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고려태조 왕건』(김은택 지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6)

조회수 3805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고려태조 왕건』
- 지은이 : 김은택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 출판연도 : 1996
- 총페이지 수: 144p

□ 해제

 북한은 민족적 전통을 고조선-고구려-고려로 이어져 내려왔다고 본다. 이 책은 고려를 건국한 왕건의 출신과 세력확장, 고려건국을 고찰하였다. 부록에는 왕건왕릉이 소개되어 있는데, 북한은 단군릉, 고려 태조릉의 발굴과 동명왕릉의 개축으로 한반도 역사의 중심은 평양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 북한은 신라의 ‘삼국통일’ 사실을 부정하면서 고려를 한반도 최초의 통일국가로 규정하고 있다. 1993년 단군릉 발굴 이래 단일민족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 책은 고려가 대내외적으로 크게 발전할 수 있던 이유가 바로 “단일민족이 처음으로 통일된 국토에서 민족의 힘을 모아 싸운 데 있다”고 통일의 역사적 의의를 정리하고 있다.

□ 키워드

왕건, 왕건왕릉, 고려건국, 왕권강화, 국토통일

□ 목차

머리말

1. 왕건의 출신과 그가 활동하던 시기(9세기말-10세기초)의 우리 나라 정세
1) 왕건의 출신
2) 왕건이 활동하던 시기(9세기말-10세기초)의 우리 나라 정세

2. 왕건의 성장과 세력확장, 고려건국
1) 왕건의 성장과 세력확장
2) 왕건에 의한 고려건국과 왕권강화

3. 고려에 의한 국토통일
1) 국토의 통일
2) 국토통일이 가지는 력사적의의

(부록)
왕건왕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