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부문사:조선농민폭동사』(전영률·최영식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10)

조회수 3685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조선부문사:조선농민폭동사』
- 지은이 : 전영률·최영식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년도 : 2010
- 총페이지 수 : 781p

□ 목차

머리말

서장

제1편. 삼국 및 발해, 후기신라시기 농민들의 투쟁
제1장. 봉건적업압과 착취를 반대한 삼국 인민들의 투쟁
 제1절. 고구려통치자들의 억압과 착취의 강화, 그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1. 봉건적 수탈의 강화와 인민들의 처지
  2. 봉건적 억압과 착취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제2절. 백제통치자들의 억압과 착취의 강화, 봉건통치자들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1. 봉건통치기구의 정비와 억압과 착취의 강화
  2. 봉건적억압과 수탈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3절. 전기신라통치자들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1. 봉건적신분관계와 인민들에 대한 착취의 강화
  2. 봉건적억압과 착취를 반대한 전기신라인민들의 투쟁
제2장. 발해의 농민폭독
제3장. 후기신라농민폭동
 제1절. 후기신라의 봉건적중앙집권의 약화와 통치체계의 문란, 인민들에 대한 착취의 강화
 제2절. 8세기 후반기 봉건적억압과 착취를 반대한 농민들의 투쟁
  제3절. 9세기 전반기 봉건적대토지소유의 장성과 인민들의 생활처지, 농민폭동의 양양
 제4절. 9세기말 농민전쟁
  1. 농민전쟁의 폭발과 그 요인
  2. 농민전쟁의 확대발전
  3. 농민전쟁이 가지는 력사적의의와 그 제한성

제2편. 고려시기의 농민폭동
제1장. 10세기~12세기 전반기 농민폭동
 제1절. 고려 전반기 국내외정세
 제2절. 봉건적억압과 착취의 강화, 인민들의 처지
 제3절. 10~11세기 봉건적억압과 착취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제4절. 1135~1136년 서경농민전쟁
  1. 농민전쟁전야의 정세
  2. 묘청을 비롯한 반사대세력의 대두
  3. 서경농민전쟁과 그 의의
 제5절. 12세기 중엽 중남부지역의 농민폭동
 제6절. 10세기~12세기 전반기 농민폭동의 력사적 의의
제2장. 12세기 후반기 동서량계지방 농민전쟁
 제1절. 12세기 후반기 국내정세, 봉건적 억압과 착취의 강화
 제2절. 서경을 중심으로한 동서 량계지방 농민전쟁
  1. 동서북지방에 조성된 정세, 농민전재의 폭발과 그 성격
  2. 제1차 량계지방 농민전쟁
 제3절. 동서북지방 농민전쟁의 새로운 발전
  1. 제2차 량계지방 농민전쟁
  2. 제3차 량계지방 농민전쟁
 제4절. 동서량계지방 놈니전쟁의 의의와 그 제한성
제3장. 12세기 후반기 남부지방 농민전쟁, 전국적 농민전쟁이 가지는 력사적 의의
 제1절. 망이, 망소이농민전쟁
 제2절. 12세기 말엽의 각지 인민들의 투쟁
  1. 개경지방에서 일어난 인민들의 투쟁
  2. 서남지방 농민폭동
  3. 동남부지역 인민들의 폭동
 제3절. 12세기 후반기 농민전쟁의 특징과 그 력사적의의
제4장. 13세기 외래침략자들을 물리치는 항전시기 봉건통치자들을 반대한 고려인민의 투쟁
 제1절. 방몽항전전야에 일어난 경상도농민군의 투쟁
 제2절. 반거란전쟁시기 농민군의 투쟁
 제3절. 몽골의 침입을 반대하는 항전초기의 농민폭동
  1. 항전초기 농민군의 투쟁
  2. 항전초기 농민폭동의 특징과 그 의의
 제4절. 삼별초를 중심으로 한 농민전쟁
  1. 삼별초항전의 계기와 농민전쟁의 폭발
  2. 항전군의 진도에로의 이동과 투쟁의 확대
  3. 삼별초항전에 고무된 륙지인민들의 투쟁
  4. 진도격전과 농민군의 제주도에로의 이동
  5. 농민전쟁의 성격과 그 의의
제5장. 13세기말~14세기 봉건지배계급을 반대한 농민들의 투쟁
 제1절. 국내외정세와 봉건적착취의 강화
 제2절. 13세기 말엽 각지 인민들의 투쟁
 제3절. 14세기 전반기 봉건적억압과 착취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제4절. 14세기 후반기 봉건통치자들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제5절. 13세기말~14세기 농민들의 투쟁 성격과 그 력사적의의

제3편. 리조 전반기의 농민폭동
제1장. 15세기 전반기 인민들의 투쟁
 제1절. 봉건적통치제도의 정비, 인민들에 대한 억압과 착취의 강화
  1. 리조봉건국가의 성립과 통치제도의 정비
  2. 봉건적억압과 착취의 강화
 제2절. 제고장뜨기와 신분적예속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1. 봉건적착취와 부역을 반대한 농민들과 군인들의 류리투쟁
  2. 신분적예속을 반대한 노비들의 투쟁
 제3절. 봉건통치배들의 억압과 수탈을 반대한 인민들의 방화투쟁
 제4절. 신백정들의 투쟁
 제5절. 군인들과 농민들의 폭동
  1. 군인폭동
  2. <<죄인>>들과 농민무장대의 투쟁
  3. 대성산농민폭동
제2장. 15세기 후반기 각기 농민폭동과 함길도농민전쟁
 제1절. 15세기 50년대~60년대 경기, 충청도지방 농민무장대의 투쟁
 제2절. 함길도농민전쟁
  1. 농민전쟁전야의 정세
  2. 농민전쟁준비과정과 그 폭발
  3. 북청전투
  4. 리원 마홀령전투
  5. 농민전쟁실패의 원인과 그 의의
 제3절. 1469~1470년 장영기농민폭동
 제4절. 15세기 80년대~90년대초의 농민폭동
  1. 김일동농민폭동
  2. 전라도어민폭동
제3장. 16세기 봉건통치배들을 반대한 농민들의 투쟁
 제1절. 농민들의 제고장뜨기와 봉건통치배들에 대한 폭로규탄
  1. 농민들의 제고장뜨기투쟁
  2. 봉건통치배들을 폭록규탄하는 투쟁
 제2절. 16세기 전반기 농민무장대의 투쟁
  1. 경기지방 무장대의 투쟁
  2. 하삼도지방 농민무장대의 투쟁
 제3절. 16세기 후반기 농민무장대투쟁과 폭동
  1. 16세기 50년대 농민무장대의 투쟁
  2. 16세기 50년대말~60년대초 림꺽정무장대의 투쟁
  3. 1590년대 각지 농민폭동
제4장. 15~16세기 봉건통치자들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의 특징과 그 력사적의의
 제1절. 리조 전반기 인민들의 투쟁에서 발현된 특징
 제2절. 리조 전반기 봉건지배계급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이 가지는 력사적 의의

제4편. 리조 후반기 농민폭동
제1장. 17세기 초중엽 삼남지방 농민폭동, 집권관료배들의 학정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1600년대~1630년대)
 제1절. 임진조국전쟁후 나라의 형편, 인민들에 대한 억압과 착취의 강화
 제2절. 삼난지방 농민폭동
  1. 옹수농민폭동군의 투쟁
  2. 전라도지방 농민폭동군의 투쟁
  3. 경상도지방 농민폭동군의 투쟁
 제3절. 한성과 경기지방 무장대들의 투쟁
  1. 집권관료배들을 반대한 한성빈민무장대들의 폭력투쟁
  2. 한성빈민무장대들의 방화투쟁
  3. 경기지방 농민무장대들의 투쟁
 제4절. 량서지방 농민폭동
  1. 리충경농민폭동군과 해서지방 농민무장대들의 투쟁
  2. 관서지방 농민무장대들의 투쟁
 제5절. 집권관료배들의 학정을 폭로규탄한 인민들의 패서투쟁
 제6절. 조선서해안 어민무장대들의 투쟁
 제7절. 17세기 초중엽 봉건통치배들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의 특징과 그 력사적의의
  1. 인민들의 투쟁에서 나타난 특징
  2. 인민들의 투쟁이 가지는 력사적의의
제2장. 17세기 중말엽 삼남지방과 량서지방 농민폭동, 전패, 릉묘를 파괴한 각지 인민들의 투쟁(1640년대~1690년대)
 제1절. 상품화폐경제의 발전, 인민들의 사회적처지의 악화
 제2절. 삼남지방의 농민폭동
  1. 안익신농민폭동군의 투쟁
  2. 상주, 개령을 비롯한 경상도지방 농민폭동군의 투쟁
  3. 전라도 룡담농민봉기, 금산농민폭동군의 투쟁
 제3절. 량서, 관동지방 농민폭동
  1. 량서지방 농민폭동
  2. 궁가들과 아문들의 토지강탈을 반대한 황해도, 강원도지방 농민들의 투쟁
 제4절. 한성과 경기지방 무장대들의 투쟁
  1. 한성빈민부장대들의 투쟁
  2. 경기지방 농민무장대들의 투쟁
 제5절. 전패, 릉묘를 파괴한 인민들의 투쟁
  1. 전패를 파괴한 인민들의 투쟁
  2. 릉묘를 파괴한 인민들의 투쟁
 제6절. 17세기 중말엽 봉건통치배들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의 특징과 그 력사적의의
  1. 인민들의 투쟁에서 나타난 특징
  2. 인민들의 투쟁이 가지는 력사적의의
제3장. 18세기 전반기 관서지방과 량호지방 농민폭동, 상인들을 반대한 각지 인민들의 투쟁(1700년대~1750년대)
 제1절. 봉건통치체제의 문란, 인민들에 대한 봉건적 억압과 착취의 강화
 제2절. 량서, 관동지방 농민폭동
  1. <<페4군단>>, <<채단>>, <<류단>>과 양덕, 맹산 농민폭동군의 투쟁
  2. 관동지방 농민폭동
 제3절. 량호지방 농민폭동
  1. 로령농민폭동군과 변산농민폭동군의 투쟁
  2. 호서지방 농민폭동
  3. 량호지방 인민들의 방화투쟁
 제4절. 상인들을 반대한 한성빈민들의 폭동, 경기지방 농민무장대들의 투쟁
  1. 상인들을 반대한 한성빈민들의 폭동
  2. 집권관료배들을 반대한 한성빈민무장대들의 패서투쟁과 방화투쟁
  3. 경기지방 농민무장대들의 투쟁
 제5절. 각지 인민들의 제고장뜨기투쟁
  1. 삼남지방과 량서지방 인민들의 제고장뜨기투쟁
  2. 각지 인민들의 제고장뜨기투쟁에서 나타난 특징과 그 력사적의의
 제6절. 18세기 전방기 봉건통치배들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의 특징과 그 력사적의의
  1. 18세기 전반기 인민들의 반봉건투쟁에서 나타난 특징
  2. 18세기 전반기 인민들의 반봉건투쟁이 가지는 력사적의의
제4장. 18세기 중엽~19세기 초엽 전국각지 농민폭동(1760년대~1800년대)
 제1절. 자본주의관계의 발생발전, 계급적대립의 격화
 제2절. 한성군인폭동, 경기지방 농민무장대들의 투쟁
  1. 한성군인폭동, 빈민무장대들의 투쟁
  2. 경기지방 농민무장대들의 투쟁
 제3절. 곡산농민폭동, 관북, 삼남지방 농민폭동
  1. 곡산농민폭동, 량서지방 농민부장대들의 투쟁
  2. 단천, 북청농민폭동, 관동지방 농민무장대들의 투쟁
  3. 삼남지방 농민폭동
 
 제4절. 전국각지 인민들의 제고장뜨기투쟁
  1. 18세기 60년대~70년대 제고장뜨기투쟁
  2. 18세기 80년대~90년대 제고장뜨기투쟁
 제5절. 18세기 중엽~19세기 초엽 인민들의 반봉건 투쟁의 특징과 그 력사적의의
  1. 인민들의 투쟁에서 나타난 특징
  2. 인민들의 투쟁이 가지는 력사적의의
제5장. 1811~1812년 평안도농민전쟁과 1862년 전국적농민폭동
 제1절. 19세기 초중엽 국내외정세
 제2절. 1811~1812년 평안도농민전쟁
  1. 농민전쟁의 준비
  2. 농민전쟁의 개시, 청북지역의 점령
  3. 송림전투와 곽산 사송야전투
  4. 정주성전투
  5. 농민전쟁의 특징과 력사적의의
 제3절. 1833년 상인들을 반대한 한성빈민들의 폭동, 각지 인민들의 반봉건투쟁
 제4절. 1862년 전국적농민폭동
  1. 진주농민폭동
  2. 농민폭동의 양양
  3. 전국적농민폭동으로의 확대발전
  4. 농민폭동의 력사적의의
 제5절. 19세기 초중엽 인민들의 반봉건투쟁의 특징과 력사적의의
  1. 인민들의 투쟁에서 나타난 특징
  2. 인민들의 투쟁이 가지는 력사적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