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철학과 사회학 비판』
- 지은이 : 미상
- 출판국가, 도시 : 미상
- 출판사 : 미상
- 출판연도 : 미상
- 총페이지 수 : 209p
□ 해제
이 책은 <현대 브르조아 반동철학 및 사회학 비판>과 <향도의 횃불 1: 主體思想 敎養에서 提起되는 몇가지 問題에 대하여>를 합본한 책이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첫 번째 부분은 주체철학적인 관점에서 19세기부터 발생한 생철학, 실용주의, 실증주의, 인도주의와 같은 사상적 경향을 비판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두 번째 부분은 1986년 김정일의 담화문인 <주체사상교양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하여>를 해설하고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두 번째 부분은 주체사상의 본질적 내용 및 철학적 원리 그리고 ‘수령-당-대중’이라는 핵심원리를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 키워드
브르주아 철학, 생철학, 실용주의, 실증주의, 주체사상
□ 목차
Ⅰ. 현대 브르조아 반동철학 비판
1.
2. 생철학의 반동성
3. 실용주의 반동성
(1) 실용주의 진리관의 반동성
(2) 실용주의 교육이론의 반동성
(3) 실용주의 인생관의 반동성
4. 실존주의의 반동성
(1) 실존주의 존재론의 반동성
(2) 실존주의 자유론의 반동성
(3) 실존주의 인생관의 반동성
5. 논리적 실증주의의 반동성
6. 인격주의의 반동성
7. 구조주의의 반동성
(1) 구조주의의 발생과 그 해독성
(2) 구조주의 철학 원리의 반동성
(3) 구조주의 사회역사이론의 반동성
(4) 구조주의 인생관의 반동성
Ⅱ. 현대 브르조아 사회학 비판
1.
2. 지정학의 반동성
3. 브르조아 민주주의의 반동성
(1) 브르조아민주주의는 극소수 착취계급을 위한 민주주의
(2) 브르조아민주주의는 근로민중에게 무권리와 불평등을 강요하고 있다.
(3) 브르조아민주주의는 반공을 위한 사상적 도구이다.
4. 브르조아적 자유의 본질과 그 반동성
(1) 브르조아적 자유의 본질
(2) 브르조아적 자유의 반동성
5. 브르조아 인도주의의 본질과 그 반동성
(1) 브르조아 인도주의의 본질
(2) 브르조아 인도주의의 반동성
주체사상 교양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해설>
Ⅰ. 주체사상의 혁명성
1.
2. 왜 사람을 중심으로 세계를 보아야 하는가
3. 인간의 운명개척에서 노는 주체사상의 역할
Ⅱ. 주체사상의 본질적 내용
1.
2. 주체의 사회역사관
Ⅲ. 기타 주체사상 교양의 몇가지 문제
1.
2. 맑스-레닌주의의 계승ㆍ발전
3. 사상교양, 계급교양
Ⅳ. 혁명주체에 대하여
1.
2. 인민대중의 통일단결은 불패의 힘이다
3. 혁명주체에 대한 주체적 견해
Ⅴ. 수령-당-대중의 통일단결
1.
2. 수령-당-대중의 통일단결에 관한 사상
3. 혁명적 수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