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남명학연구총서 5:한강 정구』
- 지은이 : 남명학연구원(편)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예문서원
- 출판연도 : 2011
- 총페이지 수 : 555p
□ 해제
이 책은 남명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한강 정구의 학문인 한강학을 연구한 책이다. 한강은 24세 되던 해에 남명을 산천재로 찾아갔었고, 당시 남명은 66세의 노학자였으며, 남명은 한강을 제자로 받아들였다. 남명학파에서 한강의 위치는 독특하다. 한강이 퇴계 이황도 스승으로 섬기며 퇴계학파의 중심인물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남명도 심학을 중시했으나 한강은 퇴계의 심학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여 『심경발휘』를 쓴다. 이 책은 이 주제에 대해 15편의 논문을 엄선하여 실었다.
□ 키워드
남명학, 선비문화, 한강학, 심학, 경의사상
□ 목차
서문
제1장 『한강집』 해제 || 정우락
1. 서지사항
2. 간행 경위
3. 저자 소개
제2장 한강 정구의 학문연원과 도통적 위상 || 우경섭
1. 머리말
2. 가계 및 생애
3. 학문연원과 도통의식
4. 후대의 평가와 도통적 위상
5. 맺음말
제3장 한강 정구의 학문과 조선유학사에서의 위치 || 최영성
1. 머리말
2. 학문 배경 및 유학사에서의 위치
3. 학문방법과 학문성향
4. 심학의 전개와 양기집의
5. 예학사상의 특질과 복고정신
6. 응용구시의 학풍과 실학사상의 연원
7. 맺음말
제4장 한강 정구의 수양론 || 유권종
1. 서론
2. 성학적 의식기반
3. 심학적 수양의 요령
1) 마음
2) 경
3) 체현
4. 심학과 예학의 상호연관
5. 통합적 기제로서의 심학의 구조
6. 결론
제5장 『심경발휘』에 나타난 한강 심학의 특성 || 전재강
1. 『심경발휘』와 『심경부주』
2. 편집 경위와 체계
1) 편집 경위
2) 편집 체계
3. 한강 심학의 특성
1) 천인조화의 심학
2) 도문학과 존덕성의 심학
3) 천인조화와 ‘경’ 중심의 심학
제6장 한강 정구와 조선 중기 대구권 성리학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 장윤수, 임종진
1. 서론
2. 한강 정구의 사상과 삶의 지향성
1) 학문적 연원
2) 심학사상
3) 예학사상
4) 사회적 실천성
3. 조선 중기 대구권 성리학자들의 사상과 삶의 지향성
1) 괴헌 곽재겸의 사상과 삶
2) 낙재 서사원의 사상과 삶
3) 모당 손처눌의 사상과 삶
4) 기타 대구권의 문인들
4. 정구와 조선 중기 대구권 성리학의 연계성
1) 학문적 연원
2) 심학사상과 예학사상
3) 사회적 실천성
5. 결론
제7장 한강 정구의 예학사상 || 금장태
1. 문제의 성격
2. 정구 예학의 배경
3. 정구 예학의 기본구조와 체계
4. 정구 예학의 중요 과제와 쟁점
5. 정구 예학의 특성과 의의
제8장 선유를 통해 본 낙강 연안지역 선비들의 집단의식 || 김학수
1. 머리말
2. 낙강의 공간적 특성과 선유 전통: 공간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상징의 창출
3. 17세기 낙강 연안지역 선비들의 선유와 집단의식: 한려학인을 중심으로
1) 소통과 사교: 문화 공감
2) 학문과 연대: 학술 공감
4. 맺음말
제9장 한강 정구의 학문성향과 문학 || 이상필
1. 머리말
2. 학문배경
3. 학문성향
1) 이황과 조식의 학문관
2) 정구의 학문 성향: 궁리거경과 치용
4. 작품세계
1) 문학관
2) 구도에의 의지와 자연과의 합일
5. 맺음말
제10장 한강 정구의 「유가야산론」과 그 심미경계 || 박영민
1. 서론
2. 유산, 자연과의 심성적 교감에서 천리의 체득으로 나아가는 길
3. 관물우회와 완물상지의 경계를 깨닫다
4. 유산의 절정과 자득지락의 심미경계
5. 결론
제11장 한강 정구의 사회교육사상 || 송준식
1. 서론
2. 정구의 사회교육관
3. 서원을 통한 사회교육
4. 독서계를 통한 사회교육
5. 향음주례를 통한 사회교육
6. 결론
제12장 한강 정구의 무흘정사 건립과 저술활동 || 정우락
1. 문제의 제기
2. 정구의 무흘 입동 이유
3. 무흘정사의 위치와 구조
4. 무흘정사에서의 저술활동
5. 무흘정사의 연혁
6. 남은 문제들
제13장 한강 정구의 유거공간과 「무흘구곡도」 || 윤진영
1. 머리말
2. 구곡도의 전승과 무흘구곡
1) 구곡도의 전승과정
2) 무흘구곡의 조성과 특징
3. 「무흘구곡도」의 검토
1) 현황과 특징
2) 그림과 실경의 비교
3) 화풍의 특징
4. 맺음말
제14장 16~17세기 한강 정구의 지리지 편찬 || 김문식
1. 머리말
2. 생애와 저술
1) 수학기(1543~1579)
2) 사환기(1580~1608)
3) 은퇴기(1609~1620)
3. 지리지 개관
1) 『창산지』
2) 『동복지』
3) 『함주지』
4) 『통천지』
5) 『임영지』
6) 『관동지』
7) 『충원지』
8) 『곡사동암지』, 『무이지』, 『와룡지』
9) 『복주지』
4. 『함주지』의 분석
1) 체제
2) 내용
5. 지리지 편찬의 의의
6. 맺음말
제15장 『檜淵及門諸賢錄』 小考 || 권연웅
1. 서언
2. 편찬과정 및 체제
3. 한려시비
4. 문인의 성분
1) 연배
2) 성씨와 혈연관계
3) 과거와 관직
4) 사제관계
5. 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