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새롭게 보는 세상 절세의 위인과 세계』
- 지은이 : 조성박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평양출판사
- 출판연도 : 2003
- 총페이지 수 : 358p
□ 해제
필자는 미래 학자 앨빈 토플러의 말을 빌어 “이제부터는 두뇌사회”라서 “21세기의 지도자는 슈퍼 휴먼형이 되어야 한다”고 한다. 즉 탁월한 예지와 지능을 바탕으로 감수성과 친화력을 겸비하여 높은 경영 성과를 낼 위인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필자는 세상을 보고 평가하는 김정일의 독특한 사람 중심의 가치관과 사고방식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왔다. 그의 결론은 김정일의 사고방식이 예지로 빛나는 비상하게 심오하고 다방면적이고 전면적인 것이라고 한다.
□ 키워드
인간의 가치, 삶의 가치, 예술의 가치, 혁명, 철학, 주체
□ 목차
1. 세상을 보고 평가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1) 가치평가의 기준
2) 가치평가의 주체
2. 세계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1) 세계란 무엇인가
2) 세계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
3. 인류력사는 어떤 력사인가
1) 인류력사는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위한 투쟁의 력사이다
2) 인류력사는 인민대중의 창조의 력사이다
4. 우리 시대는 어떤 시대인가
5.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과 가장 귀중한 것은 무엇인가
1)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
2) 세상에서 가장 귀중한 것
3)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운 존재
4) 세상에서 가장 힘 있는 존재
6. 사람에게서 가장 귀중한 것은 무엇인가
1) 가장 귀중한 것은 사회정치적 생명
2) 목숨보다 귀중한 것은 신념과 량심
3) 가장 큰 장점은 창조적 열정
4) 가장 중요한 기질은 고지식함
7. 인간의 가치는 어디에 있는가
1) 가치 있는 인간
(1) 훌륭한 사상을 지닌 인간
(2) 높은 지식을 소유한 인간
(3) 집단주의적 인간
(4) 자주적인 인간
(5) 정의로운 인간
2) 가치 없는 인간
(1) 제일 너절하고 더러운 인간
(2) 제일 경멸해야 할 인간
(3) 제일 쓸모없는 인간
(4) 정치적으로 믿기 어려운 인간
(5) 제일 가련한 인간
(6) 제일 추악한 인간
8. 삶의 가치는 어디에 있는가
1) 값 있는 삶
(1) 국가와 사회의 주인으로 되어 누리는 삶
(2) 후회 없이 떳떳하게 사는 삶
(3) 한순간을 살아도 영웅적으로 사는 삶
(4) 창조와 투쟁 속에서 벌어지는 삶
2) 값 없는 삶
(1) 리기적인 삶
(2) 개인주의적인 삶
(3) 노예적인 삶
(4) 타락하고 좌절 당하는 삶
9. 아름다운 것이라 무엇인가
1) 아름다운 것의 기준
2) 자연의 아름다움
(1) 자연경치의 아름다움
(2) 꽃의 아름다움
3) 인간의 아름다움
4) 사회의 아름다움
5) 건축의 아름다움
(1) 주체건축의 아름다움
(2) 평양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
10. 예술의 가치는 어디에 있는가
1) 가장 고상하고 진정한 예술
2) 명곡
3) 대작
4) 명대사
11. 자기의 것과 남의 것
(1) 자기의 힘과 남의 힘
(2) 남의 집 금덩어리와 자기 집 쇠덩어리
(3) 남의 소리와 자기 소리
(4) 남의 창조물과 자기의 창조물
(5) 세계의 명곡과 우리 나라 노래
(6) 우리 식보다 더 좋은 식은 없다
12. 사회발전에서 새것과 낡은것
1) 사회발전에서 새것이란 무엇인가
(1) 새것과 낡은 것의 기준
(2) 사회주의는 새것이다
(3) 진보와 반동
(4) 선과 악
(5) 정의의 전쟁과 부정의의 전쟁
(6) 시련은 일시적이고 승리는 영원하다
2) 사회발전에서 낡은것이란 무엇인가
(1) 자본주의는 낡은것이다
(2) 자본주의는 인민대중의 무덤
(3) 자본주의사회에는 앞날이 없다
13. 어떤 해방을 해야 하는가
(1) 민족해방을 해야 한다
(2) 계급해방을 해야 한다
(3) 인간해방을 해야 한다
14. 어떤 혁명을 해야 하는가
(1) 낡은 사회제도를 새로운 사회제도로 바꾸는 혁명을 해야 한다
(2) 사상혁명을 해야 한다
(3) 기술혁명을 해야 한다
(4) 문화혁명을 해야 한다
15. 무엇을 개조해야 하는가
(1) 자연을 개조해야 한다
(2) 사회를 개조해야 한다
(3) 인간을 개조해야 한다
16. 사회생활에는 어떤 분야가 있는가
(1) 정치생활
(2) 경제생
(3) 사상문화생활
17. 가장 높은 단계의 것은 무엇인가
(1) 가장 높은 단계의 사상의식
(2) 가장 진보적인 사상
(3) 가장 선진적인 사회제도
(4) 가장 아름다운 인간의 본보기
(5) 선군정치는 가장 위력한 사회주의 정치방식
(6) 가장 인민적이고 헌신적인 인간
(7) 최고의 혁명적 의리
(8) 세상에서 가장 강한 힘
(9) 최대의 사랑
(10) 사랑의 최고봉
(11) 혁명의 제일선
(12) 최고의 애국
(13) 최고의 인격
(14) 세계관 발전의 가장 높은 단계
18. 무엇이 더 중요한가
(1) 돈이 귀중한 것이 아니라 사람이 귀중하다
(2) 조국을 위하여 당이 있다
(3) 인민대중을 위하여 수령도 있고 당도 있다
(4) 민족이 있고서야 계급도 있다
(5) 사회주의 사회에서는 돈이 아니라 사람이 기본이다
(7) 사상적 요인이 결정적이다
(8) 정치 도덕적 자극이 위주이다
19. 무엇이 생명으로 되는가
(1) 자주성은 인간의 생명
(2) 자주성은 민족의 생명
(3) 주체사상은 이북의 사회주의의 생명
(4) 사회주의는 이북인민의 생명
(5) 사회주의 사상은 사회주의의 생명
(6) 신념은 혁명하는 당과 인민의 생명
(7) 혁명가에게 있어서 원칙성은 생명
(8) 창작적 열정은 창작가의 생명
(9) 규률은 조직의 생명
(10) 주체성은 문학의 생명
20. 무엇이 핵으로 되는가
(1) 주체사상의 핵
(2) 혁명에서 수령문제가 기본 핵
(3) 혁명적 수령관은 혁명적 세계관의 핵
(4) 로동계급의 계급의식은 사회주의 사상에서 핵
(5) 수령에 대한 충실성은 혁명적 인생관의 핵
(6) 신념은 인생의 가치를 규정하는 기본 핵
(7) 민족 자주의 원칙은 민족문제 해결의 핵
21. 무엇이 기초로 되는가
(1) 사회주의 사회의 기초
(2) 사회주의 도덕의 기초
(3) 사회주의의 사상적 기초
(4) 당건설의 기초
(5) 민족적 단결의 기초
(6) 수령, 당, 대중사이의 관계의 기초
(7) 국제관계의 기초
(8) 경제적 진보의 기초
(9) 음악의 기초
(10) 체육의 기초
(11) 사회주의 사상의 경제적, 물질적 기초
22. 어떤 것이 철학인가
(1) 조선 로동당의 혁명 철학
(2) 수령의 철학
(3) 주체의 철학 사상
(4) 조선 로동당의 철학
(5) 혁명철학
(6) 정치철학
(7) 인민적인 철학
(8) 생활의 철학
23. 무엇이 주체인가
(1) 사회력사의 주체
(2) 력사의 자주적인 주체
(3) 애국은 주체
(4) 자기의 것을 사랑하고 귀중히 여기는 것이 주체
(5) 대외활동에서 기본은 주체
(6) 창작의 주체
(7) 사상에서 주체
(8) 온 세계 자주화의 주체
24. 무엇을 선행해야 하는가
(1) 사회 정치적 자주성의 실현을 선행해야 한다
(2) 군사를 선행해야 한다
(3) 정치 사업을 선행해야 한다
25. 무엇을 중시해야 하는가
(1) 사상을 중시해야 한다
(2) 총대를 중시해야 한다
(3) 과학기술을 중시해야 한다
(4) 청년을 중시해야 한다
(5) 종자를 중시해야 한다
26. 어떤 세계를 건설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