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역사교과서)재일 한국인의 역사』(강덕상 외 지음, 역사넷, 2007)

조회수 3701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역사교과서)재일 한국인의 역사』
- 지은이 : 강덕상 외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역사넷
- 출판년도 : 2007 
- 총페이지 수 : 211p

□ 해제

 재일 한국인 역사의 입문서로 재일한국인들 중 한국관련 최고의 연구자들이 집필에 참여한 책이다. 지금까지 출간된 재일 한국인의 역사를 다룬 책들과 달리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쓰인 이 책은 자료 가치가 높은 사진 등 각종 자료들이 다수 수록되어 있어 재일한국인 역사 교과서를 대표하는데 손색이 없다.

□ 키워드

재일한국인, 민족교육, 2.8 독입운동, 조선인마을, 강제연행, 외국인등록법, 지문날인거부

□ 목차 

머리말-재일 한국인의 역사를 전하기 위하여

역사 교과서 재일 한국인의 역사 읽기-김인덕(성균관 대학교 동아시아 학술원)

제1부 해방 전
제1장 재일 조선인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1. 조선인은 왜 대한 해협을 건너갔을까?
 2. 조국의 독립에 힘을 합친 재일 조선인
제2장 해방 전 재일 조선인의 생활
 1. 관동 대지진과 재일 조선인의 수난-도일의 제1단계
 2. 차별과 편견 속에서의 정착 과정-도일의 제2단계
 3. 강제 연행, 징용?징병의 시대-도일의 제3단계

제2부 해방 후
제3장 조국의 해방과 한일 국교 정상화
 1. 조국의 해방과 분단
 2. GHQ의 정책과 일본 정부
 3. 한일 국교 정상화와 재일 한국인
제4장 정주화의 진전과 민족 차별 철폐 운동
 1. 재일 한국인의 정주화와 국적 조항?취직 차별 철폐 운동
 2. 지문 날인 거부 운동과 자치 단체 노동자의 연대
 3. 지방 참정권 획득 운동과 재일 한국인 사회의 변모

끝맺는 말-21세기, 재일 한국인의 미래

재일 한국인의 역사 연표, 찾아보기

칼럼
1. 1910년대의 대표적 직업의 하나, 조선인 엿장수 / 2.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손기정 / 3. 저항의 시인 윤동주 / 4. 다이쇼 시기大正期 오사카의 번영을 밑바닥에서 떠받친 조선인 노동자 / 5. 쥬고엔 고짓센十五円 五十錢 / 6. 창씨 개명 / 7. 협화회協和會 8. 재일 한국인의 식문화-야키니쿠(불고기)와 김치 / 9. 일본 프로 레슬링의 아버지 역도산 / 10. 프로 야구에서 3,000개 이상 안타를 친 장훈 / 11. 연예계의 재일 한국인 / 12. 아쿠다와 상, 나오키 상과 재일 작가들 / 13. 재일 한국인의 경제 활동(해방 후~고도 성장기) / 14. 재일 한국인 경제인 / 15. 음악에 국경은 없다 / 16. 영화계에 새로운 바람을 몰고 온 재일 한국인 영화 감독 / 17. 재일 정치가-아라이 쇼케이新井將敬와 백진훈白眞勳 / 18. 재일 한국인으로 처음 도쿄 대학 교수가 된 강상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