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행사

학술행사

국내학술심포지엄

  • 국내학술심포지엄
  • 국제학술심포지엄
  • 학문후속세대 심포지엄

[제53회 국내학술심포지엄] 2024.03.28 1960년대 남북의 근대화 규범의 변화

조회수 1901 link 복사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단장 송치만)이 3월 28일 ‘1960년대 남북의 근대화 규범의 변화’를 주제로 제53회 통일인문학 국내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


통일인문학연구단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플러스(HK+)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해당 사업의 2단계 연구 과제 ‘코리언의 자기 이해와 통합적 코리아학의 구축’의 2년차 과제로 진행한 ‘남북 역사·문화의 쟁점과 특징’ 연구의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다.

 

이번 심포지엄은 ‘1960년대 남북의 근대화 규범의 변화’을 주제로 세 편의 학술 발표가 진행된다.


1960년대는 남북이 자유민주주의 시장 경제와 사회주의 계획 경제를 토대로 국가 정체성을 구축하고 본격적인 경쟁을 시작한 시기다. 1960년대를 기점으로 남북이 공유한 민족 공통성이 휘발되고, 남북 각각이 구축한 정치 제도에 의해 본격적으로 이질화의 길로 분기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 남북의 정체성을 새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근대화의 규범을 어떻게 구축하였는지 발표를 통해 확인한다.


첫 번째 발표는 정진아 HK교수의 ‘미국식 경영규범의 도입과 워싱턴대학프로젝트(1958~1964)’다. 워싱턴대학프로젝트는 미국식 경영규범을 도입하고 경영합리화를 달성함으로써 생산력을 고도화하는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었다. 기업을 자본주의의 심장이자 산실로 인식하고, 기업의 경영합리화만을 추구하는 것은 결국 경제성장 이데올로기에 포섭되는 길이었다. 정 교수는 그 길의 로드맵이 대학이 깔아둔 포석을 통해 완성되고 있었음을 보일 예정이다.


두 번째 발표는 도지인 HK교수의 ‘1961년 베를린위기에 비추어 본 북한의 국가-사회관계의 특징’이다. 동독의 울브리히트(W. Ulbricht) 정권이 강행한 베를린 장벽의 설치에 대한 북한의 해석을 검토해 북한의 국가-사회 관계의 특징을 도출했다. 동유럽 국가 사회주의 체제는 물질문화와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실패하면서 정치적 정통성이 하락했다. 반면 북한의 집권세력은 정책적 성과가 아닌 민족주의적 가치를 바탕으로 국가-사회관계를 설정했다. 도 교수는 남북체제경쟁 등의 환경에서 자주적 평화통일과 자립적 민족경제와 같은 주장이 국가적 목표를 우선시하고 복종하는 인민으로서의 집단 정체성을 형성했다고 밝힌다,


세 번째 발표는 전영선 HK연구교수의 ‘1960년대 북한의 국가 정체성과 언어 규범 : ‘평양 문화어’ 선언을 중심으로’다. 해방 이후 1966년 평양말을 기준으로 한 별도의 표준체계로서 ‘문화어’ 선언 과정을 탐색한다. ‘문화어’는 지리적 의미의 평양어가 아닌 한자, 외래어를 정비하고, 우리말로 다듬어진 세련된 ‘사회주의 혁명의 수도’ 평양에서 사용하는 발전된 언어다. 문화어를 제정하기까지의 언어 정책과 언어 규범의 쟁점을 추적하여, 문화어 선언의 의미를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