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사랑과 통일의 실천철학』(井上周八 지음, 도서출판 조국, 1990)

조회수 3563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사랑과 통일의 실천철학』
- 지은이 : 井上周八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도서출판 조국
- 출판연도 : 1990
- 총페이지 수 : 424p 

□ 해제

 이 책은 주체사상을 ‘새시대사상’이라고 규정하고 마르크스-레닌주의와의 관계에서 주체사상의 독창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변증법적 유물론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시작하여 이 책은 주체사상의 인간관, 사회관, 역사관을 설명하고 이에 근거하여 새시대사상에 부합하는 지도적 원칙 및 인생관으로 주체사상의 수령론에 근거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이 책은 마르크스-레닌주의와 구별되는 주체사상의 독창성을 제시하고 있다. 

□ 키워드

주체사상, 물질관, 인간관, 사회관, 역사관,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  

□ 목차

서장 새시대사상이란 어떠한 사상인가

제1장 새시대사상의 창시와 발전

제2장 새시대사상의 물질관
 
- 세계의 일반적 특징에 대하여 -
제1절 세계의 물질성과 물질의 객관적 존재성 및 능동성
제2절 물질의 구조, 성질 및 운동
제3절 물질의 주체적 속성
제4절 물질의 진화․발전
제5절 물질의 존재와 속성 및 물질의 양과 질
 1. 물질의 존재와 속성
 2. 물질의 양과 질

제3장 물질의 운동․변화․발전의 법칙
 
- 변증법에 대하여 -
제1절 양질의 법칙
제2절 대립물의 투쟁과 통일의 법칙
제3절 부정의 부정의 법칙
제4절 변증법의 3대법칙의 관계

제4장 새시대사상의 인간관
제1절 물질세계의 특출한 존재인 인간
제2절 자주성
제3절 창조성
제4절 의식성
제5절 3대속성의 연관
제6절 지금까지의 인간관

제5장 세계에서 인간의 지위와 역할
제1절 새시대사상의 철학적 원리
제2절 세계에서 인간의 지위
제3절 세계에서 인간의 역할
제4절 세계에서 인간의 지위와 역할의 관련

제6장 새시대사상의 사회관
제1절 사회란 무엇인가
제2절 사회의 본질적 속성
 1. 사회의 자주성
 2. 사회의 창조성
 3. 사회적 의식
제3절 사회적 의식의 몇가지 분야에 대하여
 1. 철학
 2. 종교
 3. 과학
 4. 철학과 종교와 개별과학의 관계
 5. 도덕
 6. 문학․예술

제7장 사회적 운동의 일반적 법칙
제1절 사회적 운동의 고유한 성격과 원동력
제2절 사회적 운동의 기본형태
 1. 자연개조
 2. 사회개조
 3. 인간개조
 4. 3대개조운동의 연관
 5. 3대개조운동과 3대혁명운동

제8장 새시대사상의 역사관
제1절 사회발전의 특질과 법칙
제2절 사회발전의 역사적 과정
 1. 다섯가지 사회형태
 2. 씨족이전사회(원시인군)에서 원시씨족사회로
 3. 노예제사회
 4. 봉건제사회
 5. 자본제사회
 6. 지주를 지향하는 전 세계 인민의 전진

제9장 새시대사상의 방법론
제1절 방법론의 의의
제2절 새시대사상의 지도적 원칙
 1. 자주적 입장의 견지
 2. 창조적 입장의 견지
제3절 새시대사상의 지도조직체계
 - 당․수령․대중의 상호관계 -

제10장 새시대사상의 인생관
제1절 세계관과 인생관
제2절 인간의 본성을 따른 생활방식
 1. 자주적인 생활방식
 2. 창조적인 생활방식
 3. 사회적․집단적인 생활방식

제11장 인류의 이상사회
제1절 이상사회의 변천
제2절 마르그크의 이상사회와 그 문제점
제3절 공산주의사회에서의 분배 문제
 - 필요에 따른 분배와 역할에 따른 분배 -
제4절 공산주의사회에서의 노동의 성격
제5절 이상사회의 자유․평등
 - 자유로운 생활과 자주적인 생활 -
제6절 전 세계의 이상사회화

제12장 새시대사상의 독창성
제1절 새시대사상과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관계
제2절 인간관의 독창성
제3절 사회관의 독창성
제4절 역사관의 독창성
제5절 혁명론의 독창성
제6절 의식론․인식론의 독창성
제7절 구성과 내용상의 독창성

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