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박재인 -「탈북민 대상 문학치료 사례 연구-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와 자아실현의 문제를 중심으로 -」

조회수 2547 link 복사




□ 서지사항


- 논문명 : 「탈북민 대상 문학치료 사례 연구-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와 자아실현의 문제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literature therapy for refugees- Focusing on the classic narrative of migration and success and the problem of self-realization -”


- 저자 : 박재인


- 수록지명 : 『다문화사회연구』 제11권 2호


- 발행일 : 2018.08


- 페이지 : pp.75-103(29쪽)


 


□ 목차


Ⅰ. 서론


Ⅱ.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를 활용한 문학치료 과정


Ⅲ. 감상 활동에서 드러난 탈북 트라우마: 죄의식과 미래에 대한 불안


Ⅳ. 창작 활동으로 본 자아실현의 문제


Ⅴ. 결론


 


□ 키워드


탈북민 대상 문학치료,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 탈북 트라우마, 탈북


민의 죄의식, 탈북민의 무력감, 탈북민의 자아실현


 


□ 초록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 탈북민들은 가족과 고향을 등진 죄의식과 고된 한국살이에서 오는 무력감 등과 같은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탈북민들은 대체로 탈북과 한국 입국 후 물적 성취 영역에 대해서는 확연하게 인지하고 있었으나, 자기 삶에서 자아실현의 의미는 잘 발견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가 이주 후에도 여전히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탈북을 후회하는 비극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이를 위한 문학치료 과정으로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를 자기 삶과 견주어 재창작하는 활동을 진행했다. 대체로 이들은 획기적인 자아실현의 소망을 설계하기 어려웠으나 주어진 삶의 영역에서 자아실현의 의미를 잘 찾아내는 편이었다. 그 가운데 최근 실직을 경험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진로방향을 성취하기 어려워하는 대상들은 회의적이거나, 체념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럼에도 탈북민 관련 사회적 문제에 통찰력을 발휘하거나, 자신보다 어려운 환경에 놓인 탈북민들을 연민하고 위로하고자 하는 등의 자세를 보이기도 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반응은 막연한 낙관보다는 현실적이고 진정성 있는 자아실현의 탐색으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해석된다.


 


□ Abstract


In the literary therapy activities utilizing the classical narrative of migration and success, the North Korean defectors showed the sense of guilt that they had abandoned their families and homes and a sense of helplessness caused by their harsy life in the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generally recognized the area of material achievement after defecting from the North to the South, but could not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self-realization in their own lives. I think that this problem is the cause of the tragedy of regret the North Korean defectors still cannot satisfy their life even after their migration. As a literary therapy course for this purpose, they participated in activities to recreate the classic epic of ‘Migration and Success’ in comparison with their life. Those who are currently suffering from a disease have a difficulty in designing breakthroughs in self-realization, but they have found the meaning of self-realization in a given life area well. And those who are experiencing recent unemployment or difficulty in achieving their desired career direction seem skeptical or resigned. Nevertheless, it is considered that it was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realistic and authentic self-realization rather than vague optimism, because I identified a lack of insight into the problems of the refugees and the sufferings of the defectors.


 


□ Key words


Literary therapy for North Korean Refugees, Classical literature of immigration and success, Trauma of North Korean Refugees, Guilt of North Korean Refugees, Helplessness of North Korean Refugees, Self-realiz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