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나지영 「설화 <내복에산다>의 재창작을 통한 탈북청소년의 문해력 신장 사례 연구」

조회수 3761 link 복사

□ 서지사항


- 논문명 :「설화 <내복에산다>의 재창작을 통한 탈북청소년의 문해력 신장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literacy through recreating

                   Korean folklore my own fortune"

- 저자 : 나지영

- 수록지명 : 고전문학과교육 제23집

- 발행일 : 2012.02

- 페이지 : pp.151-176


□ 목차


1. 서론


2. 탈북 청소년의 〈내 복에 산다〉에 대한 반응과 특징


3. 탈북 청소년의 〈내 복에 산다〉 재창작 과정과 문해력 신장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키워드


탈북청소년, 문해력, 내복에산다, 문학, 감상, 재창작, 인간관계



□ 초록


 이 글은 남한에 오기 전에 한 번도 학교에 다닌 적이 없었던 탈북 청소년 A의 문해력이 신장된 사례를 소개한 것이다. 문해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심리적인 문제까지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문학 작품의 감상 및 재창작을 통한 탈북 청소년의 심리적 문제 개선과 문해력 신장 과정을 논의하였다. 먼저 2절에서는 탈북 청소년 A가 〈내 복에 산다〉를 감상하고 난 후에 보인 반응과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내 복에 산다〉는 한 사람의 독립과 성공 과정을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이때 막내딸과 아버지와의 관계, 그리고 막내딸과 숯구이 총각과의 관계가 이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A는 작품 속에 나타나는 인간관계에 대해서는 배제한 채 〈내 복에 산다〉를 ‘집에서 나간 막내딸이 금덩이를 발견하여 부자가 되는 이야기’로만 이해하였다. A의 문해력이 부족하여 작품의 부분에만 초점을 맞추어 해석하려는 경향이 나타난 것이기도 하겠지만, A가 갖고 있는 부정적인 부모상과 강한 원망감이 A의 작품 해석 태도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절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3절에서는 〈내 복에 산다〉의 재창작을 통한 A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A가 1차로 쓴 글에서는 서사의 주체가 갈등관계에 놓여있는 대상에게 강한 원망을 표출한 것이 특징이었다. 그리하여 문제적 상황만이 제시되고 그 이후의 상황은 전혀 전개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2차로 쓴 글에서는 서사의 주체가 갈등관계에 놓여있는 대상에게 원망과 그리움을 동시에 표출하고 있었다. 여전히 문제적 상황만이 제시되고 있기는 했지만, 서사의 주체는 대상을 미워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좋아하기도 한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A가 3차로 쓴 글에서는 문제적 상황뿐 아니라 문제의 극복 과정까지 제시되고 있었다. 이렇게 문제의 극복 과정이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은 서사의 주체가 갈등관계에 있던 대상과 화해를 모색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A는 자신이 다른 사람의 입장에 대해서는 전혀 보려고 하지 않았다는 것을 스스로 인식하게 되었다. A는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도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 가능해 지면서 〈내 복에 산다〉에서 막내딸이 맺고 있는 인간관계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깨닫게 되었다. 막내딸과 아버지의 관계, 그리고 막내딸과 숯구이 총각의 관계가 막내딸의 성공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 것이다. 정리하면, A는 〈내 복에 산다〉의 재창작 과정을 거치는 동안에 하나의 논리적인 서사 맥락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처음에는 문제적 상황만을 제시하면서 그 문제의 해결 과정에 대해서는 전혀 이해를 하지 못하였지만, 점차 논리적인 서사 맥락 안에서 하나의 완성된 작품을 만들어 나갈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렇게 작품의 핵심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논리적으로 구성 할 수 있게 된 것은 A의 문해력이 신장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A는 서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실제 자신의 삶에서 일어난 문제들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깨달음을 글로 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A의 사례를 통해 문해력의 신장은 심리적 문제의 개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또한 문학 작품에 대한 온전한 이해의 과정과도 맞물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Abstract


This paper is to discuss about the improvement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literacy through recreating Korean folklore My Own Fortune.


In chapter 2,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A)’s response on Korean folklore My Own Fortune was analyzed. To grasp the point of My Own Fortune, understanding the third daughter’s relationships with her father, and a charcoal maker is important. Because the process of the third daughter’s independence and success is related to those relationships. However A appreciated My Own Fortune without considering human relations. A only focused on the parts where the third daughter got gold and became rich. The reason why A had this kind of response is not only related to A’s lack of literacy, but it is also related to A’s mental state. A has a hatred for parents, and negative parents figure. This psychological feature has influenced on A’s view.


In chapter 3, the process of A’s change through recreating My Own Fortune was analyzed. In A’s first writing, the subject of the story only expressed resentment toward the object who was in conflict relation. But, in second writing, the subject expressed both resentment and yearning toward the object. At last, in third writing, the subject succeeded in making peace with the object who was in conflict relation. Through this process, A became aware of his own problem. A realized he wasn’t able to look at the other’s view, and only cared for himself. After recreating My Own Fortune, he was able to interpret My Own Fortune from new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