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 적응방안 연구』(박영정 지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조회수 3717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 적응방안 연구』
- 지은이 : 박영정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출판년도 : 2011 
- 총페이지 수 : 175p

해제

 본 책은 북한이탈주민 2만명 시대를 맞이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원할한 정착을 돕는 문화적 적응방안을 찾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책은 북한이탈주민의 입국 및 정착현황과 정착지원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의 방향성 모색을 위한 독일 문화 통합사례를 검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 적응을 돕는 지원프로그램을 발굴하여 제안하였다.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문화적적응, 정착지원정책, 정착지원프로그램, 문화통합

□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제2장 북한이탈주민의 문화향유 실태 및 정착지원 현황
 제1절 북한이탈주민의 개념 및 입국 현황
  1. 북한이탈주민의 개념 및 범위
  2. 북한이탈주민의 입국 현황
  3. 북한이탈주민의 일반적 특징
 제2절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적응 및 향유 실태
  1. 조사 개요
  2. 조사 대상 선정
  3. 조사 항목
  4. 조사 결과 분석
  5. 조사결과 종합 및 시사점
 제3절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 현황
  1. 하나원 사회적응교육
  2. 지역사회 정착지원 제도
  3. 사회적응 지원제도 개선
 제4절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 적응 프로그램 사례
  1. 탈북 아동·청소년 대안학교의 문화 프로그램
  2.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하나센터 문화 프로그램
  3. 문화적 적응 프로그램 현황 및 시사점

제3장 독일 문화통합 사례와 그 시사점
 제1절 통일 이전 동서독 문화교류
  1. 동서독 사이 교류·협력의 역사
  2. 동독주민의 서독 이주와 사회·문화적 통합의 의미
  3. 통일 전 동독 이주민 적응 사례의 시사점
 제2절 통일 이후 독일의 문화통합
  1. 사회통합의 어려움고 문화통합의 의미
  2. 통일 이후 문화통합의 전개 양상
  3.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 적응에 대한 시사점

제4장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 적응을 위한 정책 방향
 제1절 기본 방향
  1. 사회통합과 문화통합, 그리고 문화적 적응
  2. 북한이탈주민 문화적 적응 정책의 기본방향
 제2절 추진 전략 및 과제
  1. 문화적 적응을 위한 정책 추진 전략
  2. 문화적 적응을 위한 정책 추진 과제

제5장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 적응을 위한 정책 방안
 제1절 북한이탈주민 문화적 적응 지원 방안
  1. 초기 정착과정에서의 문화적 적응 프로그램
  2. 문화적 권리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3. 통일시대 새로운 문화 주체 성장 지원 프로그램
  4. 탈북예술인의 예술활동 지원 프로그램
 제2절 정책 추진 체계
  1. 문화체육관광부 및 산하 기관 직접 사업
  2. 타부처 및 민간 단체 협력 사업

제6장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