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례절과 인사』(박용순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1992)

조회수 3941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례절과 인사』
- 지은이 : 박용순 외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년도 : 1992 
- 총페이지 수 : 223p

□ 해제 
   

 본 책은 북한 근로자들의 문화도덕생활에 대한 참고서가 되고자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북한주민의 예의 도덕과 언어생활에서 나서는 실천적 문제들을 인사예절의 관점에서 살피고, 북한 말에 대한 원리적인 지식과 상식자료들을 일상생활에서의 각종 상황에 맞추어 통속화 하여 서술하고 있다.

키워드

문화예절, 북한근로자, 언어생활, 인사예절, 미풍양속

□ 목차

편집부로부터

1. 도덕품성과 례절
1) 민족의 향기, 우리 인민의 미풍량속
2) 례절, 겉과 속
3) 말과 그 사람
 ① 인사말과 대답
 ② 축원과 축하
 ③ 롱담
 ④ 비판과 충고
 ⑤ 동정과 위문
 ⑥ 소개와 안내

2. 례절과 인사는 대상과 장소에 맞게
1) 각이한 대상들사이에서의 례절과 인사
 ① 로인들을 대할 때
 ② 청소년들을 대할 때
 ③ 녀성들을 대할 때
 ④ 웃사람과 아래사람을 대할 때
2) 가정생활에서의 례절과 인사
 ① 부부사이
 ② 부모와 자식사이
 ③ 형제자매들사이
3) 사회공동생활에서 지켜야 할 례절과 인사
 ① 거리에서
 ② 일터에서
 ③ 학교에서
 ④ 공원과 유원지에서
 ⑤ 버스와 전차, 전동차에서
 ⑥ 극장과 영화관에서
 ⑦ 상점과 백화점에서
 ⑧ 식당에서
 ⑨ 려관에서
 ⑩ 리발소와 미용원에서
 ⑪ 체육관과 경기장에서
 ⑫ 기차나 기다림칸에서
 ⑬ 모임장소에서

3. 경우에 따르는 인사
1) 초면인 경우
 ① ‘처음 뵙겠습니다’
 ② 잠간 만나도
2) 전화를 례절바르게
3) 남녀사이
 ① 처녀총각때
 ② 련인들사이에
 ③ 손님과 주인
4) 편지를 쓸 때
5) 부탁의 말을 할 때
6) 술, 담배와 례절
7) 결혼식에 가서
8) 병문안
9) 생일을 축하할 때
10) 상가, 제사집에서
11) 가정방문할 때
12) 설인사

4. 례의도덕에 좋은 우리 말
1) 부름말
 ① 가정에서
 ② 사회에서
2) 례절관계의 표현수법
 ① 토에 의한 례절관계의 표현수법
 ② 단어에 의한 례절관계의 표현수법
 ③ 문장에 의한 례절관계의 표현수법
 ④ 에두르는 수법

토막글
1) 속담
 - 지극한 마음씨, 의리심
 - 의리와 사랑
 - 인정미
 - 겸손성
 - 교양, 수양
 - 호상관계
2) 명언
 - 례의도덕과 관련한 명언
 - 동지와 벗과 관련한 명언
3) 전설
 - 효양교개의 유래
 - 잎새 띄운 바가지물
4) 상식
 - ‘말씀 좀 물읍시다’
 - 편지봉투의 글
 - 시켠가족들을 부를 때
 - 역기다림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