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박재인-폭력에 대한 저항서사로서 호랑이 설화와 탈북청년의 반응 양상

조회수 1170 link 복사

서지사항

- 논문명 : 폭력에 대한 저항서사로서 호랑이 설화와 탈북청년의 반응 양상

(영문 제목) “Tiger Tales as Stories of Resistance to Violence and North Korean Refugee Youth’s Response Patterns”

- 저자 : 박재인

- 수록지명 : 통일인문학  97

- 발행처 :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 발행일 : 2024.03

- 페이지 : 363396.

 

목차

  1. 서론

  2. 폭력에 대한 저항서사로서 호랑이설화

  3. 탈북청년들의 호랑이설화에 대한 공감과 이해 양상

    3.1.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대한 문학적 반응

    3.2. 애니메이션 <오누이와 나무군>에 대한 문학적 반응

    3.3. <팥죽할머니의 살림살이와 호랑이>에 대한 문학적 반응

  4. 결론

 

 

국문초록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대상 폭력 문제에 대한 문학치료 방안과 그 실행 결과를 논의하였다. 포악한 강자로서의 상징 호랑이 설화 중 폭력 문제에 양방향의 해결방안을 그려낸 <해와 달이 된 오누이><팥죽할머니의 살림살이와 호랑이>로 문학치료 방안을 제안하고, 장마당 세대 탈북청년들의 문학적 반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전자의 작품에서 탈북청년들은 탈북과정이나 폭력 피해 경험을 떠올렸고 이 작품의 결말을 비극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외상기억으로 인해 긍정적 신념이 약화된 반응으로 판단된다. 이에 설화 속 하늘의 구원보다 현실적인 성공과정을 그려낸 북한 애니메이션을 추가적으로 감상하도록 하여 성공 스토리에 대한 신념과 지지를 보충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는데, 다수의 청년들이 극복 가능성과 희망을 이야기하는 쪽으로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폭력에 저항한 약자들의 연대를 그려낸 <팥죽할머니의 살림살이와 호랑이> 작품을 감상하였다. 탈북청년들은 대체로 폭력을 극복하는 이야기 흐름을 선호하는 반응을 보였는데, 이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대한 애초의 반응과 달라진 지점이었다. 그리고 이야기 속 해결방안에 대한 의혹의 시선들도 있었지만 집단 프로그램의 특장이 발휘되어 다양한 문학적 반응과 해석을 들으며 점차 이 작품에 호응하게 되는 변화도 발견되었다. 이후 이들의 후반부 대화들은 현재 남한살이에서 경험하는 폭력 문제에 대한 것이었으며, 서로에 대한 인간적 이해와 자기성찰의 발언도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참가자들은 작품서사와 자기 실제 삶을 교차하여 사유하며 그 양자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확장해 간 반응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문학치료, 호랑이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팥죽할머니의 살림살이와 호랑이>, 폭력서사, 폭력에 대한 저항서사, 폭력예방교육, 북한이탈주민, 장마당세대, 탈북 트라우마

 

Abstract

This study discusse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results of a literary therapy program that aimed to address the problem of violence against North Korean refugees. An alternative literary therapy is proposed through two storiesSun Sister and Moon Brother and A Red bean Soup Granny and a Tigerto depict a two-way solution to the problem of "violence," focusing on the tale of the tiger, a symbol of vicious strength. We examined the literary responses of North Korean refugees of the Jangmadang generation. For the first story, similar to the previous generation, they tended to recall the process of defecting from North Korea or interpret the ending of this work as tragic. To reduce such pessimistic beliefs, I watched a North Korean animation that realistically depicts the character's process of coping with and overcoming the issue. Many of the participants exhibited a shift toward talking about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and hope." For A Red bean Soup Granny and a Tiger, which depicted "solidarity among the weak,"they generally responded positively to the story flow of overcoming violence, which was similar to their original reaction to Sun Sister and Moon Brother. This is the point that has changed. This story shows the solidarity of the weak, and although there were some doubts about this, it gradually changed after listening to the literary reactions and interpretations of other participants. This is an advantage of group literary therapy. Their later conversations were about the violence they were experiencing, and it is believed that they showed reasons for taking a step closer to the solidarity of the majority against violence and the solidarity of the weak.

 

Keywords

Literary Therapy, Tiger Tales, Sun Sister and Moon Brother, A Red bean Soup Granny and a Tiger, Stories of Resistance to Violence,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North Korean Refugee, Jangmadang Generation, The Trauma of North Korean Refug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