 그 일대 고구려 무덤의 변천과 편년
1. 동명왕릉과 그 일대 고구려무덤 형식의 변천
2. 동명왕릉과 그 일대 고구려 무덤의 편년
3. 동명왕릉을 옮겨온 년대
제2장. 동명왕릉의 복원
제1절. 동명왕릉의 외형복원
1. 기단석과 봉분의 복원
2. 묘역시설의 복원
3. 릉각의 복원
제2절. 동명왕릉의 내부복원
1. 무덤 안길 및 앞칸의 복원
2. 무덤안칸의 복원
제3장. 개건된 동명왕릉
제1절. 왕릉과 돌조각상
1. 왕릉
2. 돌조각상
제2절. 제당과 릉문
1. 제당
2. 릉문
제3절. 비석과 비문
1. 《고구려시조 동명성왕비》와 《고구려시조 동명상왕기적비》
2. 《동명왕릉개건기념비》
제2편. 정릉사
제1장. 정릉사지와 출토유물
제1절. 정릉사건축지의 구조와 그 특징
1. 정릉사건축지의 평면구조
2. 정릉사건축지의 특성
제2절. 정릉사지와 우물에서 나온 유물
1. 정릉사지에서 나온 유물
2. 정릉사우물에서 나온 유물
제3절. 정릉사건축의 년대와 그 사명
1. 정릉사건축물의 축조년대
2. 정릉사건축의 성격과 사명
제2장. 정릉사의 복원
제1절. 정릉사건축에 쓰인 자의 복원
1. 자 복원의 전제
2. 자의 복원
제2절. 정릉사의 평면복원
1. 중심건축군의 복원
2. 서쪽건축군의 복원
3. 동쪽건축군의 복원
4. 정원지의 복원
제3절. 정릉사의 원상복원
1. 정릉사건축물 형식의 원상복원
2. 가람건물의 원상복원
제4절. 정릉사우물복원
1. 우물터의 복원
2. 8각정의 복원
제3장. 복구된 정릉사
제1절. 금당건물들과 탑
1. 금당건물
2. 정릉사의 탑
제2절. 중문과 회랑
1. 중문
2. 회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