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박재인「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를 활용한 탈북민 대상 문학치료 사례 연구」

조회수 2660 link 복사

- 논문명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를 활용한 탈북민 대상 문학치료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Literature Therapy for N.K Defectors Using the Classical Narrative of Migration and Success"

- 저자 : 박재인

- 수록지명 : 한국문학치료학회

- 발행일 : 2016

- 페이지 : pp.335-370


□ 목차

1. 서론

2. 이주와 성공 과정을 담은 고전서사와 탈북민 대상의 문학치료

3. 문학치료 활동 사례 : 기존공간과의 심리적 분리와 독립을 중심으로

4. 결론


□ 키워드


이주와 성공 과정을 담은 고전서사 , 설화 <맷돌과 북과 나팔로 성공한 삼 형제> , 설화 <내 복에 산다> , 고전소설 <홍길동전> , 건국신화 <주몽신화> , 탈북민 대상 문학치료 프로그램 , 기존공간과의 심리적 분리와 독립 , The Classical Narrative Depicting Migration and Success , A Tale “The Success of Three Brothers with a Hand Mill , Drum , and Trumpet Each” , A Tale “Living with My Luck” , An Old Novel “Hong Gildong Jeon” , The Birth Myth of a Nation “Jumong Myth” , The Literature Therapy for Defectors , The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The Existing Space


□ 초록


탈북민들의 실재적 고민은 이주 후에도 행복하지 않은 현실에 있으며, 과거와 현재가 끝나지 않는 비극으로 여겨지면서 자기 삶과 운명을 비관하는 경향이 굳어지는 것이 심각한 문제이다. 삶에 대한 비극적 신념은 일상생활과 정신건강에 상호 악영향을 미치는 악순환의 핵심이며, 이를 끊어내기 위해서는 그들의 과거가 ‘고난’으로만 기억되는 지점에 머물지 않고 ‘성공의 밑거름’으로 자각될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이주와 성공 과정을 담은 고전서사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기획하였으며, 이글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실행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2004년에 탈북하여 2006년에 입국한 기혼자 탈북여성E의 경우, 이 프로그램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경향성을 드러내었다. 기존 공간에서의 이탈과 이주 공간에서의 성공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현실적 판단을 하고 있지만, ‘낯선 조력자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이 발견된다는 특징이 있어 능동적인 대처능력이 부족한 상태라고 추측되었다. 또한 기존공간에서 함께 했던 인물들과 분리되지 않거나, 기존공간으로 회귀하는 스토리를 선호한다는 특징이 있어, ‘기존공간(가치)으로부터 심리적 분리와 독립이 어려운 성향’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그녀가 한국으로 입국하기까지 여러 차례 경험했던 ‘기존공간에서 떠밀려난 상처의 기억’ 및 그녀의 우울증적 성향 특히 사회적 의존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학치료 활동 결과, 그녀는 과거에 대한 용서와 이해, 나를 밀쳐냈던 대상과의 상생하려는 의지가 발현된 작품을 창작하였다. 그녀의 상상력은 영웅들이 지녔던 자기 확신과 혁신적 성향에 자신이 본래 보유하고 있는 성향(기존의 공간과 사람들을 유지하고 싶어하는 성향)이 융합된 결과로 해석된다. 영웅들의 서사가 자신과 맞지 않아 무작정 밀어내기만 하거나, 혹은 자신을 억지로 바꾸어 영웅들의 성공을 답습하는 경우보다 영웅서사의 문법을 능동적으로 자기 삶에 적용했던 결과라고 평가된다.


□ Abstract


The practical issues faced by defectors are that they fail to become happy even after immigration, which makes their view of life gloomy as they consider their present and past an endless tragedy. This pessimistic view places them in a vicious cycle that affects their everyday life and mental health. In order to break this cycle, they are required to undergo humanistic healing therapy, which allows them to accept the past as the foundation of their success, instead of failures. Hence, literature therapy programs using the classical narrative of immigration and success are planned. This study explains the results of testing these programs. In the case of E, a married woman who came to Korea in 2006 after defecting from North Korea in 2004, the following tendencies are revealed. She made a realistic judgment that leaving her existing place and finding success in a new place are not easy tasks further, she seemed to lack the capacity to cope with difficulties in active manners as it was found that she had a vague expectation of new helpers in adapting herself to the strange place.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she had difficulties in attaining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the old place, judging from the fact that she preferred stories in which characters are not separated from those who used to be with them or the characters return to their previous places. This is strongly linked to her hurtful memories of being pushed away from her previous place and her propensity to depression, which particularly emphasizes her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 place.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therapy, she created a story manifesting her will to forgive and understand her past, and coexist with the object that had pushed her away. Her imagination is interpreted to be the result of combining the protagonists’ self-confidence and propensity to innovate with her original disposition (the tendency to conserve her relationships with old people and place). Consequently, it is assessed that she applies the grammar of a heroic epic to her life actively instead of rejecting the hero narrative because it is unsuitable for herself or blindly following their success by changing herself forci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