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부문사:초기조일관계사1』(조희승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10)

조회수 3697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조선부문사:초기조일관계사1』
- 지은이 : 조희승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년도 : 2010 
- 총페이지 수 : 283p

□ 목차 

머리말

제1편. 조선이주민집단의 적극적인 서부일본진출과 정착
제1장. 조선이주민집단의 적극적인 서부일본진출
 제1절. 죠몽문화시기 말기 조선이주민집단의 일본에로의 진출개시와 진출정착지의 형편
  1. 죠몽문화시기 말기 일본렬도의 형편
  2. 조선이주민들의 일본렬도에로의 진출개시
   일본 논벼문화의 기원
   일본 논벼문화의 첫 유적
   이주민집단의 생활범위확장방식
  3. 조선이주민들의 일본렬도진출의 확대
 제2절. 야요이문화시기 중말엽(2~3세기)의 일본 형편과 조선이주민들의 새로운 진출
  1. 야요이문화시기 중말엽(2~3세기) 일본렬도의 형편
  2. 야요이문화시기 중말엽 조선이주민집단의 일본땅에로의 진출, 일본에서 고분문화시기의 시작
 제3절. 조선이주민들의 정착방식
  1. 조선이주민들의 평화적정착
   1) 조선이주민과 원주민사이의 평화적관계
   2) 신, 구조선이주민세력사이의 평화적관계
  2. 조선이주민들의 비평화적정착
제2장. 조선이주민들의 정착지분포
 제1절. 야요이문화시기 조선이주민들의 정착지분포
  1. 일본고문헌을 통하여 본 조선이주민들의 정착지 분포정형
  2. 고고학적유적유물을 통하여 본 조선이주민들의 정착지분포정형
   1) 전기 야요이문화유적의 분포
   2) 동탁, 동검과계 문화유물과 잔줄무늬거울의 분포
 제2절. 고분문화시기 조선이주민 정착지의 분포정형
  1. 무덤떼를 통하여 본 조선이주민 정착지의 분포정형
  2. 조선식산성을 통하여 본 조선이주민 정착지의 분포정형
   1) 조선식산성의 축조시기
   2) 조선식산성의 축조자
   3) 조선식산성의 분포정형
 제3절. 인류학적징표와 언어학적구성을 통하여 본 조선이주민들의 정착지분포
  1. 인류학적징표를 통하여 본 조선이주민들의 정착지분포상태
  2. 조선말이 일본말에 준 강한 영향

제2편. 규슈섬에서의 조선소국의 형성
제1장. 야요이문화시기 규슈지방의 조선계통소국
 제1절. 일본최초의 조선계통소국
 제2절. 이도지마반도 남쪽의 이도소국
제2장. 북규슈의 가야(가라)계통소국
 제1절. 이도지마 가야(가라)소국
  1. 지명과 고고학적자료를 통하여 본 가야(가라)소국
   이도지마반도의 가야(가라)지명
   조선식산성유적인 있는 라이산
  2. 이도지마 가야소국의 연혁
   ① 무덤유적을 통하여 본 4세기의 이도지마 가야소국
   ② 무덤유적을 통하여 본 5세기초의 이도지마 가야소국
    무덤형식의 변천
    집자리와 질그릇의 변화
    새로운 농구, 공구 및 무기, 무장의 출현
   ③ 선진문화의 연원과 그 전파의 직접적계기
  3. 5세기 전반기 가야소국의 판도
 제2절. 북부규슈의 무나가다 가야(가라)소국
제3장. 동부규슈의 신라소국-진왕국
 제1절. 고문헌을 통하여 본 부젠 신라소국
 제2절. 고고학적자료를 통하여 본 부젠 신라소국
제4장. 규슈 중서부의 고마-백제소국
 제1절. 무덤을 통하여 본 히고 백제소국
 제2절. 산성을 통하여 본 히고 백제소국
제5장. 규슈동남부 히무까(휴가)지방의 사도벌소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