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김종군 -「연구사를 통해 본 조선 민속학의 성과」

조회수 4674 link 복사




□ 서지사항 


- 논문명 : 「연구사를 통해 본 조선 민속학의 성과」


   “The Achievements in North Korean Folklore Studies through the research history ”


- 저자 : 김종군


- 수록지명 : 『한국민속학』


- 발행일 : 2020.05


- 페이지 : pp.119-157


 


□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의 민속학 연구 토대


Ⅲ. 조선 민속학 연구의 시기별 성과


Ⅳ. 맺음말 : 조선 민속학 연구 성과의 의의


       


□ 키워드


조선 민속학, 민속조사, 코리아 민속학사, 사회주의사상, 주체사상, 조선민족제일주의


      


□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남북 분단 이후부터 현재까지 조선(북한)의 민속학 성과를 주목할 만한 연구사를 통해 개관하여 그 위상을 밝히고, 통일의 과정에서 코리아 민속학사 구축에 일조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접할 수 있는 조선의 민속학 관련 연구논저와 잡지, 민속조사 자료들과 탈북민들의 구술자료를 대상으로 삼아 시대별로 이루어진 조사 사업과 출판 사업에 주목하여 그 경향성을 살피고자 한다. 조선 민속학 연구는 국가의 정책에 철저하게 복무하면서 성과들을 양산하였다. 이에 획기적인 국가 정책의 변화에 따라 세 시기로 구분하여 연구 성과를 고찰한다. 첫째, 사회주의사상을 통한 민속학 정립기(1945~1970)로, 전통적인 방식으로 살아온 주민들의 생활방식을 사회주의 방식으로 개조해야 한다는 국가적 사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실의 민속 실체를 파악하는 일이 최우선해야 한다는 방향을 정하고 민속의 현지조사를 전국 단위로 진행한다. 둘째, 주체사상에 의한 민속학 침체기(1970~1985)로, 역사 원리로서 주체사상을 유일사상으로 내세우면서 민속전통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다. 그 결과 주목할 만한 출판이나 민속조사 사업을 찾을 수 없다. 셋째, 조선민족제일주의를 통한 민속학 부흥기(1986~최근)로, 민족성 고수를 통한 주체성 확립을 위해 민속전통에 큰 관심을 갖게 된다. 국가 지원을 받아 민속학 총서가 대규모로 발간되고, 민속학 전문잡지인 민족문화유산이 창간되었으며, 현실 생활에서 민속전통의 부활을 강조한다. 조선의 민속학은 비록 연구 목적에서 한국과 차이가 있지만 그 연구 성과는 통일의 과정에서 민족 통합에 가장 적합하게 기여할 수 있는 영역임을 확인하게 한다.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aims to clarify its status after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study of folklore in North Korea since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o the present day and contribute to the compil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folklore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research papers and magazines related to folklore of North Korea, folk survey data and oral data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study of folklore in North Korea produced achievements while serving in the national policy thoroughly. Therefo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epochal national polic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considered by three periods. First, in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folklore through socialist ideology (1945~1970), the study was carried out while accepting actively the national mission of transforming the way of life of the inhabitants of the traditional way into socialist ways. After setting the direction that grasping the reality of folklore is the first priority, field research on folklore is conducted nationwide. Secondly, in the period of folklore stagnation (1970~1985) by Juche idea, it takes negative position on folk tradition while proposing Juche idea as the only thought as a historical principle. As a result, no remarkable publications or folklore projects are found. Third, in the period of revival of folklore through the thought that Koreans are the best(1986~recently), it becomes very interested in folk tradition to establish self-reliance through adherence to ethnicity. With the support of the state, a large-scale publication of folklore was published,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a magazine specializing in folklore, was published, the revival of folklore in real life is emphasized. Although the folklore of North Korea differs from South Korea in the purpose of research, 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e area that it can contribute most appropriately to national integration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 Key words


North Korean Folklore, Folk survey, The history of Korean folklore, Socialist thought, Juche idea, The thought that Koreans are the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