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전영선 -「혁명가극 <피바다> 이전의 북한 민족가극 창작 현황과 특성 연구」

조회수 2636 link 복사




□ 서지사항


- 논문명 : 「혁명가극 <피바다> 이전의 북한 민족가극 창작 현황과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Folk Art before the Revolutionary Opera <Pibada>”


- 저자 : 전영선


- 수록지명 : 현대북한연구(22권 1호)


- 발행일 : 2019. 04.


- 페이지 : pp. 183-217


 


□ 목차


1. 서론


2. 혁명가극 <피바다> 이전의 민족가극 창작 양상


1) 혁명가극 <피바다> 이전의 민족가극 전개 양상


2) 주요 작품과 특성


3. 민족가극의 정립과 전개 양상3)


1) 민족가극의 개량 작업


2) 개량 민족가극 창작 현황


3) ‘창작 민족가극’ 창작 현황과 특성


4) ‘혁명 민족가극’ 창작 현황과 특성


5) 민족가극의 퇴조와 혁명가극의 등장


4. 결론


 


 


□ 키워드


북한, 북한예술, 북한가극, 북한 민족가극, 혁명가극 <피바다>, 민족가극 <춘향전>


 


□ 초록


북한에서 민족가극은 <피바다> 창작을 계기로 전후로 나누어진다. <피바다> 이전의 민족가극은 광복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공연되었던 가극이다. 민족가극이라고 하였지만 형태는 달랐다. 세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개량 민족가극이다. 널리 공연되었던 가극을 현대적 양식으로 재현하였다. 전통 연희를 현대적인 극 양식과 현대적인 음악으로 재창작하였다.


둘째, 창작 민족가극이다. 역사를 새롭게 규정하면서, 새롭게 발굴한 이야기로 가극을 창작하였다. 민족의 역사를 소재로 하였지만 새롭게 발굴창작하였다.


셋째, 혁명 민족가극이다. 김일성의 항일혁명투쟁 시기의 이야기를 소재로 하여 민족가극이라는 이름으로 공연하였다. 1960년대 들면서 소재, 형식에서 혁명가극에 가까운 민족가극으로 재창작하였다.


초기의 민족가극이 일제 잔재 청산과 민족적 색채의 복원에 무게를 두었다. 인민이 즐겼던 가극을 새로운 형식으로 접목하였다. 점차 창작에 무게를 두었다. 1960년대 후반에는 사회주의적인 내용과 현대성이 강조되었다.


 


□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folk opera before the creation of the revolutionary opera <Pibada>. A pre-revolutionary opera <Piada> is a work of opera and singing, which has been performed between 1947 and 1965 under the name of ‘ethnic opera’.


During this period, ethnic opera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is an improved folk opera. It is the type of a play that was improved from pansori or folk songs as the plot of a well-known literature such as folk tales or legends.


Second is a creative folk opera which has newly develped and performed traditional contents. Ethnic characteristics have been newly interpre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ist regime. From a socialist point of view, some of the valuable works have been created and performed as ethnic opera.


Third is a revolutionary national comedy. Although it was performed under the name of a national opera, the story is about an anti-Japanese revolutionary strugg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1970s and thereafter, it can be called a revolutionary musical.


The early folk opera has been created focusing on the “people’s characters” to emphasize ethnic color and contents. On the other hand, in the 1960s, socialist contents and modernity were emphasized rather tha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culture. In this regar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revolutionary opera in the 1970s took place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combined with the revolutionary culture, starting from the acceptance of ethnic opera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 Key words


North Korea, North Korean art, North Korean opera, North Korean folk opera, revolutionary opera <Pibada>, and the National Antique <Chunhyangj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