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전사 (중세편)』 4- 지은이 :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출판사 :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출판연도 : 1979- 총 페이지 수 : 327p
□ 해제
북한 주체사관에 입각하여 서술한 역사서이다. 백제와 전기 신라(삼국통일 이전 신라), 가야사를 수록했다. 삼국시대의 역사 전반을 봉건 통치제도의 확립과 이에 대한 인민대중의 투쟁을 중심으로 서술했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통일이 아닌 반민족적 행위로 인한 위기였다고 규정했다.
□ 키워드
가야, 백제, 봉건제, 삼국통일, 신라
□ 목차
차 례
백 제 사
머리말 7
제1장 백제 봉건국가의 성립 8제1절 기원 전후 시기 한강 하류 지방에서의 생산력의 발전 8제2절 백제 봉건국가의 성립 12
제2장 생산의 장성과 교통운수 및 상업의 발전 18제1절 농업생산의 장성 18제2절 수공업, 교통운수, 상업의 발전 22 수공업의 발전 22 교통운수와 상업의 발전 27
제3장 봉건적 계급 신분관계와 통치제도의 확립 29제1절 봉건적 계급 신분관계 29 봉건적 토지소유관계의 확대 29 계급 신분관계 31제2절 봉건적 통치제도의 확립 35 통치기구 35 계층적인 봉건적 관료질서 41
제4장 봉건적 착취와 억압의 강화. 그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44제1절 봉건적 착취와 억압의 강화 44제2절 봉건적 착취와 억압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54
제5장 백제의 고구려 및 신라와의 관계 60제1절 백제 인민들의 고구려 및 신라에로의 래왕과 문화교류 60제2절 령토확장을 위한 백제 봉건통치배들의 정복전쟁. 국력의 약화 65 령토확장을 위한 백제 봉건통치배들의 정복전쟁 65 한강 하류 지역의 상실. 백제 봉건국가의 약화 69
제6장 백제사람들의 일본렬도에로의 진출 72제1절 북 규슈의 백제 계통 후국. 그의 고국과의 관계 72 백제계통이주민들의 북 규슈에로의 진출 72 《고마후국》 73 《고마후국》의 고국과의 관계 76제2절 야마도 왕정에서 백제계통이주민들의 활동 80
제7장 당나라 침략자들과 그와 련합한 신라군의 침공을 반대한 백제 인민들의 투쟁 84제1절 7세기 중엽 백제의 안팎의 형편 84제2절 당나라 침략자들과 그와 련합한 신라군의 침공을 반대한 백제 인민들의 투쟁 89
제8장 문 화 100제1절 과학과 기술 100 기술 100 과학 105제2절 말과 글 109제3절 철학사상 117제4절 문 학 122제5절 미 술 129 건 축 129 공 예 134 조 각 139 그 림 142제6절 음악과 무용 143제7절 생활풍습 146전기 신라사
머리말 151
제1장 신라 봉건국가의 성립 152제1절 신라 봉건국가의 성립 152제2절 건국설화. 신라사 초기의 년대들에 대한 검토 158
제2장 중앙집권적 통치제도의 확립 165제1절 중앙집권적 통치기구의 정비, 강화 165 중앙집권적 통치기구의 정비 166 중앙 및 지방 통치기구의 확대 강화 169제2절 골품체제에 의한 계층적인 봉건적 관료질서의 편성 174제3절 봉건 통치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들 177 국호, 왕호의 고착과 년호의 제정 177 불교의 전파와 《화랑》 제도의 창설 178
제3장 신라의 고구려, 백제와의 관계와 대외관계 182제1절 고구려 및 백제와의 관계 182제2절 신라 봉건통치배들이 도발한 빈번한 정복전쟁과 그 후과 188제3절 중국대륙의 여러 나라들 및 《왜》와의 관계 195 중국대륙의 여러 나라들과의 관계 195 《왜》와의 관계 197
제4장 경제의 발전 202제1절 농업생산의 발전 202제2절 수공업의 발전 206제3절 교통운수 및 상업의 발전 210
제5장 봉건적 착취와 압박의 강화. 그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215제1절 봉건적 계급 신분관계의 편성 215제2절 봉건적 착취와 압박의 강화 219제3절 봉건적 착취와 압박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223
제6장 당나라강점군을 몰아내기 위한 인민들의 투쟁 227제1절 신라와 당나라 련합군의 백제, 고구려 침공. 당나라 침략자들의 이 지역 강점 227제2절 당나라강점군을 몰아내기 위한 인민들의 투쟁 232 당나라강점군을 몰아내기 위한 투쟁의 개시. 《고구려국》의 재건. 신라의 《고구려국》 세력과의 련합(668년 말~670년 여름) 232 신라인민들의 백제 유민들과의 단합에 의한 반침략투쟁의 전개. 백제지역으로부터의 당나라 침략군의 구축(670년 여름~672년 초) 232 당나라 침략군의 련속적 침입을 물리치기 위한 투쟁 (672년 여름~673년) 240 당나라 침략군에 대한 일대 섬멸전. 압록강 이남 지역에서 침략군의 완전 구축(674~676년) 242
제7장 문 화 250제1절 과학과 기술 250 과 학 250 기 술 255제2절 말과 글 262제3절 철학사상 271제4절 문 학 275제5절 미 술 284 건 축 284 공 예 288 조 각 294제6절 음악과 무용 298제7절 생활풍습 302 가 야 가야국의 성립 307 가야의 령역 310 통치기구 311 봉건적 계층제와 계급 신분관계 314 생산력의 발전. 봉건적 착취의 강화 316 백제, 신라와의 관계 320 가야사람들의 일본렬도에로의 진출 324
사 진 차 례
백 제 사1. 무녕왕무덤 내부(충청남도 공주군)2. 시목동 제2호무덤 내부(충청남도 공주군)3. 정림사 5층탑(충청남도 부여군 홈 로그인 연구단 소개 소개·안내 협력기관 오시는 길 남북학술교류 통일인문학세계포럼 국제고려학회 학술행사 학술심포지엄 콜로키움 기타행사 대학원·학부 일반대학원 학부 통일인문학도서관 자료검색 북한자료소개 논문자료실 발간도서 연구총서 아카이브·번역총서 구술·치유총서 기획도서 IHU REPORT 학술지 통일인문학 소개 통일인문학 보기 S/N Korean Humanities 통일교육 청소년 교실 DMZ 답사 통일인문콘텐츠 시민강좌 연구단 알림 공지사항 언론보도 빅데이터를 통해 본 분단적대성 분단적대성이란? 분단적대성 지표 문재인정권시기(2017-2020)분단적대성 지수 연구자료 홈 로그인 회원가입 연구단 소개 소개·안내 협력기관 오시는 길 남북학술교류 통일인문학세계포럼 국제고려학회 학술행사 학술심포지엄 콜로키움 기타행사 대학원·학부 일반대학원 학부 통일인문학도서관 자료검색 북한자료소개 논문자료실 발간도서 연구총서 아카이브·번역총서 구술·치유총서 기획도서 IHU REPORT 학술지 통일인문학 소개 통일인문학 보기 S/N Korean Humanities 통일교육 청소년 교실 DMZ 답사 통일인문콘텐츠 전문가 강좌 연구단 알림 공지사항 언론보도 빅데이터를 통해 본 분단적대성 분단적대성이란? 분단적대성 지표 문재인정권시기(2017-2020)분단적대성 지수 연구자료 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인쇄 공유 『조선전사 4(중세편)』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지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9) 조회수 3248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전사 (중세편)』 4- 지은이 :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출판사 :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출판연도 : 1979- 총 페이지 수 : 327p □ 해제 북한 주체사관에 입각하여 서술한 역사서이다. 백제와 전기 신라(삼국통일 이전 신라), 가야사를 수록했다. 삼국시대의 역사 전반을 봉건 통치제도의 확립과 이에 대한 인민대중의 투쟁을 중심으로 서술했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통일이 아닌 반민족적 행위로 인한 위기였다고 규정했다. □ 키워드 가야, 백제, 봉건제, 삼국통일, 신라 □ 목차 차 례 백 제 사 머리말 7 제1장 백제 봉건국가의 성립 8제1절 기원 전후 시기 한강 하류 지방에서의 생산력의 발전 8제2절 백제 봉건국가의 성립 12 제2장 생산의 장성과 교통운수 및 상업의 발전 18제1절 농업생산의 장성 18제2절 수공업, 교통운수, 상업의 발전 22 수공업의 발전 22 교통운수와 상업의 발전 27 제3장 봉건적 계급 신분관계와 통치제도의 확립 29제1절 봉건적 계급 신분관계 29 봉건적 토지소유관계의 확대 29 계급 신분관계 31제2절 봉건적 통치제도의 확립 35 통치기구 35 계층적인 봉건적 관료질서 41 제4장 봉건적 착취와 억압의 강화. 그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44제1절 봉건적 착취와 억압의 강화 44제2절 봉건적 착취와 억압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54 제5장 백제의 고구려 및 신라와의 관계 60제1절 백제 인민들의 고구려 및 신라에로의 래왕과 문화교류 60제2절 령토확장을 위한 백제 봉건통치배들의 정복전쟁. 국력의 약화 65 령토확장을 위한 백제 봉건통치배들의 정복전쟁 65 한강 하류 지역의 상실. 백제 봉건국가의 약화 69 제6장 백제사람들의 일본렬도에로의 진출 72제1절 북 규슈의 백제 계통 후국. 그의 고국과의 관계 72 백제계통이주민들의 북 규슈에로의 진출 72 《고마후국》 73 《고마후국》의 고국과의 관계 76제2절 야마도 왕정에서 백제계통이주민들의 활동 80 제7장 당나라 침략자들과 그와 련합한 신라군의 침공을 반대한 백제 인민들의 투쟁 84제1절 7세기 중엽 백제의 안팎의 형편 84제2절 당나라 침략자들과 그와 련합한 신라군의 침공을 반대한 백제 인민들의 투쟁 89 제8장 문 화 100제1절 과학과 기술 100 기술 100 과학 105제2절 말과 글 109제3절 철학사상 117제4절 문 학 122제5절 미 술 129 건 축 129 공 예 134 조 각 139 그 림 142제6절 음악과 무용 143제7절 생활풍습 146전기 신라사 머리말 151 제1장 신라 봉건국가의 성립 152제1절 신라 봉건국가의 성립 152제2절 건국설화. 신라사 초기의 년대들에 대한 검토 158 제2장 중앙집권적 통치제도의 확립 165제1절 중앙집권적 통치기구의 정비, 강화 165 중앙집권적 통치기구의 정비 166 중앙 및 지방 통치기구의 확대 강화 169제2절 골품체제에 의한 계층적인 봉건적 관료질서의 편성 174제3절 봉건 통치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들 177 국호, 왕호의 고착과 년호의 제정 177 불교의 전파와 《화랑》 제도의 창설 178 제3장 신라의 고구려, 백제와의 관계와 대외관계 182제1절 고구려 및 백제와의 관계 182제2절 신라 봉건통치배들이 도발한 빈번한 정복전쟁과 그 후과 188제3절 중국대륙의 여러 나라들 및 《왜》와의 관계 195 중국대륙의 여러 나라들과의 관계 195 《왜》와의 관계 197 제4장 경제의 발전 202제1절 농업생산의 발전 202제2절 수공업의 발전 206제3절 교통운수 및 상업의 발전 210 제5장 봉건적 착취와 압박의 강화. 그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215제1절 봉건적 계급 신분관계의 편성 215제2절 봉건적 착취와 압박의 강화 219제3절 봉건적 착취와 압박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223 제6장 당나라강점군을 몰아내기 위한 인민들의 투쟁 227제1절 신라와 당나라 련합군의 백제, 고구려 침공. 당나라 침략자들의 이 지역 강점 227제2절 당나라강점군을 몰아내기 위한 인민들의 투쟁 232 당나라강점군을 몰아내기 위한 투쟁의 개시. 《고구려국》의 재건. 신라의 《고구려국》 세력과의 련합(668년 말~670년 여름) 232 신라인민들의 백제 유민들과의 단합에 의한 반침략투쟁의 전개. 백제지역으로부터의 당나라 침략군의 구축(670년 여름~672년 초) 232 당나라 침략군의 련속적 침입을 물리치기 위한 투쟁 (672년 여름~673년) 240 당나라 침략군에 대한 일대 섬멸전. 압록강 이남 지역에서 침략군의 완전 구축(674~676년) 242 제7장 문 화 250제1절 과학과 기술 250 과 학 250 기 술 255제2절 말과 글 262제3절 철학사상 271제4절 문 학 275제5절 미 술 284 건 축 284 공 예 288 조 각 294제6절 음악과 무용 298제7절 생활풍습 302 가 야 가야국의 성립 307 가야의 령역 310 통치기구 311 봉건적 계층제와 계급 신분관계 314 생산력의 발전. 봉건적 착취의 강화 316 백제, 신라와의 관계 320 가야사람들의 일본렬도에로의 진출 324 사 진 차 례 백 제 사1. 무녕왕무덤 내부(충청남도 공주군)2. 시목동 제2호무덤 내부(충청남도 공주군)3. 정림사 5층탑(충청남도 부여군 조선전사4.jpg 이전글 2017.10.16 칼슘 영양제의 효능- 과학영화 건강식품 생물칼시움영양알 다음글 2016.07.19 『조선전사 (중세편)』 3 제2판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지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4) 목록
연구단 소개
남북학술교류
학술행사
대학원·학부
통일인문학도서관
발간도서
학술지
통일교육
연구단 알림
빅데이터를 통해 본 분단적대성
북한자료소개
백 제 사1. 무녕왕무덤 내부(충청남도 공주군)2. 시목동 제2호무덤 내부(충청남도 공주군)3. 정림사 5층탑(충청남도 부여군 조선전사4.jpg
2017.10.16 칼슘 영양제의 효능- 과학영화 건강식품 생물칼시움영양알
2016.07.19 『조선전사 (중세편)』 3 제2판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지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