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부문사:조선중세도시발달사』(채태형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10)

조회수 3664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조선부문사:조선중세도시발달사』
- 지은이 : 채태형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년도 : 2010 
- 총페이지 수 : 325p

□ 목차 

머리말

제1편. 행정군사도시의 발생발전
제1장. 조선중세도시개관
제2장. 삼국시기의 도시
 제1절. 고구려의 도시
  1. 졸본성과 국내성
  2. 평양성
  3. 신원부근의 고구려남부지방의 도시-남평양
 제2절. 백제의 도시
  1. 위례성(광주)
  2. 웅진(공주)
  3. 사비(부여)
 제3절. 전기신라의 도시
 제4절. 우리 나라 초기봉건도시의 특징
제3장. 발해 및 후기신라의 도시
 제1절. 발해의 도시
  1. 상경
  2. 오동성
  3. 팔련성
  4. 서경과 남경
 제2절. 후기신라의 도시
  1. 왕경
  2. 5소경과 9주와 군현소재지
제4장. 고려시기의 도시
 제1절. 수도 개경
 제2절. 지방도시
  1. 서경(평양)
  2. 동경(경주)
  3. 남경(양주)
 제3절. 고려 후기 행정군사도시의 확대발전
 제4절. 고려시기 도시발전의 특징
제5장. 리조 전반기의 도시
 제1절. 수도 한성부
 제2절. 큰 부의 소재지
  1. 평양
  2. 함흥
  3. 전주
 제3절. 대도호부, 목, 도호부 및 군현소재지
  1. 강릉
  2. 안주
  3. 북청
  4. 단천
  5. 장연
 제4절. 리조 전반기 행정군사도시의 확대발전
 제5절. 15세기에 형성확대된 군현급행정군사도시의 이름과 그 위치
  1. 15세기 행정군사도시의 명칭개정
  2. 속현통합과 관련하여 새로 제정된 도시이름
  3. 속현통합후 새로 형성된 행정군사도시의 위치
  4. 15세기 중기이후 도시의 위치 변동

제2편. 경제도시의 발생발전
제1장. 리조 후기 중세도시의 성격변화와 새로운 경제도시의 발생
 제1절. 중세도시의 성격변화
 제2절. 새로운 경제도시 및 작은 지방경제중심지의 발생발전
  1. 새로운 경제도시의 발생
  2. 작은 지방경제중심지의 발생발전
제2장. 경제도시의 류형과 분포
 제1절. 수공업도시의 류형과 분포
  1. 광산도시
  2. 기타 수공업도시
 제2절. 상업도시의 류형과 분포
  1. 대외무역로에 위치한 상업도시
  2. 국내 및 중요상업로에 위치한 상업도시
  3. 해상 및 수상교통요지에 위치한 상업도시
제3장. 경제도시발전이 사회경제발전에서 논 기능과 그 의의
 제1절. 사회경제발전에서 논 경제도시의 기능
  1. 수공업과 광업의 발전을 촉진시킨 기능
  2. 상업과 교통운수의 발전을 촉진시킨 기능
  3. 인구의 집중과 도시문화발전을 촉진시킨 기능
 
제2절. 경제도시발전의 력사적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