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이야기 치료의 지도』( Michael White 지음·이선혜 외 공역, 학지사, 2009)

조회수 4068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이야기 치료의 지도』
- 지은이 : Michael White 저/ 이선혜 · 정슬기 · 허남순 공역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학지사
- 출판연도 : 2009
- 총페이지 수 : 351p

□ 해제

 이 책은 저자가 삶의 문제와 어려움으로 자문을 구하러 오는 사람과의 여행에서 지침서 역할을 할 책으로 쓰여 졌다. 여행에서 지도가 필요하듯 저자와 내담자 간의 여행에서 지도 역할을 위해 구성한 것이다. 이 책이 제시하는 지도는 목적지로 연결된 길이 다양하다. 치료 과정을 보다 더 자세히 실었지만 여기 나오는 이야기가 ‘진짜’ 혹은 ‘정확한’ 지침서는 아니라는 점을 저자는 강조한다. 저자는 내담자를 통제할 목적으로 이 지도를 사용하지 않으며 치료 대화는 순서가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도 강조한다. 그러나 책에서 제시한 지도는 내담자 삶에서 간과하는 측면을 탐색하는 기회를 열어주며, 내담자는 예전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자신의 삶의 문제와 어려움을 다룰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 키워드

외재화 대화, 다시쓰기, 회원재구성 대화, 정의예식, 거푸집짓기 관점에서 본 외재화

□ 목차

* 역자 서문

* 추천사

* 한국어판 서문

* 감사의 글

서언

제 1장 외재화: 문제와 사람을 분리하는 대화
제프리 이야기
외재화 대화의 기원
외재화 대화의 이론적 토대
치료자의 자세
외재화 대화의 은유
총체화하기
외재화 대화의 대안적 활용
입장말하기(1): 외재화 대화의 지도
결론

제 2장 다시쓰기: 자기 이야기를 다시 쓰는 대화
라이엄 이야기
다시 쓰기 대화의 구조
라이엄 모자의 다시쓰기 대화: 지도로 그려 보기
정체성 질문의 목적과 기대효과
지향상태와 내면상태
정체성 영역: 마음의 서류함
이야기 심층 연구
결론

제 3장 회원재구성: 인생 회원을 재구성하는 대화
제시카 이야기
새로운 안녕
회원재구성 대화의 목적과 기대효과
토머스 이야기
결론

제 4장 정의예식: 정체성을 재정의하는 예식
피오나 가족 이야기
청중 참여시키기: 정의예식의 개발과정
정의예식의 기원
장의예식의 치료적 활용
정의예식의 구조
외부증인의 선정
정의예식과 치료적 책임
과학기술, 익명성 및 윤리
결론

제 5장 독특한 결과: 독특한 결과를 조명하는 대화
피터 모자 이야기
독특한 결과
입장말하기(2)
입장말하기(2)를 대화 중간에 적용하기
이야기 대화의 특징: 독특한 결과에서 풍부한 이야기 전개까지
결론

제 6장 거푸집짓기: 현재와 미래 사이에 거푸집을 짓는 대화
페트라 이야기
주체의식과 책임 있는 행동
주체의식, 책임 있는 행동, 개념 발달
근접발달영역과 치료
치료자의 책임
거푸집짓기 관점에서 본 외재화
결론

결어

* 추천도서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