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인민이 사는 모습1』(서동익 지음, 자료원, 1995)

조회수 3712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인민이 사는 모습1』
- 지은이 : 서동익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인천
- 출판사 : 자료원
- 출판년도 : 1995 
- 총페이지 수 : 359p

해제

 본 책은 북한의 사회전반에 대한 이해증대를 목적으로 북한주민의 일생을 7가지 단계로 나누어 접근한 책의 1부로서 유아기에서부터 소년기 청소년기 청년기까지의 북한 주민의 일생을 다루고 있다. 책은 북한주민의 일생을 설명하는데 소설의 형식을 빌려 일반인들의 북한사회 이해를 도왔으며 850명에 이르는 귀순자들의 증언을 참고하여 내용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키워드

귀순자, 북한주민, 일생, 북한사회, 북한문화

□ 목차 

책머리에 아득한 세월의 저편을 더듬으며

제1장 유아기
1. 생명의 탄생과 인간생활의 시작
 1) 출산과 사회보장제도 26
  가. 임신과 출산 26
  나. 농촌진료소와 구역병원의 실상 29
  다. 출생신고와 식량배급카드 35
 2) 여성의 출사휴가와 어린이 보육교양법 38
  가. 150일간의 산전·산후 유급휴가 38
  나. 식량난과 장기휴가 권고 배경 42
  다. 식량배급 중단과 그 배경 47
 3) 육아와 보육정책 54
  가. 호우머 래인의 육아론 54
  나. 두르크 하임의 사회화론과 그 과정 55
  다. 북한 어린이의 사회화 과정 56
 4) 탁아시설과 보육시설 57
  가. 탁아소·유치원 현황 57
  나. 탁아소 설치 기준과 운영실태 58
  다. 탁아소 일과와 유아교육과정 62
  라. 시간제 수유와 빈 고무젖꼭지의 영향 64
 5) 취학 전 유치원 교육 66
  가. 낮은반과 높은반의 교육내용 66
  나. 유치원 교육의 변화과정과 실증적 기록 71

제2장 소년기
1. 학교생활의 시작
 1) 인민과 공민의 의미 76
 2) 북한의 교육제도와 학제 개편 과정 80
 3) 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와 교육정책 83
 4) 교육행정기구 84
 5) 학교 내 당적 통제기구 86
2. 인민학교 교과내용과 그 현실
 1) 교과별 학습시간 88
 2) 인민학교 국어교과서의 내용 90
 3) 학교생활과 과외활동 100
  가. 이영선 씨의 증언과 기록 100
  나. 이록재 씨의 증언과 기록 105
  다. 김현희 씨의 증언과 기록 110
3. 독재대상구역 내의 소년소녀들
 1) 실증적 자료의 어제와 오늘 119
 2) 주민의 신체구금과 사회격리시설 123
  가. 유치장 123
  나. 69호 노동교화소 123
  다. 노동교화소 124
  라. 교화소 124
  마. 정치범 교화소 125
  바. 구호소 125
  사. 49호 구호소 127
  아. 감옥 128
  자. 149호 대상지역 128
  차. 김 성 씨의 증언과 기록 130
  카. 임영선 씨의 증언과 기록 131
 3) 독재대상구역이란 무엇인가135
  가. 설치시기와 정치적 배경 136
  나. 강철환 씨의 증언과 기록 142
  다. 독재대상구역 현황과 수용 인원 152
 4) 독재대상구역 내의 인민학생들 154
  가. 학제와 교과내용 154
  나. 가정생활과 성장환경 157
  다. 의식주와 질병의 영향 159

제3장 청소년기
1. 고등중학교 생활
 1) 입학절차와 학제 개편 과정 164
 2) 교육목표와 교과목 165
  가. 바뀐 교과목과 주당학습시간 165
 3) 제1외국어의 변경과 한문교육 169
  가. 동영준 씨의 증언과 기록 169
  나. 한문교육 실시의 배경과 시기 171
 4) 학교생활과 과외활동 173
  가. 김광호·김광옥 양의 증언 내용 173
  나. 김현희 씨의 증언과 기록 171
  다. 북한 고등중학생의 연간 의무노동시간 184
2. 학교 내의 정치·군사조직
 1) 조선소년단 186
  가. 창단 배경과 주요활동내용 186
 2) 사회주의 노동청년동맹 189
  가. 청년단체의 조직 배경과 변천과정 189
  나. 설립목적과 주요 추진과업 189
  다. 주요 기능과 조직체계 190
  라. 가맹과 비준절차 192
  마. 이록재 씨의 증언과 기록 193
 3) 붉은 청년 근위대 197
 4)정치·군사조직의 상호 연관성과 학생들의 정신적·육체적 부담 199
  가. 이웅평 씨의 증언과 기록 199
  나. 이영선 씨의 증언과 기록 201
3. 특수학교와 영재교육기관
 1) 특수학교 204
 2) 영재교육기관 205

제4장 청년기
1. 사회제도와 청년들의 진로
 1) 청년들의 진로와 고뇌 210
  가. 이현주 씨의 증언과 기록 212
 2) 주민성분과 계층 분류 214
  가. 출신성분조사와 계급 정책 214
  나. 핵심·기본·복잡계층의 비율 215
 3) 성분과 진로 양상 217
  가. 담임과 정치 부교장의 진로지도 217
  나. 이웅평 씨의 증언과 기록 219
  다. 이영선 씨의 증언과 기록 221
  라. 임영선 씨의 증언과 기록 222
2. 북한 청년들의 군대생활
 1) 전사의 징집과정과 절차 225
  가. 초모장과 신체검사 225
  나. 대열편성과 입소준비 227
 2) 신대원훈련과 교과목 229
 3) 군관의 선발과 양성과정 231
  가. 신중철·이웅평 씨의 증언과 기록 231
  나. 임영선 씨의 증언과 기록 232
 4) 북의 정치·군사부문 군관학교 234
 5) 계급의 구분과 군사칭호 236
 6) 부대배치와 보직 237
 7) 인민군의 일과와 생활 239
 8) 인민군 5대 방침과 10대준수사항 243
 9) 진급과 대우 244
3. 새 헌법과 군사지휘체계
 1) 인민군의 성격 249
 2) 인민군의 전략전술 250
 3) 새 헌법과 최고명령권자 254
  가. 구헌법과 신헌법의 차이 254
  나. 국방위원장의 군사지휘 최고명령권 255
 4) 최고명령권의 역량과 자질 257
 5) 자충수를 부르는 위험한 편견 258
 6) 늘 직시해야 할 북의 군사적 역량 260
 7) 군대 내의 정치기구 262
  가. 군 당 위원회 263
  나. 정치부 정치집행기구263
  다. 비서기관 정치위원264
  라. 사회주의노동청년동맹 266
 8) 군 내 보위부와 3대 혁명소조의 역할 275
  가. 국가 정치 보위부와 국가안전보위부 275
  나. 국가안전보위부의 주요 임무와 기능 276
  다. 강형순 씨의 증언과 기록 276
  라. 3대혁명소조의 조직 배경과 기본 임무 279
 9) 인민군의 5대 불만과 3대 불안 281
4. 인민군의 편제와 군사력
 1) 군 편제상의 특징 283
 2) 정규군의 규모 285
 3) 예비병력의 규모 286
  가. 붉은청년근위대 286
  나. 교도대 287
  다. 노동적위대 287
  라. 인민경비대 288
 4) 위수구역과 10만 호위병력의 실체 289
  가. 강명도 씨의 증언과 기록 290
  나. 김명철 씨의 증언과 기록 291
 5) 10만 공작원의 위기돌파능력 301
  가. 북의 대남공작 약사 301
  나. 공작원의 선발과 양성 305
  다. 공작원의 위기돌파능력 324
5. 인민군과 당면과제와 미래상
 1) 인민군의 당면과제 329
  가. 임영선 씨의 증언과 기록 331
 2) 군량미 부족의 내외적 요인 333
  가. 군 외부적 요인의 이모저모 333
  나. 팀 스피리트 훈련과 준전시상태 337
  다. 군 내부적 요인의 이모저모 338
 3) 군의 진로와 미래상 346
  가. 역사의 진행방향과 가르침 347
  나. 포퍼가 그린 열린 사회의 참뜻 348
  다. 군의 역할과 미래상 350
 4) 제대와 직장배치 352
  가. 인민군 복무조례와 복무년한 353
  나. 제대의 종류와 절차 353
  다. 임영선 씨의 증언과 기록 354
  라. 제대군인의 직장배치 절차와 진로 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