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고조선력사개관』(박득준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1999)

조회수 3706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고조선력사개관』
- 지은이 : 박득준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년도 : 1999 
- 총페이지 수 : 208p

해제

북한은 고조선·부여·구려진국을 한반도 최초의 고대국가로 보고 있다. 1993년 단군릉이 발굴됨에 따라 단군은 역사적 실체로 등장하게 되고, 고조선의 중심지는 요녕에서 평양으로 이동하였다. 그 이후 단군조선의 역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 책은 고조선을 3개 왕조의 통칭으로 규정하고, 첫 국가를 단군조선(전조선), 두 번째를 후조선, 세 번째를 만조선이라 부른다. 고조선의 국가형성 시기와 사회 성격, 중심지와 영역, 고조선 3개 왕조의 계승관계와 정치·경제·군사·문화 등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키워드

단군조선, 후조선, 만조선, 고조선, 락랑

□ 목차 

머리말

1. 단군조선(전조선)의 성립과 발전
 1) 단군조선의 성립
  원시사회말기 사회적생산의 증대와 계급의 발생
  건국시조 단군
  첫 국가의 형성, 단군조선의 성립
 2) 중앙관료체제와 지방통치체계의 확립
  중앙관료체제
  지방통치체계
 3) 생산의 발전, 경제제도와 계급신분관계
  생산의 발전
  경제제도
  계급신분관계
 4) 령토의 확장
  초기의 령역
  강성기의 령역
 5) 부여, 구려, 진국의 분립
  부여국의 분립
  구려국의 분립
  조선반도 중남부지역 소국들의 분립과 진국의 성립

2. 후조선의 성립과 발전
 1) 단군조선의 종말과 후조선의 성립
 2) 생산의 발전과 노예제도의 변천
  생산의 발전
  <범금8조>의 제정, 노예제도의 변천
 3) 령역의 변천, 이웃나라들과의 관계
  령역의 변천
  이웃나라들과의 관계

3. 만조선의 성립과 멸망
 1) 만의 정변과 만왕조의 성립
  만은 고조선사람
  후조선의 멸망과 만조선의 성립
 2) 만조선사회의 발전
 3) 만조선의 대외관계, 한나라침략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만족선의 대외관계
  한나라의 침략과 왕검성에서의 방어전, 만조선의 종말

4. 고조선의 문화
 1) 사상과 신앙
 2) 말과 글
  말
  글
 3) 과학과 기술
 4) 문학과 예술
  문학
  공예미술
  음악, 무용, 교예
 5) 풍습
  식생활풍습
  옷차림풍습
  주택과 가정생활풍습
  상무기풍과 정신도덕생활풍습

[부록] 락랑국과 락랑군

1. 락랑국에 대하여
 1) 락랑국의 성립
 2) 락랑국의 사회제도
 3) 락랑국의 변천
 4) 락랑국의 쇠퇴와 멸말

2. 락랑군의 위치
 1) <한4군> 설치당시 락랑군의 위치
 2) 료동군 동천이후의 락랑군의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