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라운규와 수난기 영화』
- 지은이 : 최창호·홍강성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평양출판사
- 출판년도 : 1999
- 총페이지 수 : 388p
□ 목차
이 책을 내면서
1. 우리 나라 초기 무성영화와 문화계몽운동
1) 녀배우가 없었던 시기에
2) 은막에 비친 위생선전영화
3) 민족수난기의 첫 예술영화 <<월하(月下)의 맹세>>
4) 민족수난기의 첫 기록영화 <<조선의 아악(雅樂)>>
2. 회령사람 라운규
1) 회령3미(會寧三美)
2) 고향은 멀리 있어도
3) 회령신식멋쟁이와 라운규
4) 밉지 않은 장난군
5) 호기심 만흔 <<문제아>>
6) 학구파가 아닌 라운규
7) 3.1인민봉기 회령만세사건과 라운규
8) 고향떠나 타향으로
9) 도판부(圖判部)가입
(일화) 1901년생 라운규
3. 영화를 통해 문화계몽운동의 중심에 서게 되는 라운규
1) 무성영화 <<운영전>>의 단역으로 출연한 라운규
2) <<심청전>>에서의 라운규
3) <<롱중조>>에서 인기를 올린 라운규
4. <<아리랑>>과 라운규
1) 민요 <<아리랑>>을 예술적 소재로 선택하여
2) <<아리랑>>의 줄거리
3) <<아리랑>>이 거둔 예술적 성과와 일간신문들에 실린 판평
4) <<아리랑 후편>>에 대한 변사의 해설
5) 급격히 류행된 <<신아리랑>>
5. <<아리랑>>이후 라운규와 수난의 영화들
1) 영화속의 영화들
(일화) 라운규의 마스크
2) 1934년 <<콜럼비아>>와 <<리갈>>레코드에 취입된 <<풍운아>>와 <<사랑을 찾아서>>에 대한 변사의 해설
3) 실패작으로 고민하는 라운규
4) <<개화당이문>>에서 찾지 못한 라운규의 교훈
(일화) 만들지 못한 영화
5) 영화계를 떠나 연극계로
6) 라운규와 카프와의 관계
7) 라운규가 받은 비판
6. <<임자없는 나룻배>>와 라운규
(일화) 다시 만난 심혜자
7. 무성영화의 시대는 끝나고
1) 첫 유성영화 <<춘향전>>과 <<아리랑 3편>>
(일화) <<네가 미쳤다!>>
2) 아리랑고개를 넘지 못한 라운규
8. 무성영화시기의 변사들과 녀배우들의 운명
1) 무성영화시기에 이름난 변사들
2) 무성영화시기에 나타났던 녀배우들의 수난과 그들의 운명
9. 일제의 탄압책동과 영화의 종말
10. 민족수난기의 영화년표
사진특집
민족수난기에 제작된 영화의 주제가