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나와 주체사상과의 대화 - 질의 응답을 통해 알아 본 주체사상의 올바른 이해』(김현환 지음, 미주자주사상연구소, 1998)

조회수 3861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나와 주체사상과의 대화 - 질의 응답을 통해 알아 본 주체사상의 올바른 이해』
- 지은이 : 김현환
- 출판국가, 도시 : USA, Downey
- 출판사 : 미주자주사상연구소
- 출판연도 : 1998
- 총페이지 수 : 230p

□ 해제

 이 책은 주체사상이 김일성주의와 동일시 될 경우, 김정일의 위치가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지가 문제가 됨에 따라 이 삼자의 관계를 재정립하기 위해 쓰여진 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주체사상을 김일성주의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규정하고 김일성주의는 좀 더 포괄적인 주체의 사상, 혁명이론, 영도방법의 구성체계로 이루어져 있는 좀 더 넓은 범주를 가리킨다고 말한다. 김정일의 역할은 이러한 김일성 혁명사상의 ‘정식화’를 행하는 것이라고 주장된다.

□ 키워드

주체사상, 김일성주의, 김정일, 수령론, 민중중심

□ 목차

머리말

총론: 주체사상과 김일성주의
1) 주체사상과 김일성주의의 관계
2) 김일성주의의 정식화와 김정일 영도자의 역할
3) 김일성주의의 진수, ‘맑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 논의
4) 김일성주의의 구성체계, “비노동계급성” 논의

제1장: 주체사상의 창시와 전일적 체계를 갖춘 학설로의 심화 발전
제1절: 주체사상의 창시문제
 1) 사상의 창시를 보는 방법론적 시각
  가) 사상의 창시를 확정하는 기준
  나) 역사적 시대의 요청, 시대평가의 척도
 2) 주체사상의 창시, 주체사상의 진수와 자주노선
제2절: 주체사상이 전일적 체계를 갖춘 학설로의 심화발전 과정
 1) 혁명발전 단계에 따르는 주체사상의 심화발전
 2) 김정일총비서에 의한 주체사상의 전면적 계화와 심화발전
  가) 주체사상의 전면적 체계화, 정식화
  나) 주체의 사상, 이론. 방법의 새로운 심화발전

제2장: 김일성주의의 견인력의 원천
제1절: 사상의 진수를 이루는 근본원리의 독창성과 우월성
 1) 사람위주의 철학적 원리의 독창성
 2) 사람위주의 철학적 원리와 사상사에서의 근본적 전환
제2절: 내용과 구성체계의 전일성과 완벽성
 1) 철의 논리성과 내용의 전일성
 2) 구성체계의 완벽성
제3절: 사상이론의 혁명성과 현실성
 1) 혁명실천의 세계관, “이민위천”의 정치철학
 2) 주체를 강화하여 혁명의 승리를 담보하는 사상
 3) 백과전서적 혁명사상
제4절: 주체사상과 맑스-레닌주의의 계승성과 독창성
 1) 계승성에 대한 논의
 2) 독창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

제3장: 인간위주의 철학적 세계관의 독창성문제
제1절: 인간위주의 철학의 근본문제
 1) 철학의 근본문제 개념의 본의에 대한 논의
 2) 세계관의 사명과 철학의 근본문제
 3) 시대적 요청과 철학의 근본문제
제2절: 주체의 인간본성론 논의
 1) 사회적 존재의 본의, 인간의 본질적 속성
 2) 인간의 본성에 대한 진화론적 고찰의 문제점
 3) 주체적 인간관의 계급적 성격 논의
제3절: 인간을 위주로 하는 세계에 대한 견해
 1) 세계에 대한 주체적 견해와 관념론 조작의 허구성
 2) 세계관의 사명과 세계에 대한 유물변증법적 견해
제4절: 인간을 위주로 하여 세계에 대하는 관점과 입장 논의
 1) 인간을 위주로 하여 세계에 대하는 관점, 입장, “주관주의” 논의
 2) 인간위주의 철학적 방법론과 “실용주의,” 주의설“ 논의

제4장: 민중중심의 사회역사관의 독창성 문제
제1절: 사회의 본질과 구성요소
 1) 사회의 본질과 생산관계
 2) 사회의 구성요소
 3) 사회의 면모, 사회체제론과 사회경제구성체론
제2절: 사회역사적 운동을 보는 주체적 시각
 1) 사회역사적 운동의 본질적 특성에 대한 논의
 2) 사회역사적 운동의 법칙에 대한 이해
제3절: 사회역사적 운동의 주체문제에 관한 논의
 1) 사회역사적 운동의 주체, “민중” 개념의 “몰계급성” 논의
 2) 역사발전의 결정적 요인
제4절: 사회역사적 운동의 고유한 합법칙성
 1) 자주성을 옹호하기 위한 투쟁의 역사와 ‘계급투쟁 지상론’
 2) 민중의 창조적 운동과 ‘혁명성’ 논의
 3) 변혁운동에서 민중의 자주적 사상의식의 결정적 역할과 ‘관념론’

제5장: 주체의 혁명적 수령관의 독창성 문제
제1절: 혁명적 수령관의 본질에 관한 논의
 1) 혁명적 수령관의 본질
 2) ‘수령 절대화론’의 저의
제2절: ‘수령’범주의 정치철학적 의미
 1) 사회정치적 생명체의 생명의 중심과 ‘이원론’ 논쟁
 2) ‘수령’과 개인, ‘신비주의’에 대한 주장의 저의
제3절: 수령의 지위와 역할 문제의 논의
 1) 역사발전에서 수령의 지위와 ‘계급화해론’
 2) 역사발전에서 수령의 역할과 ‘자각론’
제4절: 수령을 모시는 자세와 입장의 논의
 1) 수령을 모시는 자세와 입장, ‘종교적 교권주의’ 주장의 저의
 2) ‘수령복’과 ‘인민복’

끝맺는 말
1) 세상을 구원할 새로운 복음
2) 영생의 삶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