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도시전승설화자료집성 1:서울지역 서울 종묘공원』(신동흔 외 지음, 민속원, 2009)

조회수 3873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도시전승설화자료집성 1:서울지역 서울 종묘공원』
- 지은이 : 신동흔 외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년도 : 2009
- 총페이지 수 : 440p

□ 해제

「도시전승 설화자료 집성 1」은 각 이야기별로 다양한 이야기자료들을 최대한 충실히 포괄하여 보여줌으로써 사람들이 모인 실제 현장에서 이야기가 소통되는 양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어떤 이야기판의 경우 설화가 아닌 실담류 이야기가 주종을 이루는 사례도 있거니와 이 또한 21세기에 접어든 한국사회의 노년층 이야기문화의 실상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면서도 자료집의 표제를 설화자료 집성이라고 한 것은 여전히 설화가 자료의 주종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며, 여타 이야기들이 설화와의 관련 속에서 이해될 수 있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 키워드

도시전승, 설화 자료, 실담, 이야기판, 소통

□ 목차

일러두기

머리말

서울 종묘공원 1 |50928|
효교리 지명 유래
세조대왕의 죄책감
단종과 사육신
이방원의 등극 과정
폭군 연산군
광해군의 등극 과정
일본의 무서운 정신
우리나라 최초의 철로와 공원
마지막 황세손 이구
흥선대원군과 안동김씨
홍경래의 난과 김삿갓
강화도령 철종
고종의 가족관계
덕혜옹주의 비참한 죽음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
고종과 인조의 피난
나라를 빼앗겨 수모당한 여성들
현대의 가족계획문제, 실업문제, 정치문제
고종황제의 이름과 왕의 옷
돈 없는 사람이 잘 사는 세상
진정한 친구
지혜로운 노인 이야기

서울 종묘공원 2 |51123|
천자문 유래

서울 종묘공원 3 |51130|
영의정 사위 된 머슴
파발령 전설(시아버지와 남편 묻어준 소금장수)
철종대왕 출생담
성삼문 이야기
시 지어 유숙한 김삿갓

서울 종묘공원 4 |51207|
종묘 정문 창엽문(蒼葉門)의 사연

서울 종묘공원 5 |603232|
호랑이에게 얼굴 찢긴 머슴
파발령 전설(시아버지와 남편 묻어준 소금장수)
내 복에 먹고 산다
천 냥 받고 대리 장가가기

서울 종묘공원 6 |60408|
박삼충 이야기
이수일과 심순애 변사극
쥐약 장사하며 살아온 이야기
세조와 그의 딸 이야기
천 냥짜리 점보고 팔자 고친 머슴
복 많은 여자와 숯구이 총각
임금과 친구가 된 쇠돌이

서울 종묘공원 7 |60413|
왕건의 고려 건국 이야기
신립장군이 탄금대로 간 이유
우렁이 각시(황씨 성의 유래)
죽은 자리가 더 좋은 명당
서문시장 지게꾼이 팔자 고친 이야기
유의태와 효자 이야기
오성대감 이야기
박문수 어사와 효자
성풍세 효자문의 내력

서울 종묘공원 8 |60427|
장난끼 많은 오성대감과 부인
장난끼 많은 오성대감과 한음
인조반정을 예견한 오성대감
정의를 지킨 정도령(오늘 저녁에 인연을 맺으면)
김선달 이야기

서울 종묘공원 9 |60511|
동고 하인 피씨 사위 이야기
신립장군 이야기
숙종대왕 이야기
공자 이야기
이방원의 등극을 반대한 정도전과 효령대군
단종과 그의 부인
사능에 묻힌 인물들
황진이와 묘터 옆의 물 나오는 바위
남사고 이야기(중이 제 머리 못 깎는다)
천년 역사 신라
왕릉 부근에 억새풀, 떡갈나무, 소나무가 있는 이유
순장제도
흥선대원군의 파란만장한 삶
명성황후의 죽음
마지막 황손 이구의 죽음과 이승만
이구 영정에 박근혜가 꽃을 올리는 이유
덕혜옹주의 희생
고려장에 얽힌 사연

서울 종묘공원 10 |60601|
고추 장사하며 살아온 이야기
덕혜옹주의 비참한 죽음
이방원의 등극
단종 이야기
연산군 이야기

서울 종묘공원 11 |70407|
박삼충 이야기
효종대왕과 이완대장
생거진천 사후용인
신대장 헌봉초 잡아들이기
현풍 곽씨 집안 효자문
어사 박문수와 어린 아이

제1권 자료 총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