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재일조선인 사회의 역사학적 연구』(도노무라 마사루 지음, 논형, 2010)

조회수 3670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재일조선인 사회의 역사학적 연구』
- 지은이 : 도노무라 마사루/ 신유원·김인덕 옮김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논형
- 출판년도 : 2010
- 총페이지 수 : 532p

□ 해제

 해방 후 재일조선인의 문화와 귀속의식은 조국지향형으로 일본을 ‘머무는 곳’으로 인식했지만, 세대교체로 독자적 문화색이 점점 옅어지면서 재일조선인들은 일본에서 점차 ‘보이지않는 사람들’이 되었다. 현재 재일조선인들에게는 뿌리 깊은 차별이 존재하는 가운데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하고 존중받으면서 일본 사회에 참여하여 그 일원으로 인정을 받는 것과 한반도와의 유대를 회복해 가는 것이 과제이다. 이 책에서 다룬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사료와 데이터를 통한 재일조선인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는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기억해야 하며, 재일조선인과 일본인 그리고 남북한이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해야한다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게 할 것이다.

□ 키워드

재일조선인, 민족적 생활권, 향리사업, 조국지향형 내셔널리즘 

□ 목차

한국어판 출간에 부치며

서장_과제와 방법
1. ‘재일조선인’의 개념 규정
2. 재일조선인사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전개 과정
3. 본 연구의 목적과 과제
4. 본 연구의 방법

1장. 전전기 조선과 일본 내지 사이의 조선인 이동
1. 전전기 조선인 도일의 배경
2. 조선과 일본 내지 사이의 조선인 이동 시스템
3. 조선과 일본 내지 사이의 조선인 이동의 통계적 개관

2장_전전기 재일조선인의 인구 구성과 그 변화
1. 도일자의 속성
2. 전전기 재일조선인의 인구 구조

3장_1920~30년대 재일조선인 사회의 형성과 구조
1. 재일조선인 사회의 형성
2. 사회적 결합: 에스닉 커뮤니티와 에스닉 네트워크
3. 민족문화의 유지와 변용

4장_전간기 재일조선인의 의식과 활동
1. 리더 계층의 동향
2. 민족적 생활권 투쟁의 전개
3. 타향과 고향을 연결하는 여러 활동
4. 일본 내지 체재의 장기화와 재일조선인의 의식

보론_전간기 재일조선인과 일본 국가, 일본인

5장_전시하의 재일조선인 사회
1. 전시하 재일조선인 사회의 변화와 연속
2. 협화회의 정비와 재일조선인 사회
3. 전시하 재일조선인의 의식

6장_일본의 패전과 재일조선인 사회의 재편
1. 전후 재일조선인의 인구 구성
2. 사회적 결합 및 문화 유지 상황
3. 전후 재일조선인의 의식과 활동

7장_1960~80년대 재일조선인 사회에서의 동화의 진행과 ‘공생’의 모색 개시
1. 고도경제성장과 사회적 결합의 변화
2. 생활수준과 민족차별의 상황
3. 재일조선인의 의식과 활동의 동향

맺음말_재일조선인 사회의 역사와 현재

저자 후기|역자 후기|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