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새터민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신명선 외 지음, 박이정, 2012)

조회수 3941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새터민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 지은이 : 신명선 외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박이정
- 출판년도 : 2012
- 총페이지 수 : 425p

□ 해제

 이 책은 남한 사회의 구성원이 되려 하지만, 남북한의 언어 차이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오해가 생기고 소외되는 북한이탈주민들의 현황을 설문조사와 심층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남한의 언어생활 중 새터민들을 힘들게 하는 발음과 억양의 차이, 남한의 수많은 외래어를 비롯한 어휘와 표현의 차이를 극복하고 남한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한국어 어휘교육의 교재개발 방향을 독일통일을 참조하여 논의하고 있다.

□ 키워드

새터민, 한국어교육, 의사소통, 통독 언어, 한국어 어휘

□ 목차

발간사

 머리말

Ⅰ. 새터민 대상 한국어 교육
1. 새터민 대상 한국어 교육의 특수성
 1.1. 난제
 1.2. 교육의 다층성
2. 새터민의 남한 적응 실태
 2.1. 새터민의 사회 적응 실태
 2.2. 새터민의 언어 적응 실태
3. 새터민의 한국어 교육 현황
 3.1. 하나원 언어 적응 교육 프로그램
 
3.2. 국립국어원의 연구·조사 및 교육 과정 운영 현황

Ⅱ. 새터민 대상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1. 어휘 선정 범주를 위한 문헌 검토
 1.1. 의사소통 상황
 1.2. 어휘
 1.3. 화용 표현
2. 새터민 대상 학습 어휘
 2.1. 조사 방법
  2.1.1. 선행 연구 검토 및 조사 방법론 확정
  2.1.2. 면담용 어휘 목록 확보
  2.1.3. 면담용 설문지 작성
  2.1.4. 면담 진행
  2.1.5. 새터민 검증단의 어휘 최종 검증
 2.2. 조사 결과
  2.2.1. 새터민의 다문화적 배경 조사 결과
  2.2.2. 새터민 의사소통 적응 분석 결과
  2.2.3. 어휘 최종 확정

Ⅲ. 새터민 대상 한국어 어휘 학습 교재 개발
1. 교재의 개발 방향 및 집필 기준
 1.1. 교재의 개발 방향
 1.2. 교재 집필 기준
2. 교재의 특성
 2.1. 대상적 특성
 2.2. 내용적 특성
 2.3. 구성적 특성
3. 교재 개발 내용 구성 틀
 3.1. 어휘
 3.2. 의사소통 상황
 3.3. 국어 문화
4. 교재의 교육 내용
 4.1. 어휘
 4.2. 의사소통 상황
 4.3. 국어 문화
 4.4. 익힘 문제
 4.5. 마무리
 4.6. 쉬어 가기
5. 교재의 구성 체제
 5.1. 단원 구성의 방향
 5.2. 단원 구성의 원리
 5.3. 단원의 구성 체제와 그 특징
 5.4. 예시 단원

Ⅳ. 독일의 통일 관련 참조 논의
1. 통일 전 동독의 공식적인 담화에서의 특징
2. 통일 전 동독의 일상 담화에서의 특징
3. 독일 통일 직전 전환기(WENDE) 담화의 특징
4. 통일의 언어적 도전
5. 의사소통의 간극
 5.1. 텍스트 장르와 사회 변화
 5.2. 통일 이후, 구동독의 ‘텍스트 장르’ 목록 재구성
 5.3. 구어 장르에서의 변화
6. 언어적 변이와 사회적 변동

Ⅴ. 결과의 활용 방안 및 향후 과제

참고 문헌

<부록 1> 의사소통 상황별 면담 설문지

<부록 2> 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어휘 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